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icial Kil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78초

조선시대 관요인 광주 번천리 출토 백자의 기술적인 연구 (Whiteware from the Official Kiln of Choseon Dynasty Period in Beoncheon-ri, Gwangju)

  • 강경인
    • 보존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4
    • /
    • 2003
  • 조선시대 관요가 위치한 경기도 광주의 백자에 대한 화학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백자요지에서 출토된 백자를 대상으로 X-선 회절 분석, 유도결합 플라즈마 원자방출 분광분석, 에너지분산 X-선 분광분석의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백자요지에서 출토된 백자는 출토된 유구에 관계없이 유사한 태토로 제조되었으며, 태토의 제조에는 광물학적으로 같은 계통의 원료로 장석광물이 사용되지 않은 점이 특징적이다. 폐기물의 퇴적 1에서 출토된 백자는 백자요지의 다른 유구에서 출토된 백자와는 $Fe_2O_3$를 포함한 태토의 조성 및 광물학적인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폐기물의 퇴적 떼서는 백자요지의 다른 유구와 성격을 달리하는 유물이 출토되었다는 발굴조사의 결과와 백자의 과학적인 분석결과와 일치하였다. 백자에는 유약성분의 특성상 라임계열과 알칼리-라임계열의 유약이 사용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유약조성의 범위는 넓었다.

  • PDF

Effects of Pretreatment for Controlling Internal Water Transport Direction on Moisture Content Profile and Drying Defects in Large-Cross-Section Red Pine Round Timber during Kiln Drying

  • Bat-Uchral BATJARGAL;Taekyeong LEE;Myungsik CHO;Chang-Jin LEE;Hwanmyeong YE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6호
    • /
    • pp.493-508
    • /
    • 2023
  • Round timber materials of 600 mm length, cut from large-cross-section round timber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of 450 mm width and 4.2 m length, were prepared as the target of kiln drying in this study. After treating the target materials through end sealing (ES), end sealing - kerfing (ES-K), lateral sealing - end sealing - boring (LS-ES-B), or lateral sealing - partial end sealing (LS-PES),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on the incidence of drying defects were determined. The target materials with exposed lateral surface and sealed cross surface were steamed at the initial temperature of 65℃ above the official pest control temperature of 56℃, followed by kiln drying toward the final temperature of 75℃. The target materials with sealed lateral surfaces, on the other hand, were dried at the initial temperature of 90℃ at almost the maximum temperature of conventional kiln drying, as there is no risk of early check formation caused by surface moisture evaporation. The final temperature was set at approximately 100℃. The drying time, taken for the target materials with initial moisture content of 70%-80% to reach the target moisture content of 19%, varied across treatment conditions. The measured drying time was 1,146 hours (approximately 48 days) for the timber with sealed cross surface and 745 hours (approximately 31 days) for the timber with sealed lateral surface, until the moisture content reached the target level. The formation of surface checks could not be prevented in the control and ES groups, but a definite preventive effect was obtained for the LS-ES-B and LS-PES groups.

世宗實錄地理志에 나타난 中品磁器所에 관한 硏究 -于下理 窯址를 中心으로- (The study on Ceramic Kilns for Common Qualities Based on the Sejongsillokjiriji -Focused on Woohari Kiln Site-)

  • 김종태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307-318
    • /
    • 2004
  • 수습유물 및 문헌록의 분석을 통해 우하리 요지는 세종실록지리지상의 중품요지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곳은 세종 당시의 중품생산지인 공성현 원동으로 추정됨에 따라 중품자기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요지일 뿐만 아니라 한국도자수공업상의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발견이다. 출토 자편들의 대부분은 生活容器들이다. 특히 “膳”자가 흑상감 된 대접편이 출토됨으로서 명백한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즉 우하리 요지는 세종 당시(1420년대) 음식을 관장하는 중앙 관청의 하나인 사선서(司膳署)에 공납(貢納)의 일부를 담당하고 있었던 곳이다.

  • PDF

조선후기 청화백자 산수문양의 전개양상 (Landscape Designs on Blue and White Porcelains in the Late Joseon Period)

  • 정은주
    • 고문화
    • /
    • 69호
    • /
    • pp.91-111
    • /
    • 2007
  • 본 논문은 청화백자에서 산수문이 가장 성행했던 조선후기를 중심으로 분원의 시대적 상황과 그곳에서 시문제작에 직접 참여했을 것으로 보이는 화원과 화청장의 역할에 주목하였고, 현존 백자의 청화 산수문 주제를 분류하여 당시 문화.사상적인 배경에 초점에 두고 검토하였다. 또한 백자의 청화산수문양에 나타난 양식적 변화를 당시를 풍미했던 산수화풍 및 화보 도상과 비교하여 그 전개와 제변화 양상을 정리하였다. 조선후기 백자의 청화 산수문 중 대표적 주제는 동정추월문으로 이는 당시 화단을 풍미한 진경산수나 풍속화 등 현실적 소재와는 거리가 있으며, 국왕과 종실 등 분원의 정책을 운영하던 핵심 세력 및 백자 향유층의 사상.문화적인 경향을 잘 시사한다. 또한 청화백자의 기면에 동정추월문과 대칭하여 나타난 소재는 조선 유학자들의 이상적인 삶을 묘사한 처사들의 은일고사의 전통을 반영한 것으로 그 도상적 특징은 조선 중기의 소경산수인물도와 당시 유행하던 중국화보의 영향이 간취된다. 이들 산수문양은 호형 도자 문양을 구획 짓는 릉화창에 시문되거나 편병, 각병 등에 묘사되어 기면의 특성에 맞게 포치를 변화시켜 나타난다. 회화적인 요소가 강한 산수문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점차 도식적으로 변모하거나 약리도와 길상도, 십장생과 같은 민화적 요소와 함께 시문되면서 점차 백자의 중심 문양에서 저변으로 밀려나 퇴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청화 산수문양이 시문된 백자의 편년작이 극히 드문 한계에도 불구하고 현존하는 백자에 그려진 청화산수문 전개 양상의 일단이라도 정리하여 앞으로 이 분야 연구에 다양한 접근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