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discussion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3초

The Application of English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Technologies of Web 2.0

  • Lee, Il Seok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4권4호
    • /
    • pp.57-69
    • /
    • 2017
  •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even in learning and education area, many studies have begun to make a new attempts to research by using SNS, breaking away from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ese studies are restricted only to the use of wireless Internet and writing on Web site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research on English learning activities that utilize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Bigdata, Facebook,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nd English applic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looks into how these modern technologies can be integrated in the classrooms and which activities can be applied in the English classroom. This research is to suggest effective English learning methods through a thorough investigation on the effectivity of various technologies based on the Web 2.0 such as Flickr, blogs, MySpace, and online discussion board within the context of the English learning.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tudy,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is proceeded with pre- and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i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s using SNS tools such as Facebook, Bigdata, and Online Massive Learning. A survey 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ference of utilizing social networking sit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in class. The result is that the average scores for experimental group have improved more than the average of control group.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higher and median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p<0.01.

온라인 환경에서 신뢰와 위험 관계에 대한 문헌적 고찰 및 메타분석: 국내 연구를 대상으로 (A Meta-Analysis and Review of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Risk on Online Environment in Korean Research)

  • 김종기;김진성;김상희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9-81
    • /
    • 2012
  • Recently, in the research on online environment such as e-commerce, and internet banking, the conceptual discussion about trust and risk in an effort to explain a user's behavior is briskly underway. Most of the research on trust and risk are setting up causal relationship without clearly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risk.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in order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risk and to take a look at the difference in causal relationship. This study includes a total of 18 research papers which are setting up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risk in online environment among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since 2000. Result of the meta-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 size was -0.367 in the path from trust to risk; -0.131 in the path from risk to trust; -0.276 in the bidirectional path between trust and risk. In addition,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rough literature review that there appeared a high effect of path in case where trust and risk were measured by an uni-dimensional concept than by a multi-dimensional concept.

Blended Instructional Practic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 OH, Eunjo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8권1호
    • /
    • pp.101-12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urrent practices in blended instruction. In particular, the study explored (1) the types of instructional delivery methods, technologies, and instructional components, (2) the reasons why faculty apply blend instruction, and (3) the advantages and challenges in delivering blended instruc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practices in the Universities that have the extensive doctoral research programs classified by the Carnegie Foundations.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sample of faculty from 30 universities and the survey data included 133 faculties out of the total 1,000 randomly selected faculty members. Of the 133 responses, 111 (77.7%) participants had certain degree of experience, while 17 faculty (or instructors) (13.3%) did not have any practice with blended instruction. The most common instructional delivery format in the participating universities was blended instruction that added supplementary online instructional components in the class. Online Course Management Systems (CMS) and multimedia presentation tools were common technology for course delivery, and "discussion" was the most general instructional activity for the class. The participating faculty often preferred the blended format since it provides students and faculty with convenience, flexibility, active engagement, efficiency in using resource materials, and a feeling of connection between/among students and instructor. Benefits to the class were availability of more authentic experience and diverse curricular materials, and the instructional format that meets the needs of remediation and enhancement of students. This study addressed not only advantages and challenges of blended instruction, but also suggestions based on the comments by the participating faculty.

한류 영상 콘텐츠의 시청동기가 시청태도,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영상 플랫폼 'bilibili'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Viewing Motivation of the Korean Wave Video Content on Viewing Attitude, National Image of Korea, and Behavioral Intention: Focused on the Chinese Online Video Platform, 'bilibili')

  • 왕이민;배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62-772
    • /
    • 2021
  • 본 연구는 중국 영상 플랫폼 'bilibili' 이용자의 한류 영상 시청동기가 시청태도,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355부의 유효데이터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먼저 시청동기 중 오락, 정보습득, 사회관계, 대리만족은 시청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실시간 토론은 시청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청태도가 한국의 국가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국가 이미지는 방문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중국의 영상 플랫폼에서 다루어지는 한류 영상 콘텐츠를 중심으로, 중국의 주요 문화산업인 플랫폼산업과 한국문화, 한국관광을 함께 다루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온라인 게시글의 조회수 분석을 통한 인기도 예측 (Prediction Model for Popularity of Online Articles based on Analysis of Hit Count)

  • 김수도;조환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0-51
    • /
    • 2012
  • 한국의 온라인 토론게시판은 의견 공유뿐 아니라 여론 형성과 참여를 위한 공간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토론게시판에서 어떤 글은 사회적 정치적 이슈를 몰고 다니기도 하고 어떤 글은 사용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유명 토론게시판인 다음 아고라와 서프라이즈에서 수집한 글의 통계적 정보를 이용하여 글의 인기를 분석하고 인기글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모델을 제안한다. 분석결과 아고라는 87.52%의 글이 게시판에 제출된 후 하루가 지나기 전에 글의 인기가 끝나고 있었지만 서프라이즈는 39%의 글이 4일 이상 인기가 지속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글의 인기기간과 조회수의 상관관계는 낮았다. 조회수 증가가 오랫동안 지속된다고 해서 최종 조회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분류와 예측 분야에서 잘 알려진 SVM 모델과 유사매칭 모델, 그리고 새롭게 제안한 예측 모델 '베이스 라인'을 이용하여 인기글을 예측하고 평가하였다. SVM 모델이 F-measure와 정밀도에서 유사매칭과 베이스라인보다 우수하였으며, 베이스라인이 실행시간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사이버대학 e-러닝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 규명 (The Examination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Students' e-learning Participation that Have an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in e-learning Environment of Cyber University)

  • 강민석;김진일;박인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35-14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 e-러닝 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사이버대학 e-러닝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e-러닝 학습 참여 변인과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어떤 학습 참여 변인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 학습자 배경(성별, 연령별, 학년별)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은 무엇인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규명한다. 연구 결과, 학습 참여 변인 중 출석률과 토론게시판 게시 횟수가 학업 성취도와 높은 상관관계에 있었으나, 누적학습시간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으로는 출석률, 토론 게시판 게시 횟수, 강의실 접속 순으로 규명되었다. 학습자 배경별로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참여 변인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이버대학 e-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제고하기 위해 학습 참여 변인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언한다.

  • PDF

사회적 익명성이 커뮤니티 품질에 미치는 영향 : 표현욕구, 자기통제, 유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Anonymity on Community Quality : Mediated by Self Expression, Self Control, and Community Ties)

  • 신지명;김경규;박주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57-28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 간의 상호 교류가 중심인 온라인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사회적 익명성이 커뮤니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자기표현욕구, 자기통제, 유대성의 개념을 알아보고 커뮤니티의 품질을 정보의 질, 토론의 질로 구분하여 이들이 사회적 익명성과 관계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설문을 통한 실증적 분석 결과, 사회적 익명성은 토론의 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보의 질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 표현 욕구, 유대성, 자기통제는 사회적 익명성과 토론의 질 관계에서 긍정적인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사회적 익명성과 정보의 질간의 관계에서도 자기표현욕구와 유대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커뮤니티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온라인 커뮤니티의 방향성과 지침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미술관 온라인 전시가 관람객의 미적 경험과 오프라인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Exhibitions in Art Museums on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Offline Viewing Intentions of Visitors)

  • 박소라;김선영
    • 예술경영연구
    • /
    • 제60호
    • /
    • pp.121-15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 온라인 전시가 관람객의 미적 경험과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전시의 속성을 접근성, 상호작용성, 정보성, 유희성 등으로, 미적 경험은 감정적, 소통적, 인지적, 지각적 영역 등 4개의 요인으로 각각 구성하여 오프라인 미술관의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첫째 온라인 전시는 미적 경험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적 경험 중 감정적 영역에는 정보성이, 소통적 영역과 지각적 영역에는 유희성이, 인지적 영역에는 접근성이 각각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온라인 전시는 오프라인 전시 관람 의도에 유희성, 상호작용성, 정보성 순으로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적 경험은 인지적, 감정적, 소통적, 지각적 순으로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미적 경험은 온라인 전시와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를 부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온라인 전시 이용자들을 오프라인 전시로 유도하는 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학술적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웹2.0 기반 온라인 로봇교육 커뮤니티의 개발 (Development of an online robot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Web 2.0)

  • 성영훈;하석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73-280
    • /
    • 2009
  • 인터넷은 지식정보화 사회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되면서 사람들 간의 정보 교류와 의사소통의 장으로 확장되고 있다. 최근 로봇교육기관들도 인터넷을 이용한 각자의 홈페이지들을 구축, 운영하면서 다양한 로봇관련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로봇교육기관 홈페이지들은 대부분 제한적인 검색기능과 일반적인 자료만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들을 위한 유용한 로봇교육정보들과 교육활동들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로봇교육교사들과 사용자들을 위한 로봇교육소식제공, 로봇학습기능, 다양한 로봇교육경험의 공유, 실시간 정보교류를 할 수 있는 온라인 로봇교육 커뮤니티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 PDF

인터넷 토론 게시판의 게시물 인기도 예측 모델 (A Model to Predict Popularity of Internet Posts on Internet Forum Sites)

  • 이윤정;정인준;우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9D권1호
    • /
    • pp.113-120
    • /
    • 2012
  • 오늘날 인터넷 사용자들은 유튜브(YouTube)와 같은 온라인 콘텐츠 공유 사이트를 통해 손쉽게 자신의 콘텐츠를 만들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있다. 그로 인해 하루에도 엄청난 양의 온라인 콘텐츠들이 쏟아지고 있다. 온라인 콘텐츠들의 홍수 속에서 어떤 콘텐츠가 향후에 인기가 있을 것인지를 예측하는 문제는 일반 이용자들이나 콘텐츠 공유 사이트 운영자들 모두가 관심을 가지는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토론 게시판에 등록된 게시물들의 인기도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토론 게시판에 등록된 게시물들의 인기도를 예측하기 위해 게시물의 조회수를 인기 척도로 간주하고 각 게시물의 조회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게시물의 최종 조회수를 예측하기 위하여 관찰된 조회수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수 함수를 기반으로 하는 조회수 증가 모델을 제안한다. 다음 아고라 게시판의 게시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전체 실험 게시물 중 약 90.7%인 20,532개의 게시물이 예측 오차가 10개 이하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