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Site Conservation

검색결과 687건 처리시간 0.026초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목표 성취를 위한 우리나라 OECM의 개별 평가 기준 연구 - 국립가리왕산자연휴양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ite-Level Assessment Criteria of OECM in Korea for Achieving 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 Focusing on the National Gariwang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

  • 심윤진;성정원;이경철;권형근;이다현;안종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28
    • /
    • 2024
  • In order to achieve the management goals (30by30) mandated by the 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this study established the site-level assessment criteria for OECMs, tailored to domestic circumstances using the Delphi analysis. Subsequently, a site-level assessment was conducted on the National Gariwang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itial step involved presenting criteria for the site-level assessment of OECMs, with 'consent for the assessment and recognition of OECM by competent and management authority' proposed as a prerequisite. Subsequently, seven evaluation criteria were established, including 'other than a legally protected area', 'spatially separated area with defined boundaries', 'effective in-situ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sustainable management based on the competent and management authority', 'long-term sustainability of conservation outcomes', and 'provision of ecosystem services'. The results of applying site-level assessment criteria to the National Gariwang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indicate that six criteria were met, while one criterion (sustainable management based on the competent and management authority) requires further improvement. Specifically, the key competent and management authorities for the National Gariwang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are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the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 Management Office, with competent and management organizations established. However, the management focus is primarily on providing forest recreation services centered on users and facilities, making it difficult to confirm the long-term biodiversity conservation plans and implementation by the competent and management authorities.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improve the long-term biodiversity conservation plans and implementation for the recognition of the National Gariwang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as an OECM.

천안 두정동 출토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분석 고찰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Archaeological Chemistry on the Class Beads of Dujeong-dong site of Cheonan, Korea)

  • 송유나;김규호
    • 보존과학회지
    • /
    • 제18권
    • /
    • pp.5-18
    • /
    • 2006
  • 충남 천안 두정동 유적은 4세기 전반에 해당하는 백제시대 유적으로 이곳에서 출토된 고대유리 18점에 대한 가시적 특성 및 화학조성을 분석하여 한국 고대유리의 과학적 특성 및 시대적 상관성을 고찰해 보았다. 가시적 특성 및 미세구조는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으로, 화학 조성은 파장형분광분석기가 부착된 주사전자현미경(SEM-EDS)을 이용하여 정량 및 정성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금박구슬, 관옥, 환옥 등 다양한 형태의 유리가 출토된 두정동에서는 납바륨유리 소다유리 포타쉬유리 등 삼국시대를 중심으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한국 고대유리의 조성이 모두 확인된다. 이와 함께 두정동 유리의 조성은 표면 색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색상별로 안정제가 차이를 보인다.

  • PDF

A Study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Stone Tools Excavated from the Remain Point of Paleolithic Age in Osong Site, Cheongju

  • Kim, Jae Hwan;Han, Min Su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1-49
    • /
    • 2019
  • This study analyzes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stone tools of the Paleolithic period excavated from the Osong site, located at the project site for the creation of the Osong 2nd Life Science Complex, and estimates the provenance of the stone materials. Because the stones had been buried for a long time, their surfaces had become heavily weathered yellow or yellowish-brown, and the magnetic susceptibility values varied from 0 to 15(${\times}10^{-3}SI$). The excavated stone tools were rocks with various magnetic susceptibility values that could not be specified. Five stone tools subjected to destructive analysi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ith a value of 1-3(${\times}10^{-3}SI$) and the other with a value of 5-9(${\times}10^{-3}SI$), both based on visibl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thin-section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 stone tools were basaltic rocks comprising plagioclase, quartz, and pyroxene, and some had iron content as high as 20 wt.%. These findings and the present geological map suggest that the stone tools were not made from the surrounding rocks because there are no areas containing basaltic rocks surrounding Bongsan-ri in Osong-eup. Andesite and tuff are distributed along with basaltic rocks in the Doan-myeon area in Jeongpyeong-gun, Chungcheongbuk-do Province, but the distance from the excavation site is too far. To determine whether this region is actually related to the provenance of the raw rock, it is necessary to conduct additional field surveys and comprehensive and precise analyses.

원주 법천사지 토제 치미의 제작기법과 보존처리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Chimi - (Ridge-end tile) Excavated from the Beopcheonsa Temple Site, Wonju -)

  • 이승강;조성연;허일권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18-527
    • /
    • 2019
  • 원주 법천사지(사적 제466호)에서 파편 상태로 출토된 치미의 제작기법을 조사하고 보존처리(복원)를 진행하였다. 치미의 제작기법 조사 결과는 동체부 제작, 날개부와 깃 부착, 장식부 제작, 상·하단 사절흔, 상·하단 연결을 위한 투공, 조형적 특징 등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보존처리는 예비조사, 이물질 제거, 강화처리, 접합 및 복원, 색맞춤 순서로 진행하였다. 특히 접합 후 결손 부위의 원형 복원을 위해 3차원스캐닝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치, 크기, 각도 등을 추정하였다. 복원한 치미는 높이 118 cm, 무게 121 kg에 이르는 대형 치미로서 이는 국내 완형(복원) 토제 치미 중 5번째로 큰 크기이다. 또한 깃이 뾰족한 형태의 치미는 현재까지의 국내에 알려진 유사 사례가 없어 희귀한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화성 향남 요리 출토 심발형 토기 수습과 보존처리 (On-sit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Beaker-shaped Pottery from Yori, Hyangnam, Hwaseong)

  • 권오영;함철희;이선명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94-504
    • /
    • 2020
  •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지역본부에서 시행 중인 화성 향남 2지구 동서간선도로 건설 부지 내에서 총 10개소(A~J) 유적지가 확인되었다. 화성 요리 고분군 유적은 H지점에 해당하는 곳으로 조사 결과, 다양한 삼국시대 고분군이 확인되었고 그중 목곽묘에서 금동식리와 금동관모 등이 출토되었다. 본 연구 대상 토기는 목곽묘에서 출토된 유일한 토제 유물로 태토는 연질이며, 적갈색의 느슨한 기질에 1 mm 미만의 석영, 장석이 비짐으로 첨가되었다. 토기의 소성 온도는 운모류가 소멸되지 않고 석영의 상전이 광물인 트리디마이트(tridimite)가 생성되지 않았으며, 800℃에서 견운모의 탈수 작용에 의한 흡열피크가 미약하게 확인되는 점으로 보아 800~870℃로 추정된다. 토기는 유적 위로 지층이 형성되면서 발생된 토압, 동결과 융해의 반복 등 여러 원인에 의해 매우 약화된 상태였다. 토기만 단독으로 수습하기 불가능한 상황이었으므로 토기를 고정하고 있던 주변 토양을 같이 수습하고 보존처리실로 이동하여 체계적으로 안전하게 보존처리하였다.

포항(浦項) 옥성리(玉城里) 가-35호분(號墳) 출토(出土) 투구(주(胄))의 보존처리(保存處理)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Iron-Helmet Excavated from Oksung-ri Tomb, Pohang)

  • 김종오;정혜윤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3권
    • /
    • pp.9-13
    • /
    • 2001
  • 국립경주박물관의 보존처리 의뢰를 받아 포항 옥성리 가지구 35호분 목곽묘출토 철제투구(주(胄))의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보존처리자는 발굴현장에서 유물수습에서 부터 보존처리와 복원품의 제작에 이르는 일련의 작업과정을 보고하였다.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활용한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의 원료산지 고찰 (Provenance Analysis of Horse-shaped Bronze Buckles Excavated from Site of Songjeol-dong, Cheongju)

  • 배고운;이상옥;정광용;신승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9-216
    • /
    • 2019
  •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 29점의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납의 원료산지를 확인하고, 출토지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동북아시아 방연석 분포도(Mabuchi, 1985) 대입결과 대부분 중국 남부영역 내에서 매우 밀집한 분포 경향성을 나타내었으며, 한반도 납동위원소 분포도 적용결과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에 해당하는 영남육괴 및 옥천변성대 지역인 Zone 3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는 출토지와 유사한 지역에 위치한 방연석 광산에서 채취한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한반도 마형대구 출토 중심지역에 해당하는 중서부지역의 미호천유역 및 안성천유역 출토 마형대구 38점의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해당 문화권 내 마형대구 제작에 사용된 납 원료산지의 연관성 및 지역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시대적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는 마형대구를 대상으로 한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를 축적하여 추가적인 원료산지 비교분석 연구를 통해 한반도 출토 마형대구의 납 원료산지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보존유적 현황과 문제 인식을 통한 보존조치 제도 연구 (A Study on Policies for Conservation Measures Based on the Status and Issues of Conserved Remains)

  • 소재윤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110-127
    • /
    • 2020
  • 보존유적이라 함은 건설 공사에 따른 구제 발굴로 인하여 중요 유적이 확인될 경우 매장문화재 가치 평가에 따라 보존조치되는 유적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수십 년간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토지개발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구제 발굴 건수도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고 이에 따른 보존유적도 자연히 급증하게 되었다. 현재는 이러한 보존유적의 증가로 토지 수용부터 관리·활용 등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명확한 해결 방법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적 보존과 관련된 기술적인 문제보다 주로 제도상의 문제점 인식을 통해 보존유적 관리와 제도에 관심을 가지고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정된 재원과 인력으로 보존유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제도의 미비점을 먼저 확인하고 검토하는 것이 우선이라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제도 개선을 요구할 수 있는 여러 안들이 있겠지만 현 제도상에서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는 것은 보존유적에서 지정문화재로 신속한 전환 혹은 검토라 할 수 있다. 보존유적은 조치 이후 관련 후속 법규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지정문화재와 달리 임시적인 보존 방편에 불과하다. 이를 장기간 유지하게 될 경우 당연히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존유적을 지정문화재와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는 법적 제도를 마련하든지 아니면 현 제도상에서 개선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여 문제의 최소화를 꾀하는 방법이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지정문화재로의 신속한 전환 방법 외에도 제도적 개선이 가능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현재의 보존조치 유형은 현지보존, 이전보존, 기록보존 이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를 다시 두 개의 조치 유형과 그 하위의 네 가지 유형으로 재분류해 보았다. 현지보존은 보존유적과 새롭게 제시한 복토유적 두 가지만 포함시키고, 나머지 이전활용유적과 기록보존유적은 사업 시행이 가능한 보존조치 유형으로써 현지보존과 대비되는 대체보존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복토유적도 보존유적과 다르게 사업 시행이 가능한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완주 신풍유적 출토 고려시대 청동생산 부산물의 재료학적 특성 (The Study on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By-Products of the Production of Bronze during the Goryeo Dynasty Excavated from the Sinpung Site, Wanju, Jeollabuk-do, South Korea)

  • 최남영;조남철;강병선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92-402
    • /
    • 2019
  • 전북 완주 신풍유적 출토 고려시대 슬래그와 송풍관을 대상으로 신풍유적의 야동기술(冶銅技術)성격을 확인하고, 납 원료산지를 추정하기 위해 납동위원소비를 실시하여 알아보았다. 성분분석 결과, Cu-Sn-Pb 삼원계 합금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슬래그와 송풍관으로 해석되었다. 금속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분석결과, 동괴와 주석괴에 방연석을 첨가하여 완제품 제작을 위한 중간소재를 생성하는 합금단계에서 발생한 부산물로 추정된다. 납동위원소비분석 결과, 한국 남부 Zone III 지역의 광산에서 채굴된 방연석을 사용하여 합금한 것으로 판단된다. 송풍관은 송풍관의 외측으로 갈수록 Mullite가 검출되어, 1,000℃ 내외에서 조업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

연안습지의 자연현황 분석 및 그 활용에 관한 연구 - 태안 신두리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nalysis of a Conservation state and a Sustainable use of the Coastal Wetland - A case study of Sindu-ri area in Tae-an -)

  • 방광자;이동근;강현경
    • 환경영향평가
    • /
    • 제7권1호
    • /
    • pp.71-8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a conservation state and a sustainable use of coastal wetland in Sindu-ri Tae-an, using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and the awareness result of local residents by published paper. To investigate a forest structure in Sindu-ri area, twenty plots were set up and surveyed. The community, is divided by three groups. The divided groups are Robinia pseudoacacia(I), Pinus thunbergii-Robinia pseudoacacia(II), Robinia pseudoacacia(III). Survey site I is simple canopy layer and deteriorative forest. Survey site II is grassland and swamp, where Pinus thunbergii-Robinia pseudoacacia is dominant trees of vegetation. Robinia pseudoacacia is competition species with Pinus thunbergii in survey site II. Survey site III is barren land(sand-hill) where main species is Robinia pseudoacacia. As a result, survey II district is considered as the most suitable for the conservation of species diversity. It is proposed in this paper that the ecological nature trail would be connected in survey site I and II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 local residents of Tae-an, where natural environment is well-conserved, prefer conservation to development of the region. In case of Tae-an, where the condi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is well conserved and the development potential exists, the development is in harmony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