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kso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옥소 권섭의 학창의에 관한 연구 - "옥소고"소재 학창의 관계자료를 대상으로- (A Study on Okso, Keun Seob's Hakchangeui(학창의)-Examining Data about Hakchangeui Written in $\lceil$Oksoko(옥소고)$\rfloor$-)

  • 이민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13권2호
    • /
    • pp.269-279
    • /
    • 2005
  • Okso, Keun Seob($1671\sim1759$) was descended from a noble family of Noreun(노론) and learned from his uncle, Keun Sang-ha who is a disciple of Song Si-Yeol, Kim Chang-hyeub and Kim Chang-heub. His $\lceil$Oksoko$\rfloor$ remains in the form of a transcription or a lithographic printing, and documents on 'Hakchangeui' are recorded in jabeui(잡의), Euijedogi(의제도기), which is a part of it. He left Seoul in 1714, settled in Chungpung, journeyed to many places, including the Hwang river area and Jecheon and led a literary and artistic life as Sadaebu(사대부), which was written in a collection of his works where the record about 'Hakchangeui', the most suitable clothes for the life of a retired scholar remains today to express one part of his life. This study introduces data about Hakchangeui written in $\lceil$Oksoko$\rfloor$, pursues the reason why Okso, Keun Seob told about it and intends to embody the figure of Hakchangeui based on the system, measure, material, and sewing method according to the records in a collection. Hakchaneui described in $\lceil$Oksoko$\rfloor$ reveals a structure that is different from old Hakchaneui, showing characteristics like the following. It is a Sadaebu's costume for field amusement in which the length of a former part is longer than that of a later part and the side seam of a garment rips. Black Yeon is attached to the white texture. Yeon widths of Git(collar), Sugu and Gil are varied, respectively. Yeon's figure attached to Gil and Somaejindong is a mountain. Git is Bangryeong and link parts between Git and Gil is connected with Sangchim. This Hakchangeui is considered to playas a gown because it has no string or support to adjust his dress. Especially we can identify that Hwayanggun(화양건) was used in this Hakchangeui.

  • PDF

『옥소고(玉所稿)』 소재(所載) 몽화(夢畵)의 제작(製作)에 대한 연구(硏究) (Study on production of visionary drawings with 『Oksogo(玉所稿)』)

  • 최호석
    • 역사민속학
    • /
    • 제28호
    • /
    • pp.113-142
    • /
    • 2008
  • 본고는 옥소 권섭의 문집인 "옥소고"에 실린 몽화와 관련한 자료를 검토함으로써 선행연구의 잘못을 바로잡고 몽화의 제작과 관련된 제반 문제를 이해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몽화의 현황을 살펴보면 몽화는 옥소의 필사본 문집인 "옥소고" 중 제천본에 56점, 문경본에 47점이 실려 있다. 그리고 몽화에 기록된 꿈은 옥소의 나이 50대 후반부터 70대 사이에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몽화는 평양 출신의 화가인 조세걸과 권섭의 아우인 권영, 권섭의 손자인 권신응 등 최소 3인 이상이 그린 것으로 보인다. 이중 조세걸은 1695년에 해도별서<(海島別墅)>를 그렸으며, 권영은 1696년의 꿈인 백옥계<(白玉溪)>를 그리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1743년까지 계속하여 몽화를 그렸다. 그리고 권신응은 1743년, 16세의 나이에 몽화를 그리기 시작하였다. 기승첩(奇勝帖), 혹은 몽화첩의 제작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꿈을 꾼 뒤에는 옥소가 그 꿈을 글이나 시로 기록한다. 그리고 이를 가지고 꿈속에서 같이 놀았던 사람에게 화답시를 얻는다. 마지막으로 화가를 시켜 꿈 속 광경을 그리게 한 뒤, 글과 그림을 엮어 그림첩으로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