• 제목/요약/키워드: Open Protocol

검색결과 479건 처리시간 0.038초

종골 골절의 제한적 후방 접근법 수술적 치료 후 조기 운동 및 재활 치료의 결과 (Result of the Early Exercise and Rehabilitation after Limited Posterior Operative Treatment of the Calcaneal Fractures)

  • 송경원;김갑래;이진영;이광남;서은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3-99
    • /
    • 2008
  •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 of the early exercise and rehabilitation after limited posterior operative treatment of the calcane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5 and December 2007, 43 cases with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were treated by open reduction with K-wires and Steinmann pins. Mean age and mean follow-up period were 42.5 years old and 15 months.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e same postoperative protocol, the early exercise of subtalar joint without short leg splint and cast was began after postoperative 1 day, non-weight bearing crutch ambulation did after 2 weeks, partial-weight bearing crutch ambulation did after 6 weeks, without crutch ambulation did after 10 weeks. The fractures was classified by Essex-Lopresti and Sanders classification using radiographs and the functional outcomes were evaluated by circle draw exercise, AOFAS score. Results: By Essex-Lopresti classification, the tongue type was 6 cases (14%), the joint depression type was 15 cases (35%), the combined type was 22 cases (51%). By Sanders classification, type II were 10 cases (23%), type III were 15 cases (58%), and type IV were 8 cases (19%). By AOFAS functional evaluation, the mean preoperative scores were 70.3 and 70.5 respectively, mean postoperative scores were 83.7 and 86.9 respectively. There were satisfactory results in 40 cases but 3 cases were unsatisfactory including on case of lateral impingement and 2 cases of traumatic arthritis of subtalar joint. Conclusion: We obtained satisfactory result of the early exercise of subtalar joint without short leg splint and cast and rehabilitation after limited posterior operative treatment of the calcaneal fractures.

  • PDF

OSGi 서비스 플랫폼 환경에서 서비스 번들 인증 메커니즘의 검증 및 구현 (Verif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a Service Bundle Authentication Mechanism in the OSGi Service Platform Environment)

  • 김영갑;문창주;박대하;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1권1_2호
    • /
    • pp.27-40
    • /
    • 2004
  • OSGi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성을 갖는다. 첫째, 서비스가 번들이라는 자체 설치 가능한 컴포넌트 형태로 제공되어 동적으로 배치된다. 둘째, 서비스가 생명주기에 따라 동적이며 다른 서비스와의 상호 작용이 자주 일어난다. 셋째, 홈 게이트웨이의 시스템 자원이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특성들로 인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인증되지 않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악의적인 서비스가 배치될 수 있거나 서비스가 변질 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된 서비스 번들은 서비스 게이트웨이는 물론 사용자에게 보안상의 악영향을 준다. 더불어 현재 OSGi 프레임워크 표준안에는 위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번들 인증 메커니즘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서비스 플랫폼 상에서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번들 인증 메커니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번들의 안전한 전송을 위해서 장치를 인식하고 초기설정을 하는 초기화 작업인 부트스트래핑 단계에서 키 공유를 위한 메커니즘을 설계하였고, 이 단계에서 생성된 공유 비밀키를 이용한 MAC 기반 서비스 번들 인증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또한 BAN Logic을 이용해 키 공유 메커니즘과 서비스 번들 인증 메커니즘의 안전성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서비스 번들 인증 메커니즘은 기존의 PKI 기반의 서비스 번들 인증이나 OSGi에서 권고하고 있는 RSH 프로토콜과 비교해 볼 때 저장 공간이나 연산의 제약된 자원을 가지고 있는 서비스 플랫폼 상에서 더 효율적이다.

최적의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ptimal Smart Home Control System)

  • 이형로;인치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35-141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최적의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최근 센서와 통신과 같은 기술들을 발전으로 사물인터넷은 전구, 콘센트, 옷과 같은 다양한 사물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다양한 기업에서는 사물간의 협업을 통해 사용자의 삶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서비스들을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는 엔드 투 엔드 디바이스인 경우 다양한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서버 및 게이트웨이는 단일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사물인터넷 시스템의 제조사에 따라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며, 여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들을 등록하고 제어하는데 있어서 높은 복잡성을 가지고 있다. 증강현실 사물인터넷 시스템인 경우 사물들을 검출하기 위해 OpenCV 또는 OpenGL을 사용하여 특징점 및 엣지 추출 기술을 사용 하지만 사물의 인식률이 샘플링 데이터에 따라서 편차가 크게 존재하며, 비교적 낮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제안하는 최적의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OneM2M을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를 구현하여 엔드 투 엔드 디바이스의 다양한 프로토콜들을 지원하고, 단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사물을 제어 등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인공지능 분야의 딥러닝을 사용하여 디바이스들을 학습시키고 추론 및 검출을 통해 기존 시스템의 사물 인식률 향상과 인식률의 편차를 낮추었다.

하악 우각부 골절 시 2개의 miniplate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술에 대한 전향적 예비 임상연구 (The prospective preliminary clinical study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using 2 miniplates)

  • 양승빈;장창수;김주원;임진혁;김좌영;양병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4호
    • /
    • pp.320-324
    • /
    • 2010
  • Introduction: The placement of a single miniplate is not sufficient to achieve rigid fixation in mandibular angle fractures. It often causes difficulties in reducing the intermaxillary fixation (IMF) period. Consequently, the placement of 2 miniplates is preferable. The intraoral approach in a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RIF) of a mandibular angle fracture with 2 miniplates is often challenging. Accordingly, an alternative of transbuccal approach is performed. However, this method leaves a scar on the face and can result in facial nerve injury. This clinical study suggests a protocol that can maintain rigid fixation without a transbuccal approach in mandibular angl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7 patients who sustained fractures of the mandibular angle and treated at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ORIF under general anesthesia was done using the intraoral approach. One miniplate was inserted on external oblique ridge of the mandible, and the other was placed on lateral surface of the mandibular body with contra-angle drill and driver. A radiographic assessment and occlusal contact point examination was carried out before surgery, and 2, 4 and 6 weeks after surgery. Results: The mean operation time was 80 minutes. Regarding the occlusion state,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increased after surgery. Paresthesia and infection were reported to be complications before surgery. Conclusion: The placement of 2 miniplates using contra-angle drill for ORIF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allows early movement of the mandible without IMF. We propose this approach to reduce the patients’discomfort and simplify the surgical procedure.

진구성 전방 십자 인대 견열 골절의 수술적 치료 (The Surgical Treatment of Chronic Avulsion Fracture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 송은규;설종윤;최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1-36
    • /
    • 2002
  • 목적 : 진구성 전방 십자 인대 견열 골절의 치료후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손상후 3개월 이상 지난 진구성 전방 십자 인대 견열 골절로 진단 받고 본원에서 치료받은 환자중 2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1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6세(9-66)이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53개월(24-131)이었다. 수술은 전 예에서 관절경하에 병변의 확인 및 동반 손상의 치료후 관혈적 정복을 통한 내고정이나 골편 제거술을 시행하였다. 고정 방법은 8예에서 견인 봉합술을 2예에서 나사못 고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 Lysholm knee score는 술전 평균 64.3점에서 술후 96.2점으로 호전되었으며, 술전 Lachman 검사상 7예에서 경도의 양성, 4예에서 중등도의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술후 Lachman 검사상 9예는 음성이었으며, 2예에서 경도의 양성소견을 보였다. Meyers와 Mckeever의 평가 기준에 의하면 9예$(81.8\%)$에서 우수, 2예$(18.2\%)$에서 양호의 결과를 보였다. $Telos^{\circledR}$기기를 이용한 건측과의 전방이완도 차이의 평가에서 술전 평균 7.8(10-4)mm의 차이를 보였으며 술후 최종 추시상 평균 2.1(6-0)mm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진구성 전방 십자 인대 견열 골절에 대한 치료에 있어 관절경 검사를 통해 동반 손상의 평가와 관절 절개술을 통해 해부학적 정 복과 고정 또는 골편 제거를 병행함으로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TE와 IoT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미터 데이터 전송장치와 전력 IT 시스템 (Smart meter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IT system using LTE and IoT technologies)

  • 강기범;김홍수;좌정우;김호찬;강민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17-124
    • /
    • 2017
  • 스마트 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에 ICT기술을 접목하여 소비자와 전력 공급자 간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수요반응(DR, Demand response)은 전기사용자가 전력시장 가격이 높거나 전력계통 위기일 때 절약한 전기를 전력시장에 판매하여 금전으로 보상받는 제도이다. 본 논문은 스마트 미터(Smart Meter)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요 정보를 계측하고 이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전력량 계측 데이터 전송장치와 전력 IT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전력량 계측 데이터 전송장치는 한국전력 데이터와 측정 오차가 없는 신뢰성이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Raspberry Pi 3에 연결된 빛 센서를 이용하여 한국전력 계측기의 전력량 단위마다 깜박이는 램프의 횟수를 계측한다. 전력량 계측 데이터 전송 장치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인 OpenADR 2.0b를 사용한다. 계측된 데이터는 LTE, WiFi 통신망을 통해 VEN, VTN, 계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전력 IT 시스템의 MySQL DB에 저장된다. 개발된 전력량 계측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력계통 위기가 발생할 때 급전지시를 내려 피크감축 DR을 실행한다. 개발한 전력량 계측 데이터 전송 장치는 기존 스마트 미터링의 계측시간이 15분으로 고정되는 것과 달리 사용자가 1분 단위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OSGi플렛폼 기반의 상황인식 서비스지향아키텍쳐에 관한 연구 (Study on Context-Aware SOA based on 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platform)

  • 최성욱;오암석;권오현;강시협;홍순구;최형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083-2090
    • /
    • 2006
  • 제안된 OSGi 플렛폼(Platform) 기반의 상황인식 서비스지향 아키텍쳐에서 서비스공급자는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상대적인 서비스들을 통합하여 각각 서비스를 SOAP 메시지로 묶어서 웹서비스를 서비스중재자의 UDDI서버에 등록하면, 서비스요청자는 UDDI서버에서 특정한 서비스를 검색하고, 서비스공급자에게 해당 SOAP메시지를 호출한다. 최근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상황인식기술은 RFID/USN. 위치기반 기술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를 위한 서비스 지향 아키텍쳐에 대한 연구는 원만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OSGi Platform 기반에서 다양한 센서 들로부터 수많은 상황인식 서비스가 동적 으로 움직이게 되고 사용자 요구 및 필요성에 따라 신규서비스의 제공 및 기존 서비스의 변경과 제공된 서비스간에 데이터 공유, 서비스 라이프사이클, 서비스분배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ATAM으로부터 추출된 성능 유티리티 트리에서 이산 Little's Law를 적용함에 따라 546 TPS 에서 초당 상황인식트랜잭션 처리횟수를 향상시키는 OSGi Platform을 이용한 eclipse STP 기반의 상황인식 SOA를 제안하고자 한다.

OGC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기술 연구 (The research of the Sensor network service platform technology based on OGC)

  • 염성근;유상근;김용운;김형준;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22-1025
    • /
    • 2009
  •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은 u-city, u-Health 등과 같은 영역에서의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u-life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인프라이다. 따라서 u-Life의 핵심 기술인 USN 기술에 대한 국내 표준화 확립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USN에 대한 표준 현황은 센서 노드 구현을 위한 기술과 센서 노드들 사이의 에너지 효율적인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및 기존의 망과 연동을 위한 기술 표준 및 연구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센서 네트워크와 USN 응용을 위한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의 통합관리, 센싱 데이터 관리 및 USN 데이터베이스 구조 정의 등과 같은 응용 및 미들웨어 부분에서의 표준 및 연구는 아직 까지 미약한 수준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센서 네트워크 서비스의 표준 개발 및 센서 응용 및 미들웨어 부분에서의 표준화된 플랫폼 기술을 위해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의 SWE(Sensor Web Enablement)를 구성하는 관련 표준 분석과, 국내 T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관련 표준과 상호 연관성 및 OGC 기반 서비스 플랫폼 적용 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통한 센서 네트워크상의 표준 서비스 플랫폼 아키텍처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Moving Route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COVID-19 Confirmed Cases

  • Kim, Byungkyu;You, Beom-Jong;Shim, Hyoung-Seop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155-16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COVID-19 확진자의 이동경로 정보를 데이터 표준화 및 품질관리 기반으로 구축 및 관리하고 활용 할 수 있는 체계 개발을 위한 연구 수행 내용과 실제 시스템을 통해 구축한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해외 국가들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적극적인 감염병 방역을 위해 감염병 예방법을 근거로 확진환자에 대한 빠른 역학조사와 함께 확진자의 이동경로 정보를 지방자치단체별로 적극 공개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지자체별 제공 정보의 비표준화로 정보의 통합적인 관리와 공유 및 활용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VID-19 확진자 이동경로 DB 구축 및 제공 절차를 재난안전정보 공유 플랫폼을 기반으로 정립하고 데이터 가공 지침, 표준 항목이 적용된 데이터 입력시스템, 데이터 제공 오픈 API 서비스 개발을 통해 COVID19 확진자 이동경로 정보 공유 체계를 구축하였다. 플랫폼 기반의 COVID-19 확진자 이동경로 정보 공유 체계는 다른 감염병 사례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감염병 재난 대응 및 예방에 활용 및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

아킬레스건 봉합 후 초음파에서 보이는 섬유 배열 양상과 임상적 요인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the Fibrillar Pattern in Ultrasonography and Clinical Factors after Achilles Tendon Repair)

  • 최영진;안수형;배서영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23-129
    • /
    • 2022
  • Purpose: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brillar pattern of the Achilles tendon on ultrasonography (US) and functional outcomes in patients who underwent open tendon repair after Achilles tendon rupture. Materials and Methods: Data of 44 patients who had been subjected to US at least 6 months after repair, during the period between July 2012 and July 2019 were reviewed. Those with bilateral tendon rupture, re-rupture, open injury, and chronic or insertional rupture, were excluded from the review. We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the homogenous group (HoP) and the heterogenous group (HeP) based on the fibrillar pattern on US. We also divided the HoP into linear and wavy subgroups, and the HeP into no hypoechoic lesion and hypoechoic lesion subgroups. The rupture type of the Achilles tendon, radiographic factors including US and magnetic resonance images, patient-related, surgical factors, and clinical results at the last visit after repair were assess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tendon thickness was 11.4±1.7 mm in the HoP, and 14.5±3.0 mm in the HeP (p<0.001). A shredded pattern was observed in 17 cases (65.4%) in the HoP, and in 17 cases (94.4%) in the HeP (p=0.031). The mean value of the number of sutures used was 8.9±3.05 in the HoP and 11.39±1.75 in the HeP (p=0.001). The mean value of the difference in calf circumference was 0.9±0.67 cm in the HoP and 1.36±0.71 cm in the HeP (p=0.037).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brillar patterns and patient-related factors. Conclusion: The fibrillar pattern observed after repair was correlated with the functional outcome and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rupture pattern and the number of sutures used. Therefore, we suggest a careful individualized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protocol to maximize functional outcomes by referring to the fibrillar pattern in US, especially in shredded rup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