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eic acid

검색결과 1,478건 처리시간 0.034초

현미의 포장 저장 중 지방산 조성 및 헥사날의 변화에 의한 저장성 예측 (Shelf-life Prediction of Brown Rice in Laminated Pouch by n-Hexanal and Fatty Acids During Storage)

  • 한재경;김관;강길진;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97-903
    • /
    • 1996
  • 현미를 투습, 투기성이 없는 플라스틱 필름 적층 4겹 포장재에 넣고 저장 온도와 기간을 달리하면서 지방산의 산화와 헥사날에 의한 저장성을 예측하였다. 지방산도는 저장온도가 상승하고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높아졌으며, 활성화 에너지는 14.7 kcal/mole이고, $Q_{10}$값은 2.22였다. 현미의 지방질 구성 지방산은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이고 oleic acid와 linolenic acid가 대부분이었으며, 저장 온도가 상승하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linoleic acid는 감소하였으나 oleic acid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eadspace 기체 중의 헥사날도 저장 온도, 저장 기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활성화 에너지는 18.36 kcal/mole이고 $Q_{10}$값은 2.84이었다. 또한, 현미의 저장 중 헥사날의 생성은 linoleic acid의 산화와 비례적인 관계를 보였다. 본 실험의 조건에서 볼 때, 실온$(21^{\circ}C)$에서 현미의 저장성은 헥사날에 의해 80일, 지방산도에 의하여 60일로 예측되었다.

  • PDF

이류체 포그 시스템을 이용한 친환경적 가루이 방제시 올레산의 적정 농도 (Proper Application Concentration of Oleic Acid for Eco-friendly Control of Whiteflies by Two-fluid Fogging System in Greenhouses)

  • 김성은;이상돈;이문행;심상연;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9-304
    • /
    • 2012
  • 본 연구는 친환경적이며 효과적인 시설내 가루이 예방 및 방제를 위해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이용하여 올레산을 분무할 때, 올레산의 적정농도를 구명하고 3회 처리시 방제가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올레산의 적정농도 실험은 부여토마토시험장 단동형 플라스틱온실에서 공시품종으로 도태랑골드를 사용하여 수행했고, 올레산의 3회 처리시 방제가에 대한 실험은 경기도농업기술원 벤로형 유리온실에서 공시품종으로 로쿠산마루를 사용하여 수행했다. 적정농도 실험은 무처리구를 대조구로 하고 올레산 2000ppm과 4000ppm을 각각 처리하고 가루이의 밀도를 조사했다. 3회 처리 실험은 화학살충제 처리와 동일하게 올레산 2000ppm을 2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고, 2일 후에 방제가를 조사했다. 이류체 포그시스템은 실험기간동안 올레산을 처리하지 않을 때에는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온도가 $25^{\circ}C$ 이상이거나 습도가 75% 이하로 내려갈 때 180초 작동 후 30초 휴식을 반복하여 작동했고, 올레산을 처리했을 때에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동일한 조건으로 작동했다. 올레산의 농도실험에서는 2000ppm에서 81.6%, 4000ppm에서 93.6%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즉, 농도를 높게 처리할수록 가루이의 밀도는 크게 감소했다. 올레산 3회 처리 실험에서는 2000ppm을 3회 처리했을 때, 농약등록 기준보다 높은 85.8%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따라서 올레산을 2000ppm 이상 3회 처리하는 것이 친환경적인 가루이의 예방 및 방제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Oleic acid in Angus and Hanwoo (Korean native cattle) fat reduced the fatty acid synthase activity in rat adipose tissues

  • Nogoy, Kim Margarette C.;Kim, Hyoun Ju;Lee, Dong Hoon;Smith, Stephen B.;Seong, Hyun A;Choi, Seong 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2호
    • /
    • pp.380-393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blood lipid profiles, fatty acid composition, and lipogenic enzyme activities in rat adipose tissues as affected by the Angus beef fat (ABF) and Hanwoo beef fat (HBF) containing high oleic acid (OA) content. We assigned 60 Sprague Dawley rats with a mean bodyweight of 249 ± 3.04 g to three groups (n = 20 each) to receive diets containing 7% coconut oil (CON), 7% ABF, or 7% HBF. The OA content was highest in the HBF (45.23%) followed by ABF (39.51%) and CON (6.10%). The final body weight of the HBF-fe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robably due to increased feed intake, indicating the palatability of the diet. The HBF and ABF significantly increase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decreased triglyceride (TG) and total cholesterol (TC) levels, and also tended to attenuate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levels in the bloodstream of the rats compared to CON. As compared to CON, lauric, myristic, and palmitic acids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those of OA and α-linolenic acid (AL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dipose tissues of HBF and ABF-fed groups. The HBF and ABF also reduced lipogenesis as induced by depleted fatty acid synthase (FAS) activity in rat adipose tissues. Nevertheless, between the two fats, HBF showed high feed intake due to its high palatability but reduced lipogenic enzyme activity, specifically that of FAS, and increased HDL-C, decreased TC and TG levels in the bloodstream, reduced saturated fatty acids (SFA), and increased oleic and ALA contents in rat adipose tissues indicating that HBF consumption does not pose significant risks of cardiovascular disease.

냉장중 사슴육 증탕액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Change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enison Extracts during Chilling Storage)

  • 박창일;김영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8-304
    • /
    • 2000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H, proximate composition, pH, VBN, TBA, minerals, and fatty acid of venison extracts, from three slaughtered deers with 180~210 kg live weight (♀, Elk deer, 28~30 months of age) at 4$^{\circ}C$. Proximate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by storage periods. The pH, VBN, and TBA ranged from 4.60~4.62, 13.52~15.75 mg%, and 0.20~0/81mg/kg. respectively. The pH, VBN, and TBA gradually in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p<0.050. Among minerals, K, P, Na, Mg, and Ca were major mineral contents and the Ca, mg, Na content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The major fatty acid found in venison extracts were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arachidonic acid decreased during storage, but palmitic acid, heptadeanonic acid, and stearic acid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U/S (unsalturated fatty acid/saturated fatty acid) ratio tended to decrease during the storage.

  • PDF

유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fatty acids composition by latent fingerprint deposition)

  • 최미정;하재호;박성우
    • 분석과학
    • /
    • 제21권3호
    • /
    • pp.212-221
    • /
    • 2008
  • 사건현장에 잔류하는 잠재지문의 효과적인 탐색 및 감식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비다공성 증거물에 잔류된 잠재지문의 지방산 조성분석을 실시하고 7개월간의 지문유류에 따른 조성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문시료는 한국인 29-50 세 남성 8인과 여성(36 세) 1명으로부터 제공받았다. 모든 지문에서는 lauric acid (C12:0), myristic acid (C14:0),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elaidic acid (C18:1n9t), oleic acid (C18:1n9c), linoleic acid (C18:2n6c),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와 docosadienoic acid (C22:2)의 11종의 지방산이 검출됨을 확인하였고, palmitic acid (35.45-48.37%), oleic acid (14.84-28.49%), stearic acid (9.71-24.96%)와 linoleic acid (7.68-18.85%)가 확인된 지방산조성의 75%이상을 차지하여 주요 구성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개월간 온도 $20-25^{\circ}C$, 습도 40-50%의암실환경에서의장기간유류에따라총지방산의함량이 12-25% 감소하였으며, 이는 elaidic acid (C18:1n9t), arachidic acid (C20:0), linolenic acid (C18:3n3), erucic acid (C22:1n9), docosadienoic acid (C22:2)의 장쇄지방산들의 소실과 단쇄지방산인 myristic acid (C14:0), myristoleic acid (C14:1), pentadecanoic acid (C15:0)의 생성에 따른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마치종(馬齒種)옥수수의 품종별(品種別) 지질조성(脂質組成)의 비교(比較) (Comparative Studies on the Lipid Composition in Varieties of Dent Corn)

  • 안두희;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0-363
    • /
    • 1987
  • 마치종(馬齒種) 6개 품종(品種) 옥수수의 총지질(總脂質), 중성지질(中性脂質)및 극성지질(極性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질성분(脂質成分),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그리고 총지질(總質)의 sterol조성(組成)을 GLC, TLC, TLC-scanner 및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利用)하여 정량(定量)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옥수수의 총지질(總脂質)은 $3.7{\sim}5.3%$의 함량분포(舍量分布)를 보여 평균(平均) 4.7%였다. 2) 총지질(總脂質)의 구성지질성분(構成脂質成分)은 TG, FFA, lano-sterol. hydrocarbon & ES 그리고 PL & Pigment를 함유(含有)하며, TG는 제천옥(堤川玉)과 황옥(黃玉)3호(號)에서 다소(多少) 높았다. 3) 총지질(總脂質)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linoleic, oleic 그리고 palmitic acid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제천옥(堤川玉)에서는 linoleic acid가 가장 높은 반면에, oleic과 palmitic acid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총지질(總脂質)의 불험화물(不驗化物)은 $2.0{\sim}2.7%$의 함량분포(含量分布)를 보였고, 진주옥(晋州玉)에서 다소(多少) 높게 나타났다. 4-desmethylsterol조성(組成)은 sitosterol, campesterol 그리고 stigmasterol이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진주옥(晋州玉)에서 sitosterol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4-monomethylsterol조성(組成)은 obtusifoliol, gramisterol 그리고 citrostadienol이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광옥(光玉)과 진주옥(晋州玉)에서 obtusifoliol과 citrostadlenol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5)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중성지질(中性脂質)의 함량(合量)은 수원(水原)19호(號), 광옥(光玉), 구성옥(橫城玉) 그리고 진주옥(晋州玉)이 제천옥(堤川玉)과 황옥(黃玉)3호(號)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당지질(糖脂質)과 순지질(燐脂質)은 이와 반대(反對) 경향(傾向)을 보였다. 6) 중성지질(中性脂質)의 구성지질성분(構成脂質成分)은 TG, lanosterol, cholesterol, FFA 그리고 ES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있었다. 7)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linoleic, oleic그리고 palmitic acid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수원(水原)19호(號)와 제천옥(堤川玉)에서는 linole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8) 당지질(糖脂質)의 구성지질성분(構成脂質成分)은 MGS, MGC 그리고 MGDG를 함유(含有)하며, MGS와 MGC는 진주옥(晋州玉)에서 가장 높은 반면에, 횡성옥(橫城玉)과 제천옥(堤川玉)에서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9) 총지질(脂質)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oleic, palmitic, linoleic그리고 heptadecanoic acid가 주성분(主成分)을이루고, 진주옥(晋州玉)에서 oleic acid가 가장 높은 반면에 heptadecanoic acid는 가장 낮게 나타났고, 제천옥(堤川玉)에서는 이와 반대(反對) 경향(傾向)을 보였다. 10) 순지질(燐脂質)의 구성지질성분(構成脂質成分)은 PI 및 PC를 함유(舍有)하며, 횡성옥(橫城玉)과 황옥(黃玉) 3호(號)에서 PI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11) 순지질(燐脂質)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palmitic, heptadecanoic 그리고 oleic acid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횡성옥(橫城玉)에서 oleic acid가 가장 높은 반면에, heptadecanoic acid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

국내수집 달맞이꽃 종실의 감마-리놀렌산 함량(Ⅵ보) (Gamma-linolenic Acid Content of Evening Primrose(Oenothera odorata Jacq.) in Korea)

  • 임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6-178
    • /
    • 1990
  • 한국에서 자생군락이 비교적 큰 3지역에서 채집한 달맞이꽃 종자의 필수 지방산을 Capillary column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다. 각 지방산의 조성 함량은 palmitic acid가 6.19-6. 73%, stearic acid가 1.84-l.99%, oleic acid 가 6.73-9.10%, linoleic acid가 74.41-75.53%이었다. 특히 prostaglandin의 전구체인 GLA는 청주가 9.14%, 제천이 9.32%이고, 안동이 8.31%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자생 달맞이꽃은 GLA자원으로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참기름의 특이 성분 함량과 순도 결정에 관한 연구(제2보) (Studies on the Contents of Special Components and Estimation of Purity of Sesame Oil II)

  • 노일협;임미애
    • 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9-176
    • /
    • 1983
  • The verification of genuine sesame oil can be examined by determination of the ratio of fatty acid. Fatty acids were extracted from the saponifiable substance of sesame oils. Fatty acids were methylated with the 14% boron trifluoride methanol solution and injected into a gas chromatograph with Unisole 3000 column and finally determined the molecular weight by mass spectrometry. The fatty acids in laboratory prepared sesame oils were composed mainly of oleic acid 36.7-42.8% and linoleic acid 39.0-46.6%, including palmitic acid 7.9-9.l%, stearic acid 4.1-5.6%, linoleic acid 0.1-3.0%, arachidic acid 0.5-1.0% and eicosenoic acid 0.1-0.5%. The above results allow the estimation of genuine sesame oil, mixed with rape seed oil, soybean oil, perilla oil, etc. In 53 samples, 14 samples were estimated as genuine and it was found that erucic acid was contained in 31 samples, linoeic acid was highly contained in 14, high quantity of linolenic acid was in 7 and palmitic and oleic acid were highly involved in 3.

  • PDF

담금방법을 달리한 고추장의 유기산 및 지방산의 변화 (The Changes in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in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ashing Methods)

  • 전명숙;이택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5-29
    • /
    • 1995
  • 담금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메주, 고오지, amylase, protease 고추장의 유기산과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itr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succinic acid, formic acid, oxalic acid, acetic acid가 고추장에서 검출되었다. Citric acid는 $450{\sim}565$ mg%로 가장 많은 량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lactic acid, malic acid 등이었다. 유기산 총량은 담금직후에 메주고추장이, 90일후는 고오지 고추장이 높았으나 시험구간의 함량차이는 적었다. Oleic acid, palmitic acid, lauric acid, linoleic acid, myristic acid, stearic acid가 고추장에서 검출되었다. Oleic acid는 $68.59{\sim}75.38%$로 가장 높은 함유율을 나타냈으나 각시험구간의 지방산 조성비율은 차이가 거의 없었다.

  • PDF

Effects of Germinated Brown Rice Addition on the Flavor and Functionality of Yogurt

  • Kim, Mi-Hye;Ahn, Sung-Il;Lim, Chan-Mook;Jhoo, Jin-Woo;Kim, Gur-Y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08-515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yogurt, supplement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GBR) containing γ-aminobutyric acid (GABA), during storage. GBR was produced by soaking brown rice at 30℃, and saccharified germinated brown rice (SGBR) was produced by treating brown rice with α- and β-amylase for 1 h, at 80℃ and 60℃, respectively. Yogurt was manufactured using a commercial starter (YC-X11, CHR. Hansen, Denmark) at 37℃ for 12 h. The fatty acids and GABA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GC and HPLC, respectively. The fatty acids in the cereal samples consisted of oleic, linoleic, and palmitic acid. The portion of oleic acid was the highest, at 35.65% in GBR, and 32.16% in SGBR. During germination, the oleic acid content increased, whereas linolenic and palmitic acid contents from GBR tended to decrease. Although the por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stearic and myristic acid,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that of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oleic and linoleic acid,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supplementation of BR, GBR, or SGBR in the yogurt. The yogurt, supplemented with cereal samples, showed a tendency of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GABA with an increase in the supplementation of the cereal samples. However, yogurt supplemented with GBR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GABA, regardless of the supplementation of the cereal sampl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yogurt supplemented with BR, GBR, or SGBR could be a promising dairy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