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ive

검색결과 1,320건 처리시간 0.029초

Emulsion Mapping in Pork Meat Emulsion Systems with Various Lipid Types and Brown Rice Fiber

  • Choi, Yun-Sang;Kim, Young-Boong;Kim, Hyun-Wook;Hwang, Ko-Eun;Song, Dong-Heon;Jeong, Tae-Jun;Park, Jinhee;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58-264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mulsion mapping between emulsion stability and cooking yields, apparent viscosity, and hardness of reduced-fat pork emulsion systems. The reduced-fat emulsion systems were supplemented with different lipid types and brown rice bran fiber (BRF)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e control with 30% back fat, lower emulsion stability and higher cooking yield of meat emulsion systems were observed in T1 (30% back fat+1% BRF), T2 (30% back fat+2% BRF), T3 (30% back fat+3% BRF), T4 (30% back fat+6% BRF), and T15 (10% back fat+10% canola oil+2% BRF). Lower emulsion stability and higher apparent viscosity were observed in T1, T2, T3, T4, and T8 (20% back fat+3% BRF) compared to the control. Lower emulsion stability and higher hardness was detected in all treatme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except T5 (20% back fat), T10 (10% back fat+10% canola oil+2% BRF), T11 (10% back fat+10% olive oil+2% BRF), T12 (10% back fat+10% grape seed oil+2% BRF), and T13 (10% back fat+10% soybean oil+2% BRF). This approach has been found particularly useful for highlighting differences among the emulsified properties in emulsion meat products. Thus, the results obtained with emulsion mapping are useful in making emulsified meat products of desired quality characteristics, partially replacing pork back fat with a mix of 10% back fat, 10% canola oil and 2% BRF was most similar to the control with 30% pork back fat.

Elder Berry이용(利用)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Elder Berry 열매의 유지자원(油脂資源)으로서의 이용성(利用性)에 관하여 - (Studies on Elder Berry Utilization - Part 1. Experiments on the Utilization of Elder Berry Fruit as Oil Resources -)

  • 신응태;박광훈;민병용;서기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04-408
    • /
    • 1978
  • 1. 엘더베리 열매의 일반분석결과(一般分析結果) 조지방(粗脂肪) $1.56{\sim}2.50%$, 조단백질(粗蛋白質) $2.50{\sim}6.10%$ 조회분(粗灰分) $0.7{\sim}1.3%$ pectin 0.73%로서 열매는 $6{\sim}7%$의 씨를 합유(合有)하고 있었다. 2. 엘더베리기름 중(中) hot pressed oil은 참기름과 맛, 향(香)이 비슷하였고 cold pressed oil은 올리브기름과 향(香), 색(色)이 비슷하였으며 비중(比重) $0.915{\sim}0.925$로서 씨로부터 $26.18{\sim}26.55%$의 수율(收率)로 얻어졌다. 3. 엘더베리기름은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이 다량함유(多量含有)된 기름이었고 추출박(抽出粕)은 조단백질(粗蛋白質)이 $12.65{\sim}18.66%$를 함유(含有)하고 있어 가축사료중(家畜飼料中) 농후사료(濃厚飼料)로 사용가능(使用可能)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AQUI-S^{\circledR}$의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에 대한 진정 및 마취 효과 (Investigation on Sedation and Anesthetic of $AQUI-S^{\circledR}$ for Black Rockfish(Sebastes schlegeli))

  • 신기욱;신용승;김영림;이은영;양향희;팔락샤;연성찬;이희천;오명주;조성준;강승원;정태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6-242
    • /
    • 2006
  • Along with olive flounder(Paralichthys olivaceus), black rockfish(Sebastes schlegeli) is another very popular maricultured species in Korea. As there is many difficulties in handlling live fish for aquaculturist, use of suitable anesthesia for proper handling of fish is very important in the field. In this view, the effect of $AQUI-S^{\circledR}$ has analysed for its use in the field. $AQUI-S^{\circledR}$, contains 50% isoeugenol, is a new anesthics for fish and zero-withdraw time required since it was approved as a safe additives of food. In the present study, black rockfish adult exhibted sedation effect from 5 ppm at $10^{\circ}C\;and\;15^{\circ}C$, and 7.5 ppm at $20^{\circ}C$, on the other hand, anesthesia was at least required 7.5 ppm at $10^{\circ}C\;and\;15^{\circ}C$, and 10 ppm at $20^{\circ}C$. The fish was recovered from sedation and anesthesia after approximately 5 and 10 minutes, respectively. In case of black rockfish fry, sedation was recorded from 2.5 ppm at $20^{\circ}C$, and 5 ppm at $15^{\circ}C\;and\;20^{\circ}C$. The least concentraion of anesthesia was 2.5 ppm at $10^{\circ}C$, 7.5 ppm at $15^{\circ}C$, and 5 ppm at $20^{\circ}C$. The acute toxic test showed that black rockfish adult and nv showed mortality above 12.5 and 15 ppm concentration of $AQUI-S^{\circledR}$, respectivly. In sum, $AQUI-S^{\circledR}$ is considered as useful anesthetic drug for sedation and anesthesia of black rockfish, it is highly availbale to be prevented from a varity of stress.

The recovery effect of polyacetylene constituent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s on hepatic injury in dogs

  • Cho, Sung-nam;Liu, Jianzhu;Jun, Hyung-kyou;Cho, Sung-whan;Chang, Kyu-seob;Kim, Seong-ju;Kim, Young-hee;Yang, Hyo-jin;Kim, Duck-hwa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25-331
    • /
    • 2007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recovery effect of polyacetylene constituent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ethanol extracts on $CCl_4$-induced acute hepatic injury in dogs. Sixteen clinically healthy dogs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six dogs), and experimental group I (three dogs), II (three dogs) and III (four dogs). Acute hepatic injury was induced by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1 ml/kg $CCl_4$ solution ($CCl_4$ : olive oil = 1 : 1) after sterilization. The control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10 ml of corn oil, and experimental groups I, II and III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extracts of A. senticosus at the dose of 5, 10 and 30 mg/kg in 10 ml corn oil for seven consecutive days at 24 h after $CCl_4$ injection. We assessed changes occurring in serum ALT, AST and GGT activities on the pre, day 0, day 1, day 2, day 3, day 5 and day 7, together with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In experimental group I, the significant changes in serum ALT activities were found on day 5 (p<0.05) and day 7 (p<0.05),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he changes of serum AST and GGT activities. In experimental group II,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on day 2 (p<0.05), day 3(p<0.05), day 5 (p<0.05) and day 7 (p<0.05) in serum ALT activities, on day 1 (p<0.05) in serum AST, and on day 2 (p<0.05) and day 3 (p<0.05) in serum GGr activities, respectively. In experimental group III, the changes in serum ALT, AST and GGT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experimental group I and II showed much improvement, while experimental group III became worse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was concluded that low dose (below 10 mg/kg) administration of polyacetylene constituents from A. senticosus ethanol extracts was effective for recovery of acute hepatic injury induced by $CCl_4$ in dogs.

비씨 제이드의 보석학적 연구 (Gemological Characterization of B. C. Jade)

  • 김원사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7-182
    • /
    • 2008
  • 캐나다 브리티시 콜럼비아주 카시아르광산에서 산출되는 B.C. jade에 대한 보석학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편광현미경 관찰, 경도, 굴절율 및 비중 측정, X-선회절분석, X-선형광분석, ICP-MS, 적외선흡수분광분석, 시차열분석/열중량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B.C. jade는 짙은 녹색을 띠고 반투명하며, 지방광택을 나타내며, 주구성광물은 투각섬석-양기석 고용체이다. 미량의 석류석과 미화인된 불투명광물이 공생한다. 모스 경도는 $5.5{\sim}6$, 굴절율은 1.62, 비중 3.01이다. 인성이 강하며 침상단구를 나나낸다. Fe의 함량이 높으며($Fe_2O_3\;4.14{\sim}4.66\;wt%$) 녹색을 띠게 하는 발색소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B.C. jade는 $926.9^{\circ}C$에서 탈수현상이 일어나면서 파괴되기 시작하며, $1000.8^{\circ}C$에서 투각섬석-양기석이 투휘석+엔스타타이트+석영+물($H_2O$)로 분해되는 반응이 거의 완결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가능성은 $926.9^{\circ}C$ 이상에서 1.93 wt%의 중량손실이 일어나는 열중량 분석결과와 잘 일치한다.

국내 종실류를 이용한 압착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 항산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ed Seed Oils by Pressure Method using Domestic Seeds and Nuts)

  • 구희연;이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55-661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식물자원을 이용한 압착 오일의 화장품소재로서 항산화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4종류의 종실에서 기름을 착유하여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GCMS)로 지방산 성분 분석을 비교하고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DPPH radical scavenging과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을 측정하였다. 호박씨 오일, 동백씨 오일, 땅콩 오일은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 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열처리 후에도 고추씨 오일을 제외하고는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DPPH에서 고추씨 오일은 농도 $200{\mu}{\ell}/m{\ell}$에서 87.84%의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호박씨 오일, 땅콩오일 그리고 동백씨 오일은 $1000{\mu}{\ell}/m{\ell}$에서 각각 75.20%, 74.16%, 43.18%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ABTS에서는 고추씨 오일은 농도 $200{\mu}{\ell}/m{\ell}$에서 76.72%의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호박씨 오일, 땅콩 오일 그리고 동백씨 오일은 $1000{\mu}{\ell}/m{\ell}$에서 각각 76.25%, 73.34%, 41.2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양성대조군인 올리브 오일과 비교하여 DPPH에서는 고추씨 오일, 호박씨 오일 그리고 땅콩 오일이 대조군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ABTS에서는 고추씨 오일, 호박씨 오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열처리 후 항산화 활성능력은 근소한 차이를 보여, 본 연구를 통해 4종의 오일은 화장품 용 소재로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오메가-3와 -9 지방산의 혼합 급이가 계육내 오메가-3 계열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 (Omega-3 and -9 Fatty Acid Combination Effects on Broiler Chicks to Produce Chicks with High in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

  • 신대근;최성호;조영무;박재홍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8
    • /
    • 2012
  • 본 연구는 오메가-3 다가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높인 육계의 생산을 위하여 n-3 지방산과 올리브유를 혼합한 사료[CON(5% 일반지방), FXO(2.5% 아마씨유+ 2.5% 올리브유), FEO(2.45% 아마씨유+ 0.05% EPA + 2.5% 올리브유), FDO(2.45% 아마씨유+ 0.05% DHA + 2.5% 올리브유) 그리고 FHO(2.5% 어유+ 2.5% 올리브유)]를 육계에게 4주 간 급이하였다. 4주간의 사양 후 도계를 통하여 닭의 간, 가슴살 그리고 다리살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간은 간 무게/생체중의 비율, 육색 그리고 지방산의 조성 분석을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닭 가슴살과 다리살은 지방산 함량 분석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FHO 사료를 급이한 육계의 간은 EPA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DPA와 DHA는 높았다(p<0.05). 가슴 근육은 n-6 지방산인 AA와 DPA 그리고 n-3 지방산에서 FDO 처리구가 이외의 처리구 대비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더욱이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치적으로 EPA와 DHA 함량 역시 높았다. LNA 함량은 FEO와 FDO 사료를 급이한 닭의 다리 근육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AA 함량 또한 FHO와 유사하였다. FHO 사료를 급이한 닭의 다리 근육은 EPA, DHA 그리고 n-3 지방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에 AA의 함량과 n-6/n-3 지방산의 비율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따라서 본 실험은, n-3의 다가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n-6/n-3 비율의 향상을 위해서는 근섬유 조성에 따라 그 접근법이 달라야 된다는 사실이 조사되었으며, 가슴과 다리 근육 내 n-3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각각 FDO와 FHO 사료의 급이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흰쥐 성장기간에 따른 Xylene의 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ging on the Xylene Toxicity in Rats)

  • 이혜자;이상희;전태원;이상일;윤종국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93-199
    • /
    • 2000
  • 실험동물에 있어서 연령 차이에 따라서 xylene 독성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는 일환으로 5주령 및 12주령 흰쥐에 50% m-xylene을 체중 100 g 당 0.25 ml씩 1회 투여한 다음 24시간 후에 처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Xylene투여로 인한 요 중 methylhippuric acid 함량은 5주령군이 12주령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간조직 중 cytochrome P-450 함량은 대조군에 있어서 5주령군이 12주령군 보다 약 50% 정도 낮게 나타났으나 xylene 투여로 인한 cytochrome P-450 함량 증가율은 12주령군 보다 5주령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간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치도 대조군에 있어서는 5주령군이 12주령 보다 약 35% 정도 낮게 나타났으나 xylene 투여로 인한 본 효소의 활성 증가율은 5주령군에서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간 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치는 대조군 및 xylene 투여군 모두 5주령과 12주령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xylene 투여시 체중 당 간무게, 간조직 malondialdehyde 함량 및 혈청 ALT 활성 변동을 통하여 간손상 정도를 상호 비교 관찰하였을 때, 12주령군이 5주령 실험동물 보다 간손상이 다소 심하게 나타남을 알 수가 있었다. 이상 실험결과는 연령에 따라 xylene에 의한 간손상의 차이는 이물질의 생체내 대사율이 달리 나타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조피볼락에 대한 Vibrio harveyi의 병원성 (Pathogenicity of Vibrio harveyi to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최정현;원경미;손새봄;박효진;변순규;이배익;이종하;김이청;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9-108
    • /
    • 2007
  • 본 연구는 V. harveyi의 luminescence 유무와 해수 어류에 대한 병원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non-luminous V. harveyi 와 luminous V. harveyi 분리 균주로 조피볼락에 대한 병원성 시험을 시행하였다. 시험 균주 V. harveyi 모두 haemolytic activity를 나타내었으며, 어체 내 생존능은 non-luminous V. harveyi 분리 균주 FR 2가 강한 생존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조피볼락에 인위 감염시, non-luminous V. harveyi 분리 균주 FR 2가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며 luminous V. harveyi 분리 균주 VIB 391은 낮은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조피볼락에서는 non-luminous V. harveyi 분리 균주 FR 2가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며 luminous V. harveyi 분리 균주 VIB 391은 매우 약한 병원성을 나타내어 luminescence의 유무에 따라 해수 어종에 대한 병원성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주도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로부터 분리한 비 용혈성 연쇄구균의 동정 (Characterization of Streptococcus parauberis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the Jeju Island)

  • 강철영;강봉조;문영건;김기영;허문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9-11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구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나 양식터봇의 연쇄구균 병원체로 보고 된 바가 있는 제주 양식넙치에서 분리되는 γ 용혈성의 연쇄구균인 Streptococcus parauberis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 parauberis에 대한 분리균주의 탄소원을 기질로 이용하는 특성은 Annette and Collllins (1990)가 보고한 결과와 유사하였다.또한 분리된 균주들을 계통분류학적 분석 결과 Accesion number AY584477 하나의 그룹으로 묶였지만 S. iniae와는 다른 그룹으로 묶였다. 그러나 Collins가 Streptococcus iniae (X58306)와 S. parauberis (X89967)이 한 그룹으로 묶인다고 발표한 것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16S rRNA gene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 결과는 S. parauberis (AY942572)와 98%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S. parauberis로 동정하였다. S. parauberis는 S. uberis type Ⅱ로 분류되었으나 Williams and Collins (1990)에 의해서 S. parauberis라는 종명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제주도 양식넙치의 연쇄구균증 병원체로 S. parauberis로 판단되나 이번 실험에서 감염실험이 수행되지 않아 앞으로 본 병원체에 대한 감염 실험과 병리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