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ice of Education Library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5초

사서공무원 공개채용 시험과목의 직무전문성에 대한 인식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f the Open Competitive Exam Subjects for Civil Service Librarian)

  • 박소연;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9-26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변경된 사서직 공무원 시험제도가 사서직 직무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개정이 되었는지에 대한 인식을 현직 사서공무원 대상의 설문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사서직 공무원 채용에 사서직 직무전문성을 갖춘 인재채용을 위한 시험과목과 채용제도의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직 사서공무원은 변경된 사서직 8 9급공무원 공채 시험과목이 사서직 직무전문성을 가진 사람을 채용하는데 있어 실용성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응답자의 78.5%가 변경된 과목(행정학개론, 사회, 과학, 수학)보다는 사서직 전공과목을 위주로 필기시험과목을 조정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전문성 향상을 위한 사서직 공무원 공개채용 시험과목으로 '도서관경영론', '정보조직론', '장서관리론' 과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발달적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 - 시범학교의 사례연구 - (The Effects of Developmental Bibliotherapy in School : In the Case of the Model School)

  • 권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39-164
    • /
    • 2007
  • 본 논문은 대구광역시 교육청이 독서치료 시범학교로 지정한 중학교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참여 학생은 77명이며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두 개의 프로그램에 분리 배치되었으며 각각 15회 실시되었다. 두 프로그램은 각 문제 영역에서 매우 긍정적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얻었으며, 독서치료 목표와 독서자료에 따라 뚜렷한 효과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독서치료는 내재화 문제, 여학생에게 더 큰 효과가 있었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발달적 독서치료는 향후 자가 독서치료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독서교육과 연계될 필요가 있다.

사서 교사의 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acher Libarians' Efficacy)

  • 강봉숙;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9-16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 교사가 지닌 효능감 특징을 분석하고, 효능감 강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도 K 대학 1급 사서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전국의 사서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 교사의 효능감은 평균 3.38점이며, 교수법 효능감(3.60점)이 높고, 집단 효능감(3.38점)과 개인 효능감(3.18점)은 낮게 나타났다. 사서 교사는 수업운영, 불우 학생 지도 의지 및 문제 학생 지도 가능성 판단에 대한 개인 효능감과 동료 교사 및 학부모와의 갈등 관리에 대한 집단 효능감이 높았다. 반면에 문제 학생의 원인 분석과 지도, 어려운 내용 및 과목 지도에 대한 개인 효능감이 낮았다. 또 관리자 및 교육청과의 갈등에 대한 집단 효능감이 낮았다. 사서 교사들은 학생에 대한 교수법 방법 개선 노력에 대한 의지가 강하며, 학생 동기화와 교수 준비에 대해서 높은 효능감을 보였다. 그러나 학습 기술이 부족하고, 다양한 교수법이 부족하다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끼친 변인은 출신 학부, 학력, 근무학교 규모, 경력 등이며, 특히 학력이 높을수록 문제 학생 및 불우 학생 지도에 대한 자신감과 열정이 높고 교수법에 대한 자신감이 강했다. 또한, 동료 및 학부모와의 갈등해결과 교수법에 대한 신뢰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서 교사 효능감 향상 방안으로 양성에서의 교직 이수비율 확대, 임용 전 사서 교사 연수 제도 개선, 장학체계 확립 그리고 대학원 진학을 통한 전문성 향상 노력 등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 설립 사전 타당성 평가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easibility Evaluation Model for Establishment of Public Libraries)

  • 김신영;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101-127
    • /
    • 2022
  • 2021년 12월 7일 전부 개정된 「도서관법」 (법률 제18547호) 제31조 제1항은 "지방자치단체의 장 또는 시·도교육감은 공립 공공도서관을 설립하려면 미리 공공도서관 설립·운영계획을 수립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으로부터 설립타당성에 관한 사전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건립의 사전평가는 공공도서관 건립규모의 적정성 제고 및 분포 조정을 통한 시·도별 및 시·군·구별 불균형 및 격차를 해소하여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며 공공도서관 건립단계에서 핵심인프라(사서, 자료, 시설, 시스템 등)의 충실한 확보를 유도하여 서비스 만족도와 운영 내실화를 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설립타당성 사전평가제의 기본방향, 평가체계 및 평가모형(안)을 개발·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시한 평가모형(안)은 공공도서관 설립타당성 사전평가제의 법적 근거와 제도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지방자치단체나 교육청은 공공도서관 건립계획 수립에 필요한 지침 제시를 통한 사전평가 준비의 혼란 방지와 편의성 제공하여 부실한 공공도서관 건립 및 운영에 따른 세금 낭비를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문도서관 운영평가의 분석 및 진단에 관한 연구 - 2012년도 운영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Results of Korean Special Library Management Evaluation Conducted in the Year 2012)

  • 한종엽;차성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07-435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전문도서관의 2011년 한 해 동안의 운영실적을 평가한 결과를 분석하여 전문도서관 발전을 위한 정책대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39개 세부지표의 종합 평가점수는 100점 기준으로 볼 때 51.8점으로 나타났다. 5개 평가영역별로 살펴보면 시설환경 영역의 100점 환산점수가 77.3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인적자원 영역(53.5점), 도서관 경영 영역(51.0점)으로 나타났다. 정보자원과 정보서비스 영역은 각각 49.3점, 45.4점으로 50점을 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지표별로 살펴보면 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지표는 시설환경 영역의 '이용자 편의시설'(96.7점)이었고, 가장 낮은 지표는 인적자원 영역의 '도서관 직원의 장기 교육훈련 참여실적'(13.0점)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2012년 전국의 전문도서관 운영평가의 결과를 분석하여, 설립주체별로 도서관 운영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한 것이다. 국내 전문도서관은 주로 중앙행정기관, 공기업, 준정부기관, 정부출연연구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산하 기관, 기업체, 민간단체, 병원, 언론기관 등 모기관의 성격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분석결과는 향후 전문도서관 유형별로 차별화된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의 공공도서관 통계에 대한 분석 연구: 도서관 기본 정보 및 시설 현황을 중심으로 (Analysis of Public Library Statistics in Korea: Focusing on the Overview and Facility of Public Libraries)

  • 이용구;김선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35-356
    • /
    • 2021
  • 이 연구는 2007년부터 2020년까지 공공도서관 통계를 이용하여 공공도서관의 기본 정보와 시설을 중심으로 14년 동안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변화 추이와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 데이터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하고 이를 우리나라 인구수 및 1인당 GDP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은 2020년 현재 1,172개관으로 2007년에 비해 양적 측면에서 약 2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증가는 1인당 GDP 및 인구수와 매우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2020년에는 지자체 소속 위탁 운영 공공도서관이 229개관으로 2007년에 비해 그 비율이 18.8%에서 25.1%로 상승하였다. 공공도서관의 부지면적은 도서관마다 편차가 크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넓어지는 추세를 보이며, 건물 연면적은 지자체 소속 도서관보다 교육청 소속 도서관이 더 넓고 시간에 따라 점점 넓어지는 추세를 보인 반면, 지자체 소속 도서관은 다소 감소하였다. 도서관의 총 좌석 수는 모든 도서관에서 감소하고 있으며 어린이 열람석과 노인 및 장애인 열람석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텔리전트 대학시설 모형개발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A Survey Study on the Development Model of Intelligent University Facilities)

  • 배정익;안병욱;박동소;이상호;이경회
    • 교육시설
    • /
    • 제5권1호
    • /
    • pp.44-52
    • /
    • 1998
  • Nowadays, social environment is rapidly changed toward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and which demands the new paradigm for active utilization of information system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many others. The effort to adapt tele-communication technique to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planning to make virtual university come true are needed immediately. Intelligent Building system should be applied to educational facilities to cope with the changing and progressing building system. As a result of the surveying eleven domestic universities, it was found that library management system, administration automation system and office automation system were already introduced, but campus infrastructure such as network system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between buildings in campus have been constructed now. A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mpeding factors and improvement direction for active utilization of intelligent building systems in university facilities were presented.

  • PDF

충북의 2010년 이후 신설된 학교 분석을 통한 저층부 배치 시설 및 공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Facilities Layout of Lower Floor and Space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is of Newly Established Schools in Chungbuk since 2010)

  • 강혜진;정진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13
    • /
    • 2015
  • Th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rough the social awareness and issues are being changed. Accordingly, in response to the school building which also has to be changed. This study is Low-floor(1~2 floor) for high accessibility, important management and a lot of locomotion. This study is analysis by floor of newly established schools in Chungbuk. Facility and space on the possible low-floor situated are classified administrative zone, health zone, student support + local exchange zone, STEAM(creativity, personality) supporting zone. The administrative area includes administration office, principal's office and board rooms. The administrative zone is located against schoolyard. Because it is possible visual control of schoolyard. also it controls visitor access so it is placed near main entrance. Health zone is located near a special class, counseling center and wee class for emergency situation. and is located near schoolyard for visual control. Student support + local exchange area includes library and computer lab, audio-visual room, auditorium or gymnasium. It put more emphasis resident welfare, culture and education. So it opens for local residents. It is located center of few stories or near entrance. STEAM(creativity, personality) supports science lab, art room, family room. It is possible such a theory class, experience class and indoor and outdoor class. It is located few floors. This study is used as a reference for school building projects planing.

다문화학생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디지털 큐레이션 적용방안 (Applying Digital Curation to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Multicultural Students)

  • 위현미;박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5-30
    • /
    • 2023
  • 다문화학생 밀집지역의 공립 초등학교에서 다문화학생들은 한국어 능력의 부족으로 수업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교사들이 생산한 다문화 교수학습자료는 관리나 재사용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수업의 학습효과를 높이고 자료의 체계적인 관리와 이용을 위하여 디지털 큐레이션을 다문화 교수학습자료에 적용하여 저장, 이용,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연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교육청 다문화국제혁신학교인 A시의 B초등학교이다. 다문화학생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에 디지털 큐레이션을 적용하는 과정을 교수학습자료의 수집, 정리 및 선별, 주제 범주화, 하위주제 설계, 플랫폼 연계 방안으로 분석하였다. 디지털 큐레이션 적용 시 고려할 현실적 쟁점과 정책방안도 제안하였다.

교육시설 화재위험성 평가를 위한 기초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ic Investigation for the Fire Risk Assessment of Education Facilities)

  • 이성일;함은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351-364
    • /
    • 2021
  • 연구목적: 교육시설 화재위험성 평가를 위한 기초 데이터 확보를 위하여 화재하중 분석하였다. 사전조사로 화재하중을 산정하기 위해 학교시설의 화재하중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방법: 기초자료는 화재하중의 정의 및 종류, 화재하중 산정을 위한 연소열 데이터 화재하중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진행하였고 화재하중 산출시 구획실에 존재하는 가연물 중량에 해당 연소열을 곱하여 산정하였다. 연구결과: A 초등학교의 고정가연물은 교실, 음악실, 교무실은 정서나 안전을 고려하여 바닥이 주로 목재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나머지 구획실은 석재로 이루어졌다. 천장과 벽은 석고보드, 콘크리트로 되어있어 가연물에 속하지 않았다. 각 실별로 대표적인 적재가연물은 교실은 책상, 의자, 사물함 등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실은 실험기구함, 실험도구함이 주를 이루어었으며 도서실은 책과 서가, 열람기구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결론: A 초등학교의 적재가연물에 따른 적재화재하중은 도서실, 컴퓨터실, 영어학습실, 교무실, 일반교실, 과학관, 음악실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