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eic acid

검색결과 1,483건 처리시간 0.031초

시중 참기름에 혼입된 이종기름에 관하여 (Determination of the Adulteration of Sesame Oils Sold in Markets by Gas Chromatography)

  • 유영찬;박유신;정희선;정진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9-36
    • /
    • 1992
  • 근래 외국에서 참기름이 들어오고 있어 산지에 따른 성분조성을 밝히고자 sterolfb와 지방산류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일본, 중국, 대만 등에서 수입되고 있는 참깨에서 얻은 참기름과 우리 나라 산의 참기름의 성분조성을 비교할 때 유사하여, sterol 류중 campesterol은 1.00~1.29 mg/g이었으며, ${\beta}-sitosterol$의 camp.에 대한 비율은 2.39~2.99%이고, sesamin의 camp.에 대한 비율은 3032~5.46이었으며, 지방산은 palmitic acid 8.37~10.09%, stearic acid 4.61~5.50%, oleic acid 35.24~39.97%, linoleic acid 43.04~49.76%, linolenic acid 0.21~0.31% 그리고 arachidic acid 0.40~0.69% 이었다. 그러나 일부 일본제 상품에서 sesamin이 아주 적게 함유되어 있고 linoleic acid, linolen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반면 oleic acid와 stearic acid가 적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콩기름을 함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상품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이 동일 상품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불법으로 제조된 상품으로 사료되었다.

  • PDF

저장기간에 따른 개소주의 Phospholipid 및 Glycolipid의 지방산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Phospholipid and Glycolipid during Storage Period of Kaesojoo)

  • 박창일;김영직;김영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2-338
    • /
    • 1998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hospholipid and glycolipid of Kaesojoo and Kaesojoo added medicinal herbs during storage(30 days) at 4$^{\circ}C$and -18$^{\circ}C$. Two dogs with 12kg live weight(♀, The Korean Jindo dog Hy-breed, 11∼12 month) were slaughtered to obtain samples.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saturated fatty acids found in phospholipid of Kaesojoo were palmitic acid, stearic acid, myristic acid, while the unsaturated fatty acid found in phospholipid of Kaesojoo with medicinal herbs were palmitic acid, stearic acid, arachidonic acid, while the unsaturated fatty acid were mostly oleic acid,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storage. The saturated fatty acid found in glycolipid obtained from Kaesojoo were mostly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The saturated fatty acid obtained from Kaesojoo with medicinal herbs were palmitic acid, stearic acid, while the unsaturated fatty acid were mostly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The rates of changes in unsaturated and saturated fatty acid were higher at 4$^{\circ}C$ than that of -18$^{\circ}C$ during storage.

  • PDF

한국산(韓國産) 목이(木耳)와 석의(石衣)의 지방산(脂肪酸) 및 스테롤 성분(成分) 조성(組成)에 관(關)한 비교(比較) 연구(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s and Sterols of Hirneola auricula-Judae and Gyrophora esculenta)

  • 남정원;고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12
    • /
    • 1980
  • 한국산(韓國産) 목이(木耳) 석의중(石衣中)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과 스테롤 성분(成分)의 구명(究明)을 G.L.C.와 I.R. 분석(分析)에 의하여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G.L.C에 의(依)한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은 목이(木耳)의 경우 linoleic acid 33.73, palmitic acid 15.52, stearic acid 5.03, oleic acid 16.03, linolenic acid 17.80 및 미지산(未知酸) 11.89%를 나타낸 반면(反面), 석의(石衣)는 linoleix acid 46.35, palmitic acid 31.71, oleic acid 16.82, 미지산(未知酸) 5.12% 및 소량(小量)의 stearic acid와 linolenic acid를 보여주었다. 스테롤 성분(成分)을 T.L.C.에 의(依)하여 분리(分離)한 후(後) I.R. 분석(分析)으로 구명(究明)한 결과(結果) 목이(木耳)와 석의(石衣) 모두 sitosterol과 ergosterol을 함유(含有) 하였다.

  • PDF

식용(食用)지렁이의 영양가(營養價)에 대(對)한 연구(硏究)(III) (Studies on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Edible Earthworm (III))

  • 이현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5-118
    • /
    • 1986
  • 한국산 식용(食用)지렁이(Lumbricus terrestris)를 동결건조시킨 후 분말로하여 chloroform-methanol(2:1, v/v)로 추출한 총지질의 정량 및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로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하여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이들 각 획분별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결건조 지렁이(수분함량 4.68%)를 추출한 총지질은 10.80%였고, Folch법에 의해 정제된 양은 68.5%였다.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로 분획한 결과 중성지질은 35.14%, 당지질이 41.74%였으며, 인지질은 23.12%였다. 각지질 획분별,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중성지질의 포화지방산은 60.01%, monoene산이 25.38%, polyene산이 11.30%이었으며, 지방산중 lauric acid가 15.63%로 가장 많았고, oleic acid가 13.54%로 되어 있었으며, 당지질은 포화지방산이 58.41%, monoene산이 8.67%, polyene산이 5.39%였고, C수가 10미만인 지방산이 23.22%였다. caproic acid가 25.8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lauric acid로 11.22%였었다. 또한 인지질은 포화지방산이 44.75%, monoene산이 17.88%, polyene산이 25.24%로 중성당지질보다 polyene산이 많았었다. oleic acid가 16.20%로 가장 많은 양을 나타내었고, 다음이 caproic acid로 12.07%였었다.

  • PDF

유산균 발효 마늘 추출물의 oleic acid로 유도된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대한 개선 효과 (Ameliorating Effects of Lactic Acid-fermented Garlic Extracts on Oleic Acid-induced Hepatic Steatosis)

  • 이희섭;임원철;최지휘;유희종;김기호;이승현;조홍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62-76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oleic acid로 유도시킨 비알코올성 지방간 HepG2 세포 모델을 활용하여 LAFGE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를 검토하고 RT-PCR과 Western blot으로 메카니즘을 해석하였다. LAFGE는 1 mg/mL 농도에서 NFGE보다 세포 내 지방축적을 약 1.5배 저해하였다. Fig.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LAFGE는 FAT/CD36 mRNA 발현을 감소시켜 세포 내로 유입되는 지방산의 양을 감소시켰으며, $PPAR{\alpha}$와 CPT-1의 mRNA 발현을 증강시킴으로써 지방산의 베타-산화를 촉진시켰다. 또한 LAFGE는 지방합성을 촉진하는 전사인자인 SREBP-1c와 그의 조절을 받는 FAS의 mRNA 발현 수준을 oleic acid 처리시보다 각각 51%와 35%까지 크게 감소시켰다. 뿐만 아니라 LAFGE는 농도의존적으로 SREBP-1c와 FAS의 단백질 발현도 감소시켰다. 이 결과들은 LAFGE가 oleic acid처리에 의해 유도된 HepG2 세포 내의 지방축적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토마토 유기농 시설재배에서 올레산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가루이류 방제 효과 (Studies on the Eco-friendly Management of Whiteflies on Organic Tomatoes with Oleic Acid)

  • 이문행;김성은;김영식;이희경;이환구;지형진;김용기;심창기;김민정;홍성준;이윤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5-104
    • /
    • 2013
  • 본 연구는 토마토 유기재배 시 발생하는 주요 해충인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해 친환경적인 방제방법을 개발하기 위해서 수행했다. 특히 담배가루이는 토마토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황화잎말림바이러스의 매개충이다. 가루이류는 바이러스의 매개충일 뿐 아니라 토마토를 흡즙하게 되면 생육이 저조해지며 감로분비에 의한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현재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황색점착트랩, 황온점벌, 지중해이리응애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사용적기를 놓치거나 하우스 환경이 천적에 적합하지 않으면 좋은 결과를 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 곤충들에 페르몬의 역할을 하는 올레산을 1,000ppm, 2,000ppm, 4,000ppm 고압분무기를 활용하여 3회 처리한 결과 2,000ppm 76%, 4,000ppm 84%의 높은 방제가를 보였으며 2,000ppm처리와 4,000ppm 처리 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가루이 방제에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님오일 1,500ppm과 dinotefuran 50ppm을 비교 시험한 결과 올레산 2,000ppm의 가루이 방제가가 82%로 가장 높았으며 님오일 1500ppm과 dinotefuran 50ppm은 각각 75%의 방제가를 보였으며 유의성은 없었다. 경제적 측면으로 보게 되면 10a 1회 방제시 님오일은 20,150원이 소요되는 반면 올레산은 3,180원이 소요되어 경제적으로는 올레산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방제시험으로 토마토 유기농재배에서 올레산을 이용한 경제적인 가루이 방제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리보플라빈 광산화에 의한 올레산 모델시스템에서 휘발성 물질 발생연구 (Effects of Riboflavin-photosensitized Oxidation on the Form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Oleic Acid Model Systems)

  • 양승옥;장판식;이재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17-722
    • /
    • 2005
  • 불포화지방산의 대표적인 물질 중 하나인 올레산에 백열등 조사와 리보플라빈에 의해 생성되는 휘발성 물질들을 분리 및 동정하였다. 리보플라빈 첨가 시료에서는 리보플라빈 무첨가 시료 보다 39시간 동안 270%의 휘발성 물질이 더 생성되었으며 수용액형태가 비수용액 시료보다 휘발성 물질이 유의적으로 많이 발생하였다(p<0.05). 2-Heptenal은 리보플라빈 첨가 시료에서만 검출되었으며 heptane, octane, heptanal, octanal, nonanal, 2-nonenal은 리보플라빈 광산화 시료에서 대조구에 비해 39시간 동안 각각 8.71, 5.88, 2.58, 2.16, 2.80, 5.84배 이상 증가하였다. 2-Nonenal과 heptanal과 같이 기존 삼중항산소 산화기작에 의해 설명될 수 없었던 휘발성물질의 생성 기작을 일중항산소에 의한 산화 기작을 통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올레산 첨가 식품의 광산화에 의한 휘발성분 profile 규명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산 비파 열매의 화학적 성분 분석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Fruit)

  • 이부용;박은미;김은정;최희돈;김인환;황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28-432
    • /
    • 1996
  • 국내에서 재배 수확되는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 Lindl.) 열매의 가공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화학적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건물 기준으로 비파열매 과육과 씨의 조지질은 0.53%와 0.83%, 조단백질은 0.05%와 5.27%, 조섬유는 3.46%와 3.49%, 조회분은 3.24%와 2.78%, 당질은 92.72%와 87.63%이었다. 비파 열매 과즙의 당도는 약 $12^{\circ}Bx$, pH는 4.43,산도는 구연산으로 0.18%이었다. 과육과 씨의 $3^{\circ}Bx$추출물 유리당 조성은 프럭토스 0.77%와 0.31%, 글루코스 0.73%와 0.79%, 슈크로스 0.52%와 0.19%로 나타났으며, 씨에는 특징적으로 리보오스가 0.56% 함유되어있었다. 비파 과육의 아미노산은 글루탐산이 336.72mg%, 아스파르트산이 251.06 mg%로 가장 많이 , 리신과 아르기닌은 각각 5.26 mg%와 30.90mg%로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씨에도 글루탐산이 448.23 mg%, 아스파르트산이 335.63 mg%로 가장 많이, 히스터딘과 이소로이신은 각각 37.89mg%와 44.20mg%로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과육과 씨에는 칼륨이 전체 회분의 32627.95 mg%와 28936.28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비타민 A와 C는 과육과 씨에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Chloroform-methanol (2 : 1)로 추출한 비파 씨의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 23.72%, stearic acid 3.81%, oleic acid 8.55%, linoleic acid 54.29% 및 linolenic acid 9.63%이었다. Silicic acid 컬럼으로 분획한 결과 중성지질 43.78%, 당지질 12.32% 및 인지질 43.90%의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각 분획들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지질의 경우 palmitic acid 28.89%, stearic acid 6.80%, oleic acid 11.07%, linoleic acid 40.67% 및 linolenic acid 12.58%, 당지질의 경우 palmitic acid 13.21%, stearic acid 4.56%, oleic acid 6.53%, linoleic acid 64.92% 및 linolenic acid 10.77%, 인지질의 경우 palmitic acid 30.95%, stearic acid 3.40%, oleic acid 9.09%, linoleic acid 48.45% 및 linolenic acid 8.10%이었다.

  • PDF

The Effects of Metal Compounds on the Phospholipid Metabolism in Bacillus subtilis;

  • Ma, Hye-Young;Jung, Kyung-Suk;Jang, Jae-Seon;Lee, Chong-Sam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1
    • /
    • 1997
  • Copper chloride 10 ppm, manganese chloride 100 ppm, nickel chloride 50 ppm을 각각 처리한 Bacillus subtilis를 배양하는 동안에 이들 세포에서 일어나는 인지질 생합성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대조구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세포의 생장과 phosphatidylethanloamine, 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glycerol, cardilolpin은 대조구에 비해 금속 화합물 처리구에서 저해되었는데 copper chloride가 가장 큰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phosphatidylinositol은 금속화합물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인지질 생합성에 이용된 주요 지방산은 대조구에서는 palmitic acid(평균 19.00%)와 stearic acid(평균 9.58%)로 나타났다. 그러나 copper chloride 처리구는 palmitic acid(평균 17.38%)와 oleic acid(평균 15.99%)가 인지질 생합성에 이용된 주요 지방산이었고, manganese chloride 처리구는 palmitic acid(평균 15.00%)와 myristic acid(평균 14.24%), nickel chloride 처리구는 oleic acid(평균 17.87%)와 stearic acid(평균 13.78%)가 인지질 형성에 이용되었다.

  • PDF

Seed Protein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oybeans collected from Southwestern Islands in Korea

  • Kwon, Byung-Sun;Shin, Jeong-Sik;Choi, Seong-Kyu
    • Plant Resources
    • /
    • 제5권3호
    • /
    • pp.181-186
    • /
    • 2002
  • The 129 soybean genotypes were collected in 43 island locations from January to May 2001. Seeds of 129 genotypes collected were analyzed for crude protein and fatty acid composition contents.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averaged to 41.1 % and ranged from 37.4% to 44.4%. The average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content were 12.0%, 4.0%, 23.2%, 55.5%, and 7.9%, and the ranges of those were 10.0% to 15.0%, 3.0% to 4.8%, 21.7% to 25.5%, 50.2% to 58.3% and 7.0% to 12.0%, respectively. Heritabiliries of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crude protein were higher, but that of stearic acid and linolenic acid were relatively lower. The g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rude protein and oleic acid show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but that of linoleic acid showed highly opsitive correlation, but that of linoleic acid showe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and also palmitic acid, stearic acid and linolenic acid showed negative corre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