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er adults living alone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3초

독거노인의 ICT 기반 돌봄 보조 기기 사용의향 및 필요 기능 인식에 대한 기술적 연구 (Usage intention and recognition of necessary functions for ICT-based care devices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 백민소;신준섭;신유선
    • 한국노년학
    • /
    • 제41권1호
    • /
    • pp.25-48
    • /
    • 2021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ICT 기반 돌봄 보조 기기에 대한 사용의향 및 필요 기능을 고찰함으로써 추후 독거노인을 위한 ICT 활용 돌봄 보조 기기의 기능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 1개의 도농복합도시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지역 내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거노인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돌봄 보조기기의 기능은 다양하였으며, 많은 독거노인이 ICT 기반 돌봄 보조기기를 활용해 볼 의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기능에 대한 필요도 인식의 경우, 독거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질병 및 신체기능 특성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특히 골다공증, 우울증 및 불면증 여부, 일상생활수행능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제한 여부는 기능의 필요성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독거노인이 건강하게, 자립적으로 자신의 집에 거주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는 ICT 기반 돌봄 보조기기의 기능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하며, 독거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 관련 특성별 필요도에 따른 개별화된 서비스 및 맞춤형 기기의 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취약계층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PRECEDE 모형 적용 -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 with Home Health Services - Applied PRECEDE Model -)

  • 박금화;최연희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2-43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that affect poor quality of life (QOL) of older adults who received home health service. Method: The sample 492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QOL was measured using the scale of QOL of Ware and othe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from September to August, 2009. Results: The level of QOL was moderate (Mean 24.4, SD 7.4). The QOL was poorer in older adults (p<.05) and in those living alone (p<.01) compared to older adults and those living with couple or family respectively. The QO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sense of mastery (r=.213, p<.05), connection of health (r=.160, p<.05) and a cognitive function (r=.119, p<.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r=-.266, p<.01)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r=-.339, p<.01). Sense of mastery, connection of health & welfare, and IADL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QOL. Conclusion: Finding suggest that home health service program should incorporate strategies for increasing sense of mastery and capability of performing IADL, and strengthening connection of health service that may improve QOL of older home health service recipients.

가구소득 및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코로나19 유행 전·후 한국 노인의 영양소 섭취변화에 대한 단면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2019-2020) 자료를 활용하여 (Changes in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older adults during COVID-19 Pandemic by household income and demographic factor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9-2020): a cross-sectional study)

  • 이유신;이윤나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2-316
    • /
    • 2023
  • Objectives: The study aim was to identify changes in the nutritional status of older adul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2,408 adults aged 65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2019-202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o examine changes in nutrient intake levels resulting from COVID-19, data of 2019 and of 2020 were compared.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household income level to compare these changes. The chang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level, age group, and household type. Results: Percentages of recommended intakes for energy, protein, and most micronutrients were the lowest for the low-income group of both males and females in 2020. The Mean Adequacy Ratio (MAR) score was the lowest for the low-income group in both years. When comparing nutrient density for 2019 and 2020 by income group, the male low-income group experienced a decrease in nutrient densities of vitamin A, thiamine, calcium, and iron. For the same group, a decreased percentage for energy intake from protein was noted. Fruit intake was lowest in the low-income group for both males and females. Low-income males had the lowest intake levels for meat, fish, eggs, and legumes in both 2019 and 2020 and the lowest milk and milk product intake levels in 2020. Older adults living alone or single older adults with children had lower MAR scores than those living with a spouse. Older adults living alone experienced decreases in energy and thiamine and iron intake levels in 2020 compared to their intake levels in 2019. Conclusions: Because of the COVID-19 pandemic, nutrition intake levels worsened for older adult males in the low-income group and older adults living alone. This finding shows the need for a more systematic nutritional support strategy for the vulnerable older adults population in national disaster situations.

거주형태에 따른 한국 노인의 삶의 만족도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according to Living Arrangements)

  • 이시은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59-668
    • /
    • 2016
  • Purpose: This study utilized secondary data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by living arrangements among community-dwelling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in Korea. Methods: A total of 2,134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2014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Univariable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living with others were education level (odds ratio [OR] 1.73, 95% confidence interval [CI] 1.41~2.11), place of residence in medium-size city (OR 1.57, 95% CI 1.25~1.97), place of residence in rural town(OR 1.52, 95% CI 1.19~1.95), depression (OR 2.99, 95% CI 2.43~3.68), frequency of contact with neighbors (OR 1.39, 95% CI 1.10~1.76), and social participation (OR 1.48, 95% CI 1.14~1.93). In contrast,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were education level (OR 1.93, 95% CI 1.15~3.24) and depression (OR 2.49, 95% CI 1.48~4.19).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nursing interventions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ir specific living arrangements.

가구 유형별 동반식사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ting with Others on Depression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by Family Arrangement)

  • 이효진;윤주영
    • 한국노년학
    • /
    • 제39권3호
    • /
    • pp.415-427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가구 유형을 독거와 동거로 구분하여 동반식사 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제 7기 1차(2016)년도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총 1,233명을 최종 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동거인이 없을 경우를 독거, 그 외를 동거가구로 구분하고 세끼 중 한 끼 이상 동반식사를 하면 동반식사군, 전부 혼자 식사할 경우 혼자식사군으로 분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WIN 21.0을 이용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부여한 가중치를 반영한 복합 표본 자료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거가구에서 동반식사를 하는 노인은 855명(89.5%), 혼자 식사하는 노인은 100명(10.5%)이었고, 독거가구에서 동반식사를 하는 노인은 86명(30.9%), 혼자 식사하는 노인은 192명(69.1%)이었다. 본 연구에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가족동거 노인군에서는 동반식사를 할수록 낮은 우울수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β=-1.663, p<.001), 독거노인군의 경우 동반식사와 우울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β=-0.856, p=.148).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동거가족이 있는 노인의 경우 동반식사를 늘려줄 수 있는 인식개선사업이나 가족을 포함한 타인과 함께 식사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역사회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독거노인의 경우 그들이 처한 특수 상황으로 인해 신체적, 심리적인 건강이 전반적으로 취약해져있으므로, 이 집단에 대해서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집중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ocial Isolatio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 김아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343-35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외로움, 수면의 질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s로 통계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교육 수준(β=.20, p=.020), 사회적 관계망(β=.31, p=.012) 및 수면의 질(β=-.23, p=.011)은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5.7%이었다. 외로움(β=-.37, p=.004)은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1.7%이었다.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회적 고립을 해소하는 중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나눔숲 걷기 프로그램이 농촌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생활만족감 및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hared Forest Walking Programs o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Older Individuals Living Alone in Rural Communities)

  • 박인숙;문영실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9-105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hared forest walking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s o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rural communities. Methods: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or a control group, with 20 participants each. Data collected during August 1~3, 2022, before the program, and October 29~31, 2022, after the program. In this study, the shared forest walking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24 sessions, with each session lasting one hour.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18.0, x2 tests, and t-test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haring forest walking program showed higher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along with a decrease in depression. Addition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t=5.97, p<.001), life satisfaction (t=7.78, p<.001), and depression (t=-7.58, p<.001). Conclusion: The shared forest walking program,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roved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reduce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rural communities. We propose the development of a continuous program to assist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underprivileged rural areas to experience retirement with reduced depression, increased self-esteem, and enhanced life satisfaction.

「독거노인 친구만들기」를 통해 살펴본 '숨겨진 이웃', 사회적 고립이 심각한 노인 1인 가구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Social Worker's Perceptions and Working Experiences of Older Adults Who Live Alone in Severe Social Isolation Based on the Case of 「Making Friends of Older Adults who Live Alone」)

  • 김유진
    • 한국노년학
    • /
    • 제38권4호
    • /
    • pp.1149-11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고립에 처한 노인 중에서도 마치 '숨겨진' 것처럼 심각한 고립 상태에 있는 노인 1인가구에 대한 사회적 개입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질적기술연구 방법을 통하여 "독거노인 친구만들기" 사업의 사회복지사들이 심각한 고립 상황에 있는 독거노인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사업 수행 경과에 따라 노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는지, 그리고 노인들에게 사례관리를 제공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사 40명과의 심층 면담, 70명 노인의 사례관리 기록지, 연구일지를 수집하였고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질문에 맞추어 자료 분석의 결과를 크게 두 개의 범주와 각각 네 개의 하위범주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범주: 문전박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방문을 통해 막연하게 일반화하여 보던 노인들의 삶과 상처를 개별적으로 보게 됨, 두 번째 범주: 노인의 작은 변화들에 뿌듯해하지만 사회적 돌봄의 현실적인 한계를 실감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사항을 제안하였다: 1) '은둔형' 용어 사용의 제고, 2) 사회적 고립에 처한 노인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 3) "독거노인 친구만들기"사업 인력에 대한 정서적 교육적 지원, 4)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연계를 위한 고민.

판소리 창작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독거노인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관한 연구 - 성음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Self-Efficacy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using Pansori Creative Therapy Program - Focusing on Vocal Sound -)

  • 김천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8권1호
    • /
    • pp.43-60
    • /
    • 2011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성음 중심의 판소리 창작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서울에 위치한 S 노인복지관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독거노인 6명을 선정하고, 이들에게 5단계로 구성된 성음 중심의 판소리 창작 프로그램을 주 2회, 50분씩 총 6주 동안 제공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효능감척도(박경민, 1994)를 사용하였고, 하위영역별로 대상자들의 사전 사후 점수 결과와 평균에 대한 Wilcoxon 검정을 실시하였다. 세션이 종결된 후에는 인터뷰를 실시하여 만족도를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사전 사후에 측정한 자기효능감 척도의 점수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 < .05). 이에 대해 비모수에 의한 Wilcoxon 검정 결과는 일반적 요인과 신체적 요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사회적 요인은 증가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대상자들의 사후 인터뷰를 통해서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판소리 창작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도구임을 입증해주고, 판소리의 치료적 특성을 제시한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서울 지역 건강·복지담당자가 인식하는 취약계층 고령자를 위한 지역사회 식사·식품지원서비스 실태 (Meal and Food Provision Services for Community-dwelling Vulnerable Older Adults Perceived by Health & Welfare Service Providers in Seoul)

  • 장소망;배정숙;이경은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5권4호
    • /
    • pp.295-30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dietary practices of vulnerable older adults and to assess the foodservice and food provision service programs perceived by the health and welfare service providers in the community. A survey was conducted on health and welfare service providers working in outreach community centers and community health centers in Seoul. A total of 260 nurses and social work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224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fter excluding significant missing data. The respondents consisted of nurses (58.5%) and social workers (41.5%). In terms of the dietary life of the vulnerable older adults, they perceived that the food cost was burdensome to the older adults and poor dental conditions prohibited them from eating various foods. The health and welfare service providers rated highly for 'home-delivered meal and side dish services are effective for checking older adults' conditions' but rated low for availability of menu choices. In targeting vulnerable older adults for food and nutrition service programs, the home-delivered meal service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those over age of 80 years, those with mobility difficulties, and those with economic difficulties. The food provision service was appropriate for older adults living with their spouse or other family members. Vulnerable older adults are a heterogeneous population with diverse needs related to food and nutrition. Home-delivered meal/side dish service and food provision services will achieve their goals when they reach the correct targets with a customized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