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kdong Min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17초

식물정화재배법을 이용한 석탄폐석지 식생복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of Vegetation and Restoration in Abandoned Coal-Mine Waste Areas by Phytoremediation)

  • 전상호;이종규;박길옥;최남희;홍성욱;정병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1-85
    • /
    • 2011
  • In Okdong coal mine abandoned area, every year large amount of mine wastes have been swept away due to heavy rains in summer. Because pH of coal-mine waste is in the early 4, plant naturally does not grow there due to unfavorable condition for growing plant. This study had an experiment to grow plant for 6 months using Mycorrhizae which can be adapted well in acid soil. As a result of Experiment, In the infected experiment pot, 90% of the plants survived but in case of uninfected experiment pot, only 25% were alive. From Growth Experiment, it appeared that average stem length increase (cm/month), average fresh weight increase ($g^{fw}/month$), average dry weight increase ($g^{dw}/month$) were increased by 60%, 21%, 31% respectively. Especially, Mycorrhizae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nutrients and water when seeding are established. Mycorrhizae prevents death caused by lack of nutrients and water and helps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 when seeding are established in the early stage. This study proved that Mycorrhizae is comparatively effective in plant growth and prevention of erosion in coal-mine abandoned area.

폐석탄광 하류 밭토양 및 논토양의 중금속 함량과 광물조성에 따른 분광학적 특성 (Spectr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Heavy Metal Concentration and Mineral Composition in Cropland and Rice Field Soils from Downstream of an Abandoned Coal Mine)

  • 서지희;유재형;고상모;이범한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6호
    • /
    • pp.743-753
    • /
    • 2020
  • 본 연구는 폐석탄광산인 옥동탄광 하류에 위치한 밭토양과 논토양을 대상으로 중금속함량, 광물조성, 분광특성을 고찰하였다. X선 형광분석 결과 밭토양과 논토양 모두 비소가 토양환경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었으며 밭토양이 논토양보다 중금속오염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X선 회절분석 결과 밭토양과 논토양 모두에서 석영, 방해석, 고령토, 일라이트, 스멕타이트, 자철석 그리고 적철석 광물이 검출되었다. 또한 유기물 분석을 실시한 결과 밭토양의 유기물 함량 변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광분석 결과 밭토양과 논토양의 전체적인 반사도 곡선의 양상과 흡광특성은 유사하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490nm 부근과 900nm 부근에서 토양 내 산화철에 의해, 1410nm, 1910nm 부근과 2200nm 부근에서 점토광물인 고령토와 스멕타이트군에 의한 흡광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유기물의 함량이 많을수록 반사도가 감소하였다. 흡광 깊이는 밭토양과 논토양 모두 흡광특성이 발현되는 곳에서 오염 지수가 높아짐에 따라 흡광깊이는 얕아졌으며, 유기물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490nm 부근과 1916nm 부근의 흡광깊이가 얕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폐광산지역 경작지 토양의 중금속 존재형태와 토양오염평가

  • 김휘중;양재의;전상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49-155
    • /
    • 2003
  •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fractionate heavy metals in soil samples in the upper Okdong River basin and to assess the potential pollution index of each metal fraction.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ultivated land soils and analyzed fo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pH of cultivated soils ranged from 5.2 to 7.6. Contents of total kelhaldal nitrogen and loss on ignition were in the ranges of 0.6∼2.5%, and 1.9∼12.9%, respectively. Heavy metals in the cultivated land soils were higher in the abandoned closed coal mine near field soils than those in the paddy soils. Total concentrations of metals in the cultivated land soils were in the orders of Zn > Pb > Ni > Cu > Cd, exceed the corrective action level of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Law and higher than the naturals were abundance levels reported from uncontaminated cultivated land soils. Mobile fractions of metals were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total concentrations. Soil Pollution Assesment Index(SPAI) values of each fraction of metals were leveled from Non polluted to Moderately polluted based on total concentrations. SPAI values of mobil fractions were lower than those of immobile fractions. Results on metal fractions and SPAI values of the cultivated land soils indicate that field soils samples were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and had potential to cause a detrimental effects on plants. A prompt countermeasure to prevent field soils in the abandoned closed coal mine near fields are urgently needed.

  • PDF

산화제 NaOCl와 $H_2O_2$를 이용한 광산배수 정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urification of Mine Drainage with NaOCl and $H_2O_2$)

  • 최승원;장윤득;김영훈;김정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43권1호
    • /
    • pp.21-31
    • /
    • 2010
  • 산화제를 이용한 광산배수 정화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옥동광산으로부터 채수한 갱내수와 침출수를 산화제인 NaOCl와 $H_2O_2$를 이용하여 반응 실험을 실시하였다. 초기 갱내수의 pH와 EC는 각각 5.77, 831 uS/cm 이며, Mg(23.25 mg/l), Mn(14.90 mg/l), Zn(22.99 mg/l)이다. 광미적치장으로부터 유출되는 침출수의 pH와 EC는 6.38, 1920 uS/cm이며, Mg(98.75 mg/l), Mn(3.38 mg/l), Zn(6.16 mg/l)로 갱내수와 다른 양이온 농도 특성을 갖는다. 산화제의 종류와 양에 따라 양이온이 제거 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적 차이가 있지만, 갱내수와 침출수에 포함된 Mg, Zn, Mn은 99%이상 제거되었다. Visual MINTEQ 계산결과 포화지수가 0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존재하지 않기때문에 초기 갱내수와 침출수로부터 침전 가능한 광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갱내수와 광미적치장 침출수를 NaOCl과 반응시킬 때 생성되는 침전물은 적갈색의 Mangano-calcite이며, 그 외 Calcite magnesian, Calcite 등의 광물을 포함하고 있다.

폐광산 지역 옥동천 퇴적물내에 포함된 중금속의 존재형태 및 이동성 (Fraction and Mobility of Heavy Metals in the Abandoned Closed Mine Near Okdong Stream Sediments)

  • 김휘중;양재의;이재영;전상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2호
    • /
    • pp.44-51
    • /
    • 2005
  • 옥동천 퇴적물을 대상으로 중금속의 존재형태 및 이동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퇴적물내의 중금속의 존재형태는 adsorbed fraction, carbonate fraction, reducible fraction, organic fraction, and residual fraction 다섯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으며, 존재형태 중 제일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은 reducible fraction이며 다음으로 organic fraction라 residual fraction으로 나타났다. Adsorbed fraction은 중금속의 존재형태 미미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옥동천 퇴적물내 의 총 카드뮴 중 수체로 이동 가능한 부분은 $19.8{\sim}56.7%$이며, 구리, 납의 경우 대부분이 organic fraction으로 나타났다. 구리와 납의 경우 이동 가능한 형태는 납의 경우 총 납의 농도 중 $2.6{\sim}48.1%$, 구리는 $0.2{\sim}36.9%$로 나타났으며, 아연은 $0.5{\sim}48.5%$로 나타났다. 카드뮴, 아연, 구리의 경우 이동 가능한 부분 중 대부분이 reducible fraction이며, 납과 니켈의 경우 adsorbed fraction으로 나타났다. 구리와 아연의 이동이 기능한 경우는 수중의 산소의 유무에 의해 결정되며, 납이나 니켈의 경우 수중에서의 물리적 영향, 수소이온의 농도가 증가, 산소의 고갈 등에 의해 수층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

Speciation of Arsenic from Soil Organic Matter in Abandoned Gold and Silver Mines, Korea

  • Ko, Il-Won;Kim, Kyoung-Woong;Hur, Hor-Gil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36-44
    • /
    • 2008
  • Organic forms of arsenic (As) were determined through fractionation procedure of soil organic matter (SOM) in soil, sediments and mine tailing samples from the Myungbong, Dongil, and Okdong mining areas of southern Korea. An alkaline extraction method was applied to soil samples followed by the fractionation procedures of SOM by the DAX-8 and XAD-4 resin adsorption method. Major fraction of organic As species (42% to 98%) was found in acid-soluble fraction, whereas minor fraction (0.1 % to 67.8%) was present in the humic-associated As. In acid-soluble fractions, the transphillic- and hydrophilic-associated As were dominant in addition to As binding with humic and fulvic SOM. Arsenic binding was the strongest between pH 6 to 8 and reduced to about 70% at both low and high pH regions. The amount of both transphillic and hydrophillic associated As was less changed than humic and fulvic-associated As, in both low and high pH regions. This apparently indicates that As has stronger affinity towards hydrophillic rather than hydrophobic organics. From the experimental observation of As-binding SOM in natural soil, the ligand exchange model may be a feasible explanation of transphillic and hydrophillic affinity of As.

폐광산지역 경작지 토양의 중금속 존재형태와 토양오염평가 (Fraction and Soil Pollution Assesment Index of heavy metals in cultivated land soils near the abandoned mine)

  • 김휘중;양재의;이재영;최상일;전상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4호
    • /
    • pp.53-63
    • /
    • 2003
  • 연구의 목적은 옥동천 유역 토양의 중금속의 존재형태와 존재형태에 따른 중금속의 오염지수를 산정하는데 있다. 토양채취는 경작지 토양을 대상으로 하였고 토양은 물리적 특성과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작지 토양의 pH는 5.2에서 7.6을, 총질소 함량과 loss on ignition은 각각 0.6∼2.5%, 1.9∼12.9%를 나타냈다. 경작지 토양의 중금속 농도는 폐광된 탄광지역의 논토양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총 중금속의 농도는 Zn > Pb > Ni > Cu > Cd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토양환경기준치와 비오염 경작지 토양의 중금속 농도 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중금속 중 일부분이 이동 가능성이 있는 부분으로 나타났다. 토양오염 평가지수(SPAI)는 조사지 토양에서 Non polluted와 Moderately polluted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결과는 비 이동성 형태보다는 이동성 형태의 값이 났게 나타났다. 경작지 토양에서 중금속 존재형태와 SPAI 값은 중금속에 의한 오염과 식물체에 미치는 잠재적인 유해한 결과를 얻을수 있다. 따라서 결과에서 보여진 폐탄광지역의 토양을 복원하기 위해서 신속한 대책이 필요하다.

광양-승주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암석화학 (Geochemistry of Granitoids in the Kwangyang-Seungju Area)

  • 이창신;김용준;박천영;이창주
    • 자원환경지질
    • /
    • 제25권1호
    • /
    • pp.51-60
    • /
    • 1992
  • The pluton rocks in Kwangyang-Seungju area consist of two mica granite, hornblende diorite, Rimunri quartz diorite, grnodiorite porphyry and granophyre. The analysis of the geochronological data by the methods of K-Ar for the hornblende from Rimunri quartz diorite and hornblende diorite show that the ages are found to be $86{\pm}3.3$ Ma and $108{\pm}4$ Ma, respectively, and K-Ar age for chlorite from the altered two mica granite which intruded by the hornblende diorite of the Bonjeong mine shows $108{\pm}4$ Ma; K-Ar age for sericite from the greisenized hornblende diorite,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Bonjeong ore deposits, is dated as $94.2{\pm}2.4$ Ma. They correspond to the igneous activity of the Bulgugsa Disturbance periods in the area. In chemical feature for oxides versus silica and AFM triagular diagrams of the pluton rocks in the study area, there is a suggestion of the possibility that these rock facies area a Calc-alkali series of differentiated products by low-pressure crystal fractionation processes in $SiO_2$-undersaturated suites. Compared with hornblende diorite, andesite and granodiorite porphyry, two mica granite, Rimunri quartz diorite and granophyre exhibit a wider range of normalized REE abundance and negative Eu anomalies. Such anomalies imply more extensive feldspar fractionation during crystallization. The Rimunri quartz diorite and hornblende diorite occurring in the margin of four mines(Bonjeong, Okdong, Soungchei and Saungyeul) of this area have high contents of As, Sb, Cu and Zn which have been shown as the best indicators in hypogene gold deposits and low contents of Ba, Cr served as more sensitive indicators. And the granitoids are regarded as the rocks associated with gold and sulfide mineralization of the area.

  • PDF

광미에 존재하는 중금속의 분획화와 오염도 평가 (Fractionation and Pollution Index of Heavy Metals in the Sangdong Tungsten Mine Tailings)

  • 양재의;김휘중;전상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3-41
    • /
    • 2001
  • 강원도 동남부에 위치한 옥동천 상류에는 많은 양의 휴폐광산 폐기물이 적절한 처리시설이 없는 상태로 방치되어 있고, 이들이 유실되어 하류의 토양, 물 및 저니토를 중금속으로 오염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미댐에 적치된 광미중에 존재하는 중금속의 분획물을 조사하고, 각 분획물의 오염도 지수를 평가하는데 있다. 광미댐에서 광미를 깊이별로 채취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광미의 pH는 7.3~7.9였고, 총 질소와 유기물 함량은 각각 3.2~5.5% 및 1.3~9.1%의 범위에 있었다. 신광재댐 광미의 중금속함량은 구광재댐 광미보다 높은 편이었다. 광미에 존재하는 중금속 별 총 함량은 Zn > Cu > Pb > Ni > Cd순(順) 이었으며, 이들의 농도는 토양환경보전법에서 지정한 산업지역의 대책기준을 상회하고 있었으며, 천연부존량보다 높았다. 중금속 분획물의 상대적분포는 residual > organic > reducible > carbonate > adsorbed순(順) 이었다. 총 농도에 비교하여 생물유효성 분획물의 농도는 매우 낮은 편이었다. 광재댐의 깊이별 중금속의 농도는 중금속의 종류에 따라 상이했다. 광재댐 표충의 Cu 농도는 심층의 농도보다 높았다. 총 농도를 기준으로 할 때 각 중금속 분획물의 오염도 지수는 4.27~8.51 범위에 있었다. 생물유효성 분획물의 오염도지수는 비유효성 분획물의 오염도 지수보다 낮았다. 광미에 존재하는 중금속 분획물의 농도와 오염도 지수에 관한 결과를 통해 광미는 중금속으로 인해 심각하게 오염된 상태이며, 유실될 경우 하류의 토양과 물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광미댐으로부터 광미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 PDF

인산질 비료에 의한 안정화 적용 토양 내 비소의 지구화학적 거동 변화 (The Alterations of Geochemical Behavior of Arsenic in Stabilized Soil by the Addition of Phosphate Fertilizer)

  • 전용중;김범준;고주인;고명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2호
    • /
    • pp.209-217
    • /
    • 2022
  • 경작을 위해 토양에 공급하는 인산질 비료가 석회석을 이용한 안정화 적용 토양에서 비소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을 회분식 실험과 칼럼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토양은 폐석탄광인 옥동, 부국 탄광 주변 경작지에서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토양의 평균 비소 농도는 20.0 mg/kg으로 나타났다. 연속추출을 통해 비소의 지구화학적 이동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토양을 선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석회석(3 wt%)과 토양을 혼합하여 안정화 적용 토양을 준비하고 농촌진흥청에서 제시한 경작지 토양 내 유효인산 기준을 바탕으로 인산질 비료(NH4H2PO4)를 토양과 혼합하였다. 이때, 석회석과 혼합하지 않은 비교토양을 준비하여 대조군으로 활용하였다. 토양으로부터 용출되는 비소의 농도는 인산질 비료의 공급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안정화 유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용출액 내 인산염(PO43-)의 농도는 석회석을 혼합한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PO43-와 석회석에서 용해된 칼슘 이온(Ca2+)의 결합침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속적으로 관개 수를 공급하는 경작환경에서 인산질 비료가 비소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칼럼실험을 진행하였다. 칼럼실험 초기 10 P.V.까지는 토양으로부터 비소의 용출량이 석회석 혼합조건에서 더 적었지만 이후에는 석회석 혼합조건과 상관없이 유출 수의 비소 농도가 점차 증가하였다. 칼럼실험 이후 잔류토양을 건조시켜 연속추출을 실시한 결과 안정화 조건에 상관없이 실험 전 토양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형태의 비소의 분율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석회석을 이용하여 토양 안정화 공법을 적용하여도 경작과정에서 공급하는 인산질 비료에 의해 토양 내 비소의 지구화학적 이동도가 증가하여 안정화 효과가 감소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