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 Framework

검색결과 694건 처리시간 0.032초

OpenCL을 활용한 이기종 파이프라인 컴퓨팅 기반 Spark 프레임워크 (Spark Framework Based on a Heterogenous Pipeline Computing with OpenCL)

  • 김대희;박능수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7권2호
    • /
    • pp.270-276
    • /
    • 2018
  • Apache Spark is one of the high performance in-memory computing frameworks for big-data processing. Recently, to improve the performance, general-purpose computing on graphics processing unit(GPGPU) is adapted to Apache Spark framework. Previous Spark-GPGPU frameworks focus on overcoming the difficulty of an implementation resulting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utation environment of GPGPU and Spark frame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ark framework based on a heterogenous pipeline computing with OpenCL to further improve the performance. The proposed framework overlaps the Java-to-Native memory copies of CPU with CPU-GPU communications(DMA) and GPU kernel computations to hide the CPU idle time. Also, CPU-GPU communication buffers are implemented with switching dual buffers, which reduce the mapped memory region resulting in decreasing memory mapping overhea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Spark framework based on a heterogenous pipeline computing with OpenCL had up to 2.13 times faster than the previous Spark framework using OpenCL.

메타버스 프레임워크와 구성요소 (Metaverse Framework and Building Block)

  • Kang, Young-myoung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263-1266
    • /
    • 2021
  • The global Covid-19 pandemic has been accelerating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environment that enables providing consistent services without being affected by physical location or various circumstances. The Metaverse might be the representative realization reflecting this trend.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potential core stacks consisting of the Metaverse framework in brief and explain why the open Metaverse framework is an adequate and reasonable design choice to support diverse platforms and multiple instances of the virtual world.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open Metaverse framework is indeed in a very early stage, achieving technical completeness in each building block of the open Metaverse is crucial. Considering the expansion and spread of the Metaverse in the future, intensive standardization studies on the open Metaverse framework are exigent and indispensable.

직장예절교육용 공공개방데이터를 활용한 학습 프레임워크 (Learning Framework based on Public Open Data for Workplace Etiquette Education)

  • 김유리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1호
    • /
    • pp.133-146
    • /
    • 2018
  • This study develops an Education framework for users who need public open data for workplace etiquette education in a timely manner by mobile application. It facilitates utilizing efficiently Workplace etiquette contents that scattered in various platforms such as blogs, Youtube and web-sites run by private education agencies. Furthermore, it makes Public open data for workplace etiquette through gathering 'metadata', which is a comprehensive source of workplace etiquette. Accordingly, framework changes recognition about necessity of workplace etiquette education positively and suggests method that can promote effective workplace etiquette education. If the system in the study can provide public open data of workplace etiquette education, many young job applicants and workers will have a proper perception on it and sound workplace etiquette culture will be settled in the companies. Public data has been rising as a vital national strategic asset these days. Hopefully the public data will pave a way to discover the blue ocean in the market and open up a new type of businesses.

딥러닝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의 사례연구를 통한 도입 전략 도출 (Deriving adoption strategies of deep learning open source framework through case studies)

  • 최은주;이준영;한인구
    • 지능정보연구
    • /
    • 제26권4호
    • /
    • pp.27-65
    • /
    • 2020
  • 많은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인공지능 기술을 오픈소스로 공개하였다. 예를 들어, 구글의 TensorFlow, 페이스북의 PyTorch, 마이크로소프트의 CNTK 등 여러 기업들은 자신들의 인공지능 기술들을 공개하고 있다. 이처럼 대중에게 딥러닝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공개함으로써 개발자 커뮤니티와의 관계와 인공지능 생태계를 강화하고, 사용자들의 실험, 적용, 개선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머신러닝 분야는 급속히 성장하고 있고, 개발자들 또한 여러가지 학습 알고리즘을 재생산하여 각 영역에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다양한 분석들이 이루어진 데 반해, 실제 산업현장에서 딥러닝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거나 활용하는데 유용한 연구 결과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프레임워크 사례연구를 통해 해당 프레임워크의 도입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기술-조직-환경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기존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도입과 관련된 연구들을 리뷰하고, 이를 바탕으로 두 기업의 성공 사례와 한 기업의 실패 사례를 포함한 총 3 가지 기업의 도입 사례 분석을 통해 딥러닝 프레임워크 도입을 위한 중요한 5가지 성공 요인을 도출하였다: 팀 내 개발자의 지식과 전문성, 하드웨어(GPU) 환경, 데이터 전사 협력 체계, 딥러닝 프레임워크 플랫폼, 딥러닝 프레임워크 도구 서비스. 그리고 도출한 성공 요인을 실현하기 위한 딥러닝 프레임워크의 단계적 도입 전략을 제안하였다: 프로젝트 문제 정의, 딥러닝 방법론이 적합한 기법인지 확인, 딥러닝 프레임워크가 적합한 도구인지 확인, 기업의 딥러닝 프레임워크 사용, 기업의 딥러닝 프레임워크 확산. 본 연구를 통해 각 산업과 사업의 니즈에 따라,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거나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OpenBR을 이용한 안면인식, 연령 산정, 성별 추정 프로그램 구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ace recognition, Age estimation, Gender estimation Framework using OpenBR.)

  • 김남우;김정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79-782
    • /
    • 2017
  • OpenBR은 안면인식 관련 새로운 방식의 연구, 기존 알고리즘 개선, 상용 시스템과 상호 작용, 인식 성능 측정, 자동화 된 생체 인식 시스템을 배치하기 위한 프레임 워크입니다. 신속한 알고리즘 프로토타이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성숙한 핵심 프레임 워크, 유연한 플러그인 시스템 및 개방형 및 폐쇄형 소스 개발 지원을 특징으로 한다. 기성의 알고리즘은 얼굴 인식, 연령 산정 및 성별 추정과 같은 특정 양식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OpenBR의 프레임 워크의 구성방법에 대해서 기술하고 지원되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이용한 안면인식, 성별추정, 나이추정 구현하고 기술하였다.

  • PDF

Open Source기반 HTML5 Mobile Web Application Platform 구조 분석 및 성능 최적화 방법

  • 임상석
    • 정보와 통신
    • /
    • 제29권9호
    • /
    • pp.10-17
    • /
    • 2012
  • 본고는 크게 두가지 주제로 구성이된다. 첫번째로는 HTML5 기반의 mobile Web application platform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소개한다. Web application platform은 기술 구조상 mobile OS에 내재되어 native형태로 배포되는 Browser engine을 포함한 platform 부분과 native Web platform 상에서 구동되는 HTML5 application framework 부분으로 구성된다. HTML5 application framework 구축을 위해 시장에서 널리쓰이는 open source로서 jQuery Mobile framework을 소개한다. 두번째로 해당 Web platform상에서 동작하는 Web application 개발시 부디칠 각종 성능 이슈 및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접근법을 다섯가지 기술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별로 적용 가능한 실기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최적화시 사용가능한 각종 open source profiling 및 성능 최적화 tool에 대해서 소개한다.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한 EdgeX Open Framework 기반 Edge Gateway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ge Gateway based on EdgeX Open Framework Using Raspberry Pi)

  • 이경헌;홍지연;윤주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18-1019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인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하여 IoT 디바이스-클라우드 간 발생 가능한 상호운용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EdgeX Open Framework 기반 IoT Edge Gateway 개발 과정을 기술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국가 슈퍼컴퓨팅 서비스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ational Supercomputing Service Framework)

  • 유정록;변희정;김한기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663-674
    • /
    • 2016
  • 기존의 슈퍼컴퓨팅 서비스는 사용자(연구자)가 쉘 터미널을 통해 로그인 서버에 접속하여 커맨드 라인에서 계산 작업을 수행하는 단순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이는 컴퓨팅 자원에 대한 접근성 및 활용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소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슈퍼컴퓨팅 서비스의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국가 슈퍼컴퓨팅 서비스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사용자 관리 및 인증, 이기종 컴퓨팅자원 관리,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작업 관리 등의 기능에 대해 HTTP 방식의 RESTful OpenAPI들을 제공함으로써, 슈퍼컴퓨터 자원과 연계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고자 하는 개발자들이 편리하게 원하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이기종 클러스터 자원을 활용하여 HPC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플러그-인 기반 표준 인터페이스 및 확장 플러그-인(LoadLeveler, Open Grid Scheduler(OGS), TORQUE)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프레임워크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고에너지 물리 분야의 Lattice-QCD 프로그램을 활용한 적용 사례를 기술한다.

웹 서비스와 OpenAPI를 사용한 SOA 기반 동적 서비스 합성 프레임워크 (A SOA-based Dynamic Service Composition Framework using Web Services and OpenAPIs)

  • 김진한;이병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3호
    • /
    • pp.187-199
    • /
    • 2009
  • 최근 웹 2.0의 등장과 함께 플랫폼으로서의 웹이 강조되어 OpenAPI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OpenAPI는 서비스를 결합한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된다. 하지만 OpenAPI는 표준 문서가 존재하지 않아 사용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기존 매쉬업 연구는 동적 서비스 합성보다는 주로 도구 설계나 서비스 결합을 위한 언어 정의에 국한되고 있다. 반면 SOA 구현 기술 중의 하나인 웹서비스는 서비스 설명을 위한 WSDL, 서비스 등록을 위한 UDDI, 메시지 전송을 위한 SOAP 등의 표준 문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이 서비스를 해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최근 SOA 연구에서는 서비스의 동적 합성과 의미적 특성을 지원한다. 만약 웹 서비스와 OpenAPI를 결합하는 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이 제공된다면 웹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OpenAPI와 웹 서비스의 매쉬업을 위한 SOA 기반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본 프레임워크는 합성된 서비스의 프로세스는 OWL-S로 표현하여 OpenAPI와 웹 서비스의 동적 합성을 지원한다. 그리고 프로토타입을 통하여 본 프레임워크의 유효성을 보인다. 본 프레임워크는 기존 웹 서비스에 다양성을 부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igning a Comet-based Open API for Establishing RCS Chat Session

  • Lee, Dongcheul;Park, Byungj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1권1호
    • /
    • pp.8-16
    • /
    • 2019
  • As smartphone users grow, mobile operators are trying to standardize and commercialize Rich Communication Suite (RCS), which is a next-generation messaging service, so that it can replace legacy messaging services. However, it is not enough to spread RCS widely to the users only by publishing an RCS app. To increase the use of RCS, a web-based open API for common RCS capabilities is needed. By using the API, Internet-based developers can create applications that make use of the RCS capabilities with less effort and time. This paper proposes a lightweight Comet-based open API to allow mobile operators to expose useful information and capabilities to application developers. The system architecture of the open API framework and call flow between relevant nodes are defined. In addition, examples of protocol translations on the framework a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