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Trade Hub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동북아 오일허브 정책의 성과와 전망에 대한 연구 (Performance and Prospects of Oil Hub Policy in Northeast Asia)

  • 이충배
    • 무역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05-118
    • /
    • 2019
  • In the past two decades, due to the rapid fluctuations in the oil supply and demand in Northeast Asia as well as a surge in oil prices in the early 2000s, Korea has been developing the Northeast Asia Oil Hub project as a national project. This project was promoted based on the policy consideration that the nation's energy security and regional development can be promoted by establishing an oil hub in Northeast Asia that can eventually replace Singapore as East Asia's oil logistics hub.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a large-scale oil storage facility in Yeosu in 2013, the main project in Ulsan has suffered many difficulties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he supply and demand of oil and political factors. The survey, which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problems, and prospects of the oil hub project, illustrates that scores of all sectors are of average level. In terms of performance and prospects, policies such as facility investment, law, and system improvement were determined to be rather high while operational areas such as value-added activities, profitability, and marketing activities were perceived as having more serious problems by respondents. In conclusion, despite the strong potential of Korea's oil hub based on its geographical location, facilities, and oil product capacity, there are problems related to policies, institutions, and investment. In the future, the oil hub business should be reviewed by considering environmental factors, and a drastic improvement plan for attracting foreign investors and oil traders should be established.

싱가포르 석유물류허브 벤치마킹을 통한 우리나라의 동북아 오일허브 발전 연구 (Study on Oil Hub Development Strategy of Korea in Northeast Asia by Benchmarking Singapore of Oil Logistics Hub)

  • 이충배;김정환;박선영
    • 통상정보연구
    • /
    • 제11권2호
    • /
    • pp.127-145
    • /
    • 2009
  • With increase in oil demand owing to economic growth in Northeast Asia, the establishment of an oil hub in Korea is recently considered by policy and academic circles. This paper aims to suggest strategic schemes on the establishment of Korea's oil hub in Northeast Asia by comparing Korea's conditions as an oil logistics hub with Singapore which has been an oil hub in East Asia until recent yea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were employed in order to examin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s oil hub.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Korea is very competitive as an oil logistics hub in Northeast Asia, but so much improvements for realizing the project are necessary such as expansion of storage facilities for oil, institutional instruments for facilitating oil logistics and trading and preparation for incentive schemes on foreign investments in oil and its related industries.

  • PDF

동북아시아 국가의 석유정제설비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ve Efficiency of Northeast Asian Country's oil Refinery Facilities)

  • 이충배;김정환;강효원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3호
    • /
    • pp.209-227
    • /
    • 2012
  • 글로벌 금융위기의 진원지인 동북아시아 지역은 전통적으로 석유의 생산 및 소비 불균형이 심화된 지역이며, 최근에는 급증하는 석유거래로 인해 저장 및 수송설비의 부족현상까지 겪고 있어 안정적 석유 공급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동북아시아 지역 내 독립적인 석유물류허브 기능을 갖춘 시설과 석유거래의 기능까지 담당할 수 있는 시장의 형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 지역의 석유물류허브 구축 후보 국가를 대상으로 한 석유산업 관련 설비인 정제시설의 정태적 및 동태적 효율성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동북아 역내 주요 국가들의 석유정제설비의 효율성은 우리나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가 동북아시아 지역의 석유물류거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 PDF

동북아 부가가치 석유물류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siness Model for Value Added Petroleum Logistics in Northeast Asia)

  • 박지웅;이충배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9-172
    • /
    • 2023
  • 한·중·일을 포함하는 동북아지역은 199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역내외 석유물류가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대외적인 환경하에서 2000년대 중반 이후 동북아 석유물류허브화 정책을 추진해 왔다. 동북아 물류허브화를 위해서는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의 구축과 촉진이 중요하다. 동북아 지역에서 우리나라 석유물류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함으로써 석유물류 활성화에 대한 정책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체 23개 탱키지 업체를 대상으로 면담조사에 의한 사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조사한 대부분의 유류저장탱크터미널업체들은 블랜딩, 소분화, 집적화와 같은 부가가치 석유물류를 실시하고 있다. 둘째,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발생은 주변국들간 수급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데 특히 일본, 오세아니아, 미국, 남미 등을 연결하는 소분화와 블랜딩 수요가 높다. 셋째, 부가가치 물류수요에 대응한 인프라, 제도 및 규제 등에 대한 개선을 통해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활성화를 촉진해야 할 것이며 이는 우리나라의 동북아 오일허브 정책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21세기 신(新)성장동력 서비스산업인 의료관광 수출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Neo-Service Industry, Medical Tourism as an international trade product in 21st Century : A case of H University Hospital)

  • 전혜진;이희승;김기홍
    • 통상정보연구
    • /
    • 제10권4호
    • /
    • pp.579-595
    • /
    • 2008
  • Medical tourism is a contemporary phenomenon which has its roots in both tourism and health care industry. This market has grown significantly' for the last 10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to develop medical tourism in Korea by studying cases of the medical tourism developed countries such as Singapore, Malaysia, India, Thailand as well as analysis medical tourists who has visited to H university hospital. In total of 254 medical tourists were analys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ed: Korean government need to appease medical law to be able to attract more medical tourists; medical industry and tourism industry need to develop Korean specialized medical tourism package, Middle-Eastern markets, where the oil money exists, should be developed.

  • PDF

우리나라 항만특성에 맞는 그린포트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 AHP를 이용한 울산항 그린포트 정책 우선순위 개발 (Study on establishing Green Port Policy in Korea to meet Ports' Characteristics: Development of Ulsan Green Port Policy by using AHP)

  • 김태균;김환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49-559
    • /
    • 2014
  • 국제무역지수의 증가로 인한 해상운송 및 항만개발수요의 증가는 국제해사기구(IMO)를 중심으로 선박기인 대기오염, 특히 온실가스 배출규제의 강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국제환경규제에 대응하고 선박 및 항만기인 환경오염 저감을 통한 자국민의 후생증진을 위하여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Green Port 정책의 시행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2010년 녹색성장기본법을 재정하고 국가 Green Port 구축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각 항만별 그린포트 구축계획의 수립 및 이행을 촉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북아시아 오일허브 항만을 지향하는 울산항의 지속가능한 친환경 항만운영을 위한 울산항의 Green Port 정책방안의 수립에 있다. 이를 위해 울산항의 친환경 항만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외 해양선진국의 그린포트구축 사례분석과 선행연구 조사,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울산항 그린포트 구축을 위한 정책대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정책대안에 대하여 전문가 AHP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울산항에 도입 가능한 그린포트 구축 정책대안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울산항의 특성에 맞는 지속적인 그린포트 정책의 시행을 위하여 하드웨어 정책으로 LED 교체와 AMP의 구축, 그리고 소프트웨어 정책으로 항만환경관리부서의 신설이 최우선 정책대안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