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absorption capacity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5초

Development of new food protein through chemical modification of rice bran proteins

  • Bae, Dongho;Jang, In Sook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180-185
    • /
    • 1999
  • Protein concentrate was produced and succinylated from rice bran to assess and improve its functional properties for the purpose of expanding the uses of rice bran proteins. The most effective solvent for the extraction of rice bran proteins was 20% aqueous ethanol at pH 9. The protein content of rice bran protein concentrate produced was 70.0% and the total protein yield was 64.3%. The extent of succinylation of free amino groups in the modified products was 72.8%. Though the modified protein products showed good functional properties including solubility, emulsion properties, and oil absorption capacity, it did not form gel. Succinylation improved solubility and emulsion and gelling properties. These improvements in functionality will enhance the value of rice bran proteins, thus enabling them to be more competitive with other food proteins.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solated Peptides from Hwangtae (yellowish dried pollack) Protein Hydrolysate

  • Cho, San-Soon;Lee, Hyo-Ku;Han, Chi-Won;Seong, Eun-Soo;Yu, Chang-Yeon;Kim, Myong-Jo;Kim, Na-Young;Kang, Wie-Soo;Ko, Sang-Hoon;Son, Eun-Hwa;Choung, Myoung-Gun;Lim, Jung-Da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3호
    • /
    • pp.204-211
    • /
    • 2008
  • Fish protein hydrolysates (FPHs) with different degrees of hydrolysis by treatment with alcalase, pronase, flavourzyme and trypsin and isolated peptide were prepared from Hwangtae (yellow dried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Hwangtae protein hydrolysate was fractionated according to the molecular weight into six major types of APO1 (1.3 kDa), APO2 (1 kDa), APO3 (<1 kDa), APACE (<1 kDa), APG1 (70 kDa) and APG2 (70 kDa) isolated from the hydrolysate using consecutive chromatographic methods. Soluble peptide were produced from Hwangtae and evaluated for their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Some functional properties of FPHs were assess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egg albumin or the soybean protein. APO2 had the highest nitrogen solubility value (94.2%), emulsion capacity and emulsion stability of the Alaska Pollack peptide ranged from 12.4 to 39.5 (mL of oil per 200 mg of protein) and 44.0% to 77.5%, respectively. Highest and lowest fat adsorption values were observed for APG1 (9.9 mL of oil per gram of protein) and APO3 (3.8 mL of oil per gram of protein), respectively.

루우핀콩 단백질 농축물(LPC)의 식품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Lupinseed Protein Concentrate)

  • 김영욱;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99-505
    • /
    • 1987
  • 루우핀콩 단백질 농축물(LPC-50, LPC-70)을 제조하여 이들의 식품기능성들을 분리대두단백질 및 카제인 과 비교 검토하였다. LPC-50은 2상용매 추출법에 의해 제조한 단백질 함량 50% 수준의 유백색 물질이며 LPC-70은 LPC-50의 탄수화물 일부를 가수분해 효소로 처리해서 제거하여 단백질 농도를 70% 수준으로 높인 것이다. LPC-50의 건물 수율은 73.7%였으며 LPC-70은 55.7%였다. 또한 단백질 수율면에서는 LPC-50이 91% 였고 LPC-70이 87.4%였다. LPC-50과 LPC-70의 단백질 용해도는 증류수에서는 SPI와 비슷한 경향이 보였으나, NaCl 첨가시 pH $4.0{\sim}6.0$ 범위에서는 SPI보다 높았다. LPC-50과 LPC-70의 흐름성질은 8% 농도에서 강한 의가소성을 보였으며. 겉보기 점도는 6%부터 지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 패턴은 카제인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유화력은 단백질 농도가 증가할수록 커졌으며, LPC-70은 우수한 유화력을 나타내었고 특히 NaCl 첨가시 SPI와 비슷한 유화력을 나타내었다. LPC-50과 LPC-70의 기포 형성력은 SPI의 기포 형성력과 비슷하였으나, 안정성이 pH 7.0에서 비교적 낮은 결과를 보였다. 루우핀콩 단백질 농축물들은 우수한 수분 및 유지 흡착력을 나타냈으며, 특히 LPC-70은 매우 높은 유지 흡착력을 보였다.

  • PDF

초미세분쇄/공기분급을 이용한 대두피 분획물의 특성과 응용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Soybean Hull Fractions Obtained by Microparticulation/Air-Classification)

  • 구경형;박동준;김승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06-513
    • /
    • 1996
  • 초미세분쇄한 대두피 분말을 공기분급휠속도 (ACWS, air classifying wheel speed) 10,000 rpm, 12,000 rpm 및 20,000 rpm에서 공기분급하였을 경우 회분, 단백질 및 지방은 조분획으로, 탄수화물은 미분획으로 각각 농축되었다. 식이섬유는 조분획으로 농축되었고, ACWS가 감소함에 따라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분획별 입자크기는 ACWS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그 범위는 미분획은 $3.1{\mu}m\;to\;5.5{\mu}m$였고, 조분획은 $9.9{\mu}m\;to\;20.0{\mu}m$였으며, 그 형태는 분획에 관계없이 대부분 모서리가 있는 타원형이었다. 전반적으로 낮은 ACWS에서 높은 점도를 보였고, 보수력, 보유력 및 유화력의 경우 조분획과 미분획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나 ACWS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식품응용실험 결과 대두피 분말을 10, 20, 30% 각각 대체시켜 튀김옷으로 활용하였을 때, 기름 흡수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케익과 쿠키의 제조에 있어서 밀가루를 대두피 분말로 10% 수준까지 성공적으로 대체할 수 있었다.

  • PDF

키토산 제조시 반응 온도와 시간 및 입자크기가 키토산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ction Temperature, Time and Particle Siz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tosans)

  • 이우진;한범구;박인호;박승현;오훈일;조도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97-1002
    • /
    • 1995
  • 상업적으로 제조된 키틴으로 부터 키토산을 제조할 때 반응온도, 시간, 키틴의 입자크기가 제조된 키토산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78% 이상의 탈아세틸화를 시키기 위하여서는 $100^{\circ}C$에서는 6시간, $120^{\circ}C$에서는 20분, $140^{\circ}C$에서는 10분 정도를 처리하였으며 이때 생성된 키토산의 점도는 각각 180cps, 130 cps, 30 cps로 측정되었다. 또한 반응 후 잔류시간이 키토산의 점도를 감소시킴을 보였으며 키틴의 입자크기가 작은 경우에 탈아세틸화를 촉진시키며 동일한 탈아세틸화도에서 높은 점도를 유지하였다. 한편 생성된 키토산은 키틴에 비하여 수분흡수, 지방흡수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색소흡수능력은 평균 4배이상 증가하였다. IR스펙트럼에서는 전반적으로 둔화된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1,000{\sim}1,800\;cm^{-1}$에서 흡수pattern이 둔화되었다.

  • PDF

어육(魚肉) 연제품(煉製品)의 보수력(保水力)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Water Holding Capacity of Fish Meat Paste Products)

  • 김무남;조상준;이강호;최진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3-52
    • /
    • 1978
  • It is well known that water holding capac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cessing such meat products as frankfurter-type sausage and fish meat paste products as kamaboko and fish sausage. Consumer qualities of meat products, such as appearance, flavor, as well as drip and shrinkage on cooking, depend greatly on the degree of water binding. In this paper, the water holding capacities of fish paste and salt added paste of white corvenia, Argyrosomus argentatus and file fish, Novodon modestus were measured by centrifuging and press method before and after cooking. And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phosphates and starch to enhance water binding and stabilize gel formation were also discussed.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hich are suitable to determine the water binding of fish meat paste product were suggested. The results were expressed in percent of water absorbed by the filter paper when pressed or released by pressor or centrifuge to the weight of sample. From the results. a proper condition to measure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fish meat paste was that 3.0 g of sample which was previously added with 10 percent water was centrifuged at 13,400 G or 12,000 rpm for 15 minutes for the centriguging method and for press method, 0.3 g sample with 10 percent of water added was extracted by an oil pressor at $30\;kg/cm^2$ for 1 minute. Water holding capacity of fresh paste of white corvenia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file fish and the difference between species of fish was great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measurments by two methods. Sodium chloride had a great effect on enhancing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fish meat paste giving better effect when 3.0 percent of salt was added. Phosphates used except calcium phosphate revealed a certain enhancement in water binding, yielding best effect at 0.3 percent addition, and metaphosphate seemed to be more effective in order. The addition of corn starch, however, appeared to be not so effective for enhancement of water binding in fresh-salt-added fish meat paste but in cooked fish paste which might be attributed to absorption of water by starch grain and swelling during the heating and consequently enforced gel strength of cooked fish paste. And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cooked fish paste was proportionally related to its gel strength.

  • PDF

증숙 공정에 의한 마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Evalu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Dioscorea batatas by Stepwise Steaming Process)

  • 강문경;김진숙;김기창;최송이;김경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49-1057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oscorea batatas for improvement of biological activities during a three-step steaming process, steaming $120^{\circ}C$ for 30 min and hot air drying at $60^{\circ}C$ for 8 hrs. Samples were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analyzed for free sugars, and organic acids were analyzed by HPLC. The DPPH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rude saponin, water binding capacity, oil absorption, and ${\alpha}$-glucosidase activity were measured. The major free sugars in all samples were fructose, maltose, and sucrose, and the free sugar contents increased to 157~235% after the three-step steaming process compared to the control. Organic acid contents of samples treated by steaming increased to greater than 55.8 mg/100g.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repeated steaming process, especially after the three-step process. As the time of steaming process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from 26.99% fresh Dioscorea batatas to 80.46~97.79% after the three-step process. Crude saponin content increased rapidly as steaming time increased, but decreased after the three-step process steaming process. The water-binding capacities of the samples treated by steaming proces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whereas oil absorption decreased as steaming time increased. From the results, steaming process could be suggested as beneficial for controlling fat intake. Compared to acarbose, a known antidiabetic drug, used as a positive control,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samples treated by two-step steaming was among the samples. The results suggest that Dioscorea batatas treated by steaming process has antioxidative and anti-diabetis activities and can be used as a natural health product.

쑥부쟁이를 활용한 나물김부각 제조 및 품질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mul-kim bugak Using Aster yomena)

  • 이경은;박수진;정연권;고근배;손병길;정지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0-57
    • /
    • 2016
  • 본 연구는 김부각(KB), 쑥부쟁이 나물부각(SB), 쑥부쟁이 나물김부각(NB)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NB는 쑥부쟁이 나물을 잘게 썰어 들깨 양념하여 김에 부착시켜 찹쌀풀을 발라 부각으로 제조 한 후 동결 건조하였다. KB보다 SB와 NB의 기름 흡유율이 높아 나물의 기름 흡수가 많았다. SB의 DPPH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KB 보다는 NB가 높게 측정되어 나물이 김보다 항산화능이 높았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은 증가하는 반면 최대하중, 항복응력 및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NB>KB>SB 순이었고, NB와 SB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5^{\circ}C$에서 40일 저장한 NB의 산가 및 과산화물가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산패의 기준에는 못 미쳤다. 따라서, $25^{\circ}C$ 이하에서 40일까지는 저장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쑥부쟁이뿐만 아니라 기능성이 입증된 다양한 나물을 첨가한 부각을 제조한다면 다양한 소비자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부각제조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밀기울에 대한 열처리가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Thermal Treatmen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eat Bran)

  • 황재관;김종태;조성자;김철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94-403
    • /
    • 1995
  • 밀기울의 각종 열처리에 따른 밀기울의 화학적 구조 및 기능특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사용한 열처리의 종류는 toasting, roasting, drum drying, autoclaving+drum drying, microwaving+drum drying, extrusion이였다. 열처리 공정에 의하여 가장 뚜렷한 차이를 보인 것은 수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으로서 원료밀기울에 비하여 약 $40{\sim}110%$의 수용성 식이섬유가 증가하였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도 감소하기 때문에 총 식이섬유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열처리에 의하여 용해도와 보수적이 증가한 반면에 보유력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용적밀도와 팽화도는 각각 보수력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이들의 곱은 보수력과 높은 상관관계$(R^2=0.94)$를 보였다. 그러나 수용성 성분을 배제한 불용성 성분의 보수력은 용적밀도와 팽화도와의 곱에도 거의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밀기울의 외형적 구조변화에 대한 관찰은 열처리에 따른 밀기울의 화학적 및 기능적 특징에 대한 결과를 잘 반영해주었다.

  • PDF

Bacillus sp. CW-1121이 생성하는 효소를 처리한 참깨박 단백질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protein from defatted sesame meal using the enzyme from Bacillus sp. CW-1121)

  • 최청;천성숙;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3호
    • /
    • pp.172-177
    • /
    • 1993
  • 참깨박에 함유되어 있는 불용성 형태의 단백질을 Bacillus sp. CW-1121이 생성하는 효소를 이용하여 가용성 형태의 단백질로 용출시키기 위하여 효소를 작용시켰다. 효소 처리 참깨박 단백질의 기포 형성력은 염용성 단백질이 수용성 단백질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기포 안정성은 염용성 단백질이 10분 이내 크게 감소된 반면 수용성 단백질의 기포 안정성은 30분 까지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유화력은 각 단백질의 등전점 부근에서 가장 낮았으며, 염용성 단백질이 수용성 단백질에 비해 낮았다 유화 안정성은 유화력과 비슷한 크기로 나타나 $80^{\circ}C$에서의 30분 가열에서도 이들 단백질이 열에 안정함을 보였다. 유지 및 수분 흡착력은 염용성 단백질이 수용성 단백질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