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enanthe stolonifer DC.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Bioremediation of Heavy Metals from the Land Application of Industrial Sewage Sludge with Minari (Oenanthe stolonifer DC.) Plant

  • Lee, Myoung-Sun;Youn, Se-Young;Yim, Sang-Choel;Park, Hee-Joun;Shin, Joung-Du
    • Plant Resources
    • /
    • 제1권1호
    • /
    • pp.53-59
    • /
    • 1998
  • Laboratory experiments for the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in land application of sludge, the accumulation and translocation of heavy metals in x plants after transplanting, and the responses of Minari growth with different ratio of land application of sludge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ability of bioremediation with Minari plants. The removal rate and translocation of copper. zinc. lead. and cadmium in soil and plants were compared after transplanting the Minari plants to soil treated with different ratio of sludge. The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in soil incorporated with sludge was different with application ratio, but increased with growing periods of Minari plants. The removal efficiency of Cu, Zn, Pb, and Cd ranged from 67 to 74% from 51% to 63%, from 37% to 71%. and from 15% to 25% after 45 days of transplanting. respectively. The amount removed the copper value. 65.9 mg/kg, observed to be highest in soil incorporated 3% sludge after 45 days. The translocation of Cu. Zn. Pb. and Cd from shoots to roots ranged from 18 to 53%, from 17 to 32%, from 14 to 49%, and from 23 to 38% over growing periods. respectively. In plant responses it appeared to be inhibited the plant growth in the treatm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early stage of growth. However, the fresh weights of Minari plant increased from 12.5 to 62.5% in the sludge application after 45 days relative to the control. Therefore the Minari might play a useful role in bioremediation of Cu, Zn, Pb, and Cd in the land application of sludge.

  • PDF

미나리 재배에 의한 중금속 오염수의 식물정화 (Phytoremediation Technology with Using Water Celery (Oenanthe stolonifer DC.) to Clean up Heavy Metals in the Contaminated Wastewater)

  • 박종선;한성수;윤덕중;신중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2-129
    • /
    • 2002
  • 중금속 오염원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미나리를 도입하여 중금속 종류에 따른 적정 농도별로 중금속 흡수, 정화효율성 및 식물체내에서 중금속 축적과 이행과정을 조사하였다. 미나리를 이용한 중금속 정화효율성은 Cd의 경우 미나리 정식 6일 후 Artificial solution 처리구와 문막 공업폐수 처리구는 각각 53%, 73%의 정화효율성을 보였으며, Cu의 경우에는 각각 28%, 100%의 정화효율성을 보였다. 환경부에서 규정한 Cd의 청정지역 배출허용기준인 0.02 mg/L은 모든 처리구에서 10일 이후에 나타났으며, Cu의 기준농도인 0.5 mg/L은 Artificial solution 처리구의 경우 10일 이후, 문막 공업폐수 처리구는 3시간 이후에 나타났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나리내 중금속의 축적농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처리구의 오염수 중금속 농도보다도 5$\sim$10배 이상 축적되었다. 미나리 식물체에 흡수된 중금속의 뿌리에서 지상부로의 이행율은 Artificial solution 처리구에서 Cd은 25%, 문막 공업폐수 처리구에서 Cu는 25% 이행하였다. 중금속에 대한 미나리의 생육반응은 문막 공업폐수 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미나리 생장이 억제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미나리는 중금속 오염수의 중금속 정화를 위한 식물정화기술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