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factory lamella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5초

Microscopic research on the olfactory organ of the Far Eastern brook lamprey Lethenteron reissneri (Pisces, Petromyzontidae)

  • Hyun-Tae Kim;Jong-Young Park
    • Applied Microscopy
    • /
    • 제50권
    • /
    • pp.18.1-18.7
    • /
    • 2020
  • The olfactory anatomy and histology of Lethenteron reissneri were researched using a stereo microscope, a light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s in other lampreys, it shows same characters as follows: i) a single olfactory organ, ii) a single tubular nostril, iii) a single olfactory chamber with gourd-like form, iv) a nasal valve, v) a nasopharyngeal pouch, vi) a sensory epithelium (SE) of continuous distribution, vii) a supporting cells with numerous long cilia, viii) an accessory olfactory organ. However, the description of a pseudostratified columnar layer in the SE and Non SE is a first record, not reported in sea lamprey Petromyzon marinus. In particular, both 19 to 20 lamellae in number and olfactory receptor neuron's quarter ciliary length of the knob diameter differ from those of P. marinus. From these results, it might be considered that the olfactory organ of L. reissneri shows well adaptive structure of a primitive fish to slow flowing water with gravel, pebbles, and sand and a hiding habit into sand bottom at daytime. The lamellar number and neuron's ciliary length may be a meaningful taxonomic character for the class Petromyzonida.

한국 고유종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후각기관의 형태 및 조직학적 특성 연구 (Morpholog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Korean Endemic Species, Pseudobagrus koreanus (Cypriniformes, Cyprinidae))

  • 김현태;채동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53-159
    • /
    • 2022
  • 한국 고유종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후각기관과 서식처 환경, 생태적 습성의 연관성, 유연종들과의 특징 비교를 위해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형태 및 조직학적 실험을 진행하였다. 후각기관의 외부 형태는 주둥이 끝에 위치한 튜브형의 전비공과 비수염(nasal barbel) 뒤쪽 기부에 위치한 틈새형(slit)의 후비공으로 구성된다. 내부의 비강에는 비선(raphe)을 중심으로 방사형 또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많은 수의 후판으로 구성된 로제트 구조를 나타낸다. 후판에는 후감각뉴런, 지지세포, 기저세포와 림프구, 형질세포로 구성된 감각상피와 층상상피세포, 점액세포, 림프구로 구성된 비감각상피가 확인되었다. 그중 1) 41~43 (n=20)의 후판, 2) 림프구, 형질세포, 3) 중성 다당류 점액을 보유한 점액세포는 다소 정체된 유속의 서식처 환경, 후각 의존적인 야생성의 생태적 습성, 다른 유연 메기목 어류들과 비교되는 분류학적 특징으로 사료된다.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enesis(Siluriformes, Adrianichthyidae) 후각기관의 기능 해부학적 구조 (Functional Anatomy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Torrent Catfish, Liobagrus somjinensis(Siluriformes, Amblycipitidae))

  • 김현태;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5-68
    • /
    • 2018
  •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 후각기관과 서식처 환경 및 생태적 습성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실체현미경과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부학적 특징을 묘사하였다. 후각기관은 주둥이 위에 좌우 한 쌍으로 존재하였으며, 전비공, 후비공, 비강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었다. 전비공은 튜브형의 형태로 코수염과 윗입술 끝 사이에 위치하였다. 후비공은 표면과 평평한 유출공으로써 코수염의 기부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었다. 비강은 가로와 방사형으로 배열된 혀 모양의 22~24개의 판으로 구성된 로제트 구조를 보유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섬진자가사리의 후각기관의 기능 해부학적 구조는 여울에서의 은신, 섭식, 야행성의 생활패턴에 연관된 높은 후각의존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Morpholog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of two African lungfishes, Protopterus amphibius and P. dolloi (Lepidosirenidae, Dipnoi)

  • Hyun Tae Kim;Jong Young Park
    • Applied Microscopy
    • /
    • 제51권
    • /
    • pp.5.1-5.7
    • /
    • 2021
  • The olfactory organs of two African lungfishes, Protopterus amphibius and P. dolloi, were investigated using a stereo microscope and a compound light microscope and were described anatomically, histologically, and histochemically. Like other lungfishes, these species present the following general features: i) elongated olfactory chamber (OC), ii) anterior nostril at the ventral tip of the upper lip, iii) posterior nostril on the palate of the oral cavity, iv) lamellae with multiple cell types such as olfactory receptor neurons, supporting cells, basal cells, lymphatic cells, and mucous cells (MC), and vi) vomero-like epithelial crypt (VEC) made of glandular epithelium (GE) and crypt sensory epithelium. Some of these features exhibi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MCs are abundant in both the lamellar and inner walls of the OC in P. amphibius but occur only in lamellae in P. dolloi. On the other hand, some between feature differences are consistent across species: the GE of both P. amphibius and P. dolloi is strongly positive for Alcian blue (pH 2.5)-periodic acid Schiff (deep violet coloration), and positive with hematoxylin and eosin and with Masson's trichrome (reddish-brown staining), unlike the MCs of the two species which stain dark red with both Alcian blue (pH 2.5)-periodic acid Schiff and Masson's trichrome but respond faintly to hematoxylin and eosin. The differing abundance of MCs in the two lungfishes might reflect different degrees in aerial exposure of the olfactory organ, while the neutral and acid mucopolysaccharide-containing VEC, as indicated by staining properties of the MCs, is evolutionary evidence that P. amphibius and P. dolloi are the closest living relatives to tetrapods, at least in the order Dipnoi.

붕어 Carassius auratus와 떡붕어 Carassius cuvieri 후각기관의 형태 및 형태계측학적 비교 연구 (Comparative Morphology and Morphometry of the Olfactory Organ of Carassius auratus and Carassius cuvieri (Cypriniformes, Cyprinidae))

  • 김현태;이진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1-17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붕어 Carassius auratus와 떡붕어 C. cuvieri 후각기관의 형태 및 형태계측학적 특징을 실체현미경과 통계프로그램 SPSS를 이용하여 묘사하고 분석하였다. 형태에서 두 종의 후각기관은 외부적으로 반원형의 개방된 전비공, 후비공, 그리고 비경계판으로 구성하며 다수의 후판으로 이루어진 로제트를 보유한 비강 내 구조를 나타냈다. 독립표본 t-검정과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한 두 종간 체장과 후판의 통계적 분석에서 후판의 개수는 붕어(14~20)가 떡붕어(14~16)보다 더 많았고(P<0.001), 체장대비 후판의 비율 또한 붕어(12.7±0.7%)가 떡붕어(8.2±0.6)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01). 결과적으로, 주둥이 위쪽의 개방형 비공의 위치와 모양은 외부의 후각 물질의 유입을 방해하는 경계층(boundary layer)의 감소와 연관되는 형태적 적응이며 떡붕어보다 더 작은 체장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수의 붕어 후판은 생존을 위해 더 높은 후각의존도를 반영하는 형태적 전략으로 간주되며 후판 수 차이와 체장대비 비율 차이는 두 종의 새로운 분류학적 형질로 사료된다.

한국고유종 남방종개 Iksookimia hugowolfeldi 후각기관의 형태 및 형태계측학적 연구 (The Morphology and Morphometry of the Olfactory Organ of Southern King Spine Loach, Iksookimia hugowolfeldi (Cypriniformes, Cobitidae))

  • 김현태;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9-54
    • /
    • 2020
  • 한국 고유종 남방종개 Iksookimia hugowolfeldi 후각기관의 형태 및 형태계측학적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실체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통계프로그램 SPSS로 분석하였다. 후각 기관의 외부 형태는 주둥이 좌우로 돌출된 튜브형의 전비공(직경 0.35~0.53 mm)과 눈모양의 후비공(장축 0.32~0.68 mm)으로 구성된다. 후각기관 내부에서는 14~21개의 후판으로 구성된 로제트 구조가 확인된다. 형태계측학적 분석에서 후판개수(수컷 vs. 암컷, 18±1.8 vs. 17±1.6)와 체장대비 후판개수 비율(24.2±1.3% vs. 21.7±2.5%)은 수컷이 암컷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체장과 후판은 수컷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P<0.001)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남방종개의 후각기관 특징은 서식처 바닥의 모래를 파고 숨는 저서성 생활의 적응과 암수 간 생식에서의 후각의존성 차이를 반영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Cypriniformes, Cyprinidae) 후각기관의 구조 및 조직학적 특성 연구 (Structure and Histological Characters of the Olfactory Organ in Korean Endemic Fish, Microphysogobio yaluensis (Cypriniformes, Cyprinidae))

  • 김현태;이용주;김형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61-166
    • /
    • 2018
  • 한국 고유종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의 후각기관과 서식처 및 생태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체 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후각기관은 외부적으로 전비공, 후비공 그리고 비경계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22~24개의 후판들과 비선으로 구성되었다. 후판은 감각상피와 비감각상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감각상피는 후감각신경, 지지세포, 기저세포들로 구성되었으며, 비감각상피는 층상상피세포, 비감각섬모세포, 산성과 중성을 갖는 황점액소의 점액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후각기관들의 특징들은 돌마자의 높은 후각능력과 의존성 그리고 서식처 환경에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분류학적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고유종 각시붕어 Rhodeus uyekii 후각기관의 형태 및 조직, 세포화학적 특성 연구 (Morphology, Histology, and Histochemistry of the Olfactory Organ in Korean Endemic Fish, Rhodeus uyekii (Pices, Cyprinidae))

  • 김현태;윤승운;이용주;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23-130
    • /
    • 2019
  • 한국 고유종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후각기관과 서식처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 그리고 생태적 습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해부 및 조직, 세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후각기관의 외부형태는 반원의 전비공과 후비공, 비경계판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전비공의 앞쪽에는 아치형의 조직이 돌출되어 있다. 비강 내에는 14~15개의 후판으로 구성되는 로제트 구조를 보유하며 후판은 감각상피와 비감각상피로 구분된다. 감각상피는 후감각뉴런, 지지세포, 기저세포, 림프구, 형질세포로 구성되는 반면에 비감각세포는 층상상피세포, 점액세포, 비감각섬모세포, 미확인세포가 1종류 확인된다. 점액세포의 세포화학적 특성은 산성 및 중성의 황점액소(sulfomucine)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