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Recovery Rate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4초

폐전선으로부터 유가자원 회수를 위한 저온열분해(II) (Low Temperature Pyrolysis for the Recovery of Value-added Resources from Waste Wire (II))

  • 한성국;김재용
    • 공업화학
    • /
    • 제20권5호
    • /
    • pp.553-556
    • /
    • 2009
  • 본 연구의 목표는 열분해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유가자원의 회수와 폐기물 처리의 효율을 높이는데 있다. 우선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열분해온도(보통 $500{\sim}1000^{\circ}C$)보다 낮은 $450^{\circ}C$에서의 저온열분해 반응을 시도하였다.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온도와 반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고, 무 산소 상태를 유지시키는데 유리하도록 간접열을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유가자원인 구리와 합성연료유의 회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고, 발생하는 부산물과 배가스의 처리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배가스는 2단의 중화조를 통과시켜 다이옥신은 거의 발생되지 않았으며, 나머지 대기환경기준의 측정항목 또한 기준치 이하를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앞에서 말한 저온 열분해장치(GTPK-001)를 제작하였고, 경제적으로나 친환경적으로 상용화 개발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온풍난방기 배기열회수 시스템의 열회수 특성 (Heat Recovery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with Heat Pipe Unit Attached to the Hot Air Heater in the Greenhouse)

  • 강금춘;김영중;유영선;백이;이건중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6권5호
    • /
    • pp.441-448
    • /
    • 2001
  • Hot air heater with light oil combustion is used as the most common heater for greenhouse heating in the winter season. However, exhaust gas heat discharged to atmosphere through chimney reaches up to 10~20% of total heat capacity of the oil burred. In order to recover the heat of this exhaust gas and to use for greenhouse heating, the heat pipe type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was manufactured and tested in this experiment. The system consisted of a heat exchanger made of heat pipes, ø15.88${\times}$600mm located in the rectangular box of 675(L)${\times}$425(W)${\times}$370(H)mm, an air suction fan and air ducts. The number of heat pipe was 60, calculated considering the heat exchange amount between exhaust gas and air and heat transfer capacity of a heat pipe. The working fluid of heat pipe was acetone because acetone is known for its excellent heat transfer capacity. The system was attached to the exhaust gas path.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test it could recover 53,809 to 74,613kJ/h depending on the inlet air temperature of 12 to -12˚at air flow rate of 1.100㎥/h.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left the heat exchanger dropped to 100$^{\circ}C$ from 270$^{\circ}C$ after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suction air and the exhaust gas.

  • PDF

폐용제 회수용 이중관형 열교환기 특성 해석 (Analysis of a Double Pipe Heat Exchanger for Waste Solvent Recovery)

  • 구재현;이재근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3호
    • /
    • pp.13-21
    • /
    • 2000
  • 본 연구는 폐용제를 가열, 증발 및 음축과정을 거쳐 용제를 회수하는 시스템의 열교환기 해석에 관한 것으로, 고온 열매체유로 가열되는 이중관형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용제 증발과정의 열전달 특성을 분석하고 용제유량과 가열온도에 따라 물, 벤젠 및 알칼벤젠의 증발을 위해 요구되는 전열면적을 분석하였다. 폐용제 회수장치는 용제 공급펌프 이중관형 열교환기, 진공 스프레이 챕버 및 응축기동으로 구성되며, 이중관형 열교환기는 용제액을 열적 포화온도를 가열시키는 구간과 포화된 용제액을 증발시키는 구간으로 구성된다. 관 내 용제의 증발을 위한 전열면적을 열평형 모델링에 의해 예측하였고, 이중관형 열교화기의 관 내 온도분포 측정을 통해 이론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용제유량 0.1~0.51l/mm 및 가열온도 130~$260^{\circ}C$의 범위에서 용제유향 증가 및 가열온도 감속에 따라 단위전열면적당 열전달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용제 증발을 위한 전열면적은 증가하였다. 관 내 용제 증발을 위한 전열면적의 이론적 분석결과는 측정값과 일치하였으며, 이중관형 열교환기를 사용한 폐용제의 증발과정을 통해 용제를 회수하는 기술에 적용이 가능하다.

  • PDF

휴대용 유출기름회수기의 개발(II) - 공기흡입회수기의 제작과 성능시험 (Development of a Potable Skimmer(II) - Fabrication and Performance Test of an Air Suction Skimmer)

  • 박외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77-184
    • /
    • 1994
  • An air suction skimmer was selected as a potable skimmer to be developed among the many reviewed skimmers because of its advantages such as simple structure, excellent transportability, and easy deployment. A prototype of the skimmer was fabricated. It was shown that the skimmer operated by a commercial vacuum cleaner has good performance. The maximum suction rate of water and the maximum suction head were 18$m^3$/hr and 2.7m, respectively.

  • PDF

Hydride Generation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를 이용한 석유정제폐수중의 selenium 분석 (Analysis of selenium in oil refinery wastewater by hydride generation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천미희;김철;이현주;강임석
    • 분석과학
    • /
    • 제16권5호
    • /
    • pp.399-406
    • /
    • 2003
  • 본 연구는 수소화물 발생장치가 부착된 원자흡광 광도계 (HG-AAS)를 이용하여 비교적 고농도의 Se을 함유하고 있는 석유정제 폐수의 Se 분석을 위하여 적합한 분석조건을 선정하고자 수행되었다. Se(VI)의 Se(IV)로의 환원 실험에서 폐수량 10 mL, 염산 주입량 10 mL, 가열시간 30분이 최적 환원조건으로 결정되었다. 폐수의 조성성분과 유기물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Se 회수율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3가지 산분해법 ($HNO_3/HClO_4$ 분해, $KMnO_4$ 분해 및 초단파 산분해)에 의한 유기물, 석유화합물 분해 및 유기성 Se(org.), Se(IV) 산화에 따른 Se 회수율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산분해전 약 50~80%이었던 Se 회수율은 모든 산분해에서 90%이상이었으며 특히, 초단파 산분해에 의한 Se 회수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HG-AAS를 이용한 석유정제 폐수의 Se 분석시에는 초단파 산분해후 염산 처리를 하는 전처리 과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압식 엘리베이터 에너지 저감장치의 성능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n Energy Saving Unit in a Hydraulic Elevator)

  • 조인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588-2595
    • /
    • 2013
  • 기존의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하강행정 동안 손실 되는 유압 에너지를 회수하여 재사용하기 위하여 개발한 유압식 엘리베이터용 하이브리드 형 에너지 저감 장치에 대한 성능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회수된 에너지는 축전지에 저장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구동 조건에 따른 에너지 저감장치의 출력 특성, 효율 및 에너지 회수율 등에 관하여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하강행정 동안 버려지는 에너지의 회수율이 최대 약 54%로 에너지 저감 장치의 압력, 유량, 출력 전압과 전류, 효율 및 에너지 회수율 등과 같은 성능 특성들이 안정적이고 양호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에너지 저감 장치를 통하여 하강행정 동안 회수된 에너지를 재사용하데 매우 유용하며, 상용화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HEAT PIPE TYPE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FOR HOT AIR HEATER

  • Kang, G.C.;Kim, Y.J.;Ryou, Y.S.;Rhee, K.J.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0년도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V.III
    • /
    • pp.654-661
    • /
    • 2000
  • Area of greenhouse increases rapidly up to 45,265ha by the year of 1998 in Korea. Hot air heater with light oil combustion is the most common heater for greenhouse heating in the winter season. However, exhaust gas heat discharged to atmosphere through chimney reaches up to 10~20% of total heat of the oil combusted in the furnace. In order to recapture the heat of this exhaust gas and to recycle for greenhouse heating, the heat pipe type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was manufactured and tested in this experiment. The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was made for space heating in the greenhouse. The system consisted of a heat exchanger made of heat pipes, ${\emptyset}15.88{\times}600mm$ located in the rectangular box of $600{\times}550{\times}330mm$, a blower and air ducts. The rectangular box was divided by two compartments where hot chamber exposed to exhaust gas in which heat pipes could pick up the heat of exhaust gas, and by evaporation of the heat transfer medium in the pipes it carries the heat to the cold compartment, then the blower moves the heat to greenhouse. The number of heat pipe was 60, calculated considering the heat exchange amount between flue gas and heat transfer capacity of heat pipe. The working fluid of heat pipe was acetone because acetone is known for its excellent heat transfer capacity. The system was attached to the exhaust gas path.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test it could recover 53,809 to 74,613kJ/hr depending on the inlet air temperature of 12 to $-12^{circ}C$ respectively when air flow rate $1,100\textrm{m}^3/hr$. The exhaust gas temperature left the heat exchanger dropped to $100^{circ}C$ from $270^{circ}C$ by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and the flue gas, the temperature difference was collected by the air and the warm air temperature was about $60^{circ}C$ at the air flow rate of $1,100\textrm{m}^3/hr$. This heat pipe type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can reduce fuel cost by 10% annually according to the economic analysis.

  • PDF

S-자형 플랩을 이용한 충격파와 경계층 간섭현상 제어에 관한 연구 (Control of Shock Wave/Boundary-Layer Interactions Using S-Shaped Mesoflaps)

  • 이열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159-160
    • /
    • 2002
  • New S-shaped aeroelastic mesoflaps are utilized to control normal shock/boundary-layer interactions. New generation of the mesoflaps is designed f3r a better rigidness and a good flow uniformity across the ulteractions. ,Major advantages of the mesoflap system can be a better total pressure recovery downstream of the interactions due to the lambda shock structure over the flap system, and a rehabilitation of the thickened boundary layer due to bleeding through a cavity underneath the flap system. Skin friction has been measured downstream of the interactions, using the laser interferometer skin friction (LISF) meter, which optically detects the rate of thinning of an oil film applied to the test surface. Various flap-thicknesses of the S-shaped mesoflap arrays are test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to the solid-wall reference case. Overall, not much difference in the level of skin friction is noticed for the S-shaped flap arrays of various thicknesses, and its level is lower than the skin friction downstream of the solid-wall interaction

  • PDF

버터와 참기름을 함유한 지방 식사의 식이성 발열효과, 영양소 산화율 및 포만도 (Thermic Effect of Food, Macronutrient Oxidation Rate and Satiety of High-fat Meals with Butter and Sesame Oil on Healthy Adults)

  • 이명주;;김은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5-22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investigate the acute effects of two fatty meals (high-SFA & high-PUFA) on post-prandial thermic effect, substrate oxidation, and satiety. Eight healthy adults (four males and four females) aged 19-22 years were assigned to consume two isocaloric meals: high in saturated fatty acids from butter and high 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from sesame oil. Indirect calorimetry was used to measure resting energy expenditure (REE), post-prandial energy expenditure for five hours, and substrate oxidation. Satiety of the subjects after meals was estimated by using visual analogue scales (VAS). Five hours thermic effect of food (TEF)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utter meal (6.5% of energy intake) and sesame oil meal (7.3% of energy intake), but, the TEF of butter meal reached the peak point at 150 min and decreased more rapidly arriving to REE in 270 min. On the other hand, TEF of sesame oil meal reached the peak at 90 min and decreased slower than butter meal (still higher than REE at 300 mi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strate oxidation rat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meals. Post-prandial fat oxidation rate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consumption of both butter and sesame oil meal than that of the pre-prandial state. Satiety values (hunger, fullness, and appetite) were similar among the meals, but recovery of hunger and fullness to the pre-prandial state was faster in butter meal than that of the sesame oil meal.

수분함유 기름 에멀젼의 형성경향, 생성방해 및 파괴에 관한 실험적 예측 (Laboratory Simulation of Formation, prevention and breaking of Water-in-oil Emulsion)

  • 강성현;오재룡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4-331
    • /
    • 1991
  • 해상유출유의 풍화산물인 수분함유 기름 에멀젼(water-in-oil emulsion)의 생성경 향과 안정도, 그리고 생성속도를 16개 원유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해상유출유의 방제 전략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인 에멀젼의 생성방해와 파괴를 위하여 사용되 는 유분산처리제와 에멀젼 파괴제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에멀젼의 생성경향은 사우디 아라비아산 원유와 이란원유, Dubai 원유, (Isthmus) 원유, 중국산 대경 원유 등이 높 게 나타났으며, 80-90%의 함수율을 보였다. 에멀젼의 안정도는 중동산 원유들이 대부 분 높았으며, 에멀젼 생성속도가 빠른 (Istymus) 원유와 대경원유 등은 오히려 불안정 한 특성을 보였다. 에멀젼의 생성경향과 안정도는 원유 중의 아스팔텐 함량과 가장 밀 접한 연관이 있었으며, 황, 바나디움 함량과도 처리제와 에멀젼 파괴제를 이용하여 에 멀젼 형성을 억제하는 능력을 시험한 결과, 국산 유처리제는 기름 용적의 0.2%, 정도 에서, 외산 유처리제와 에멀젼 파괴제는 0.1% 이하에서 방해 효과를 보였다. 에멀젼의 생성 방해효과는 에멀젼의 형성시기를 지연시키지만 함수율을 감소시키지는 못하는 것 으로 보인다. 에멀젼 파괴제인 Alcopol 0 유처리제에 비하여 강력한 파괴능력을 보였 으며, 에멀젼 용적의 0.1% 이하에서 빠르게 에멀젼 내로 침투하여 물과 기름으로 분리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