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enanthe javanica D.C.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재배방법이 다른 미나리의 항세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ies in Watercress(Oenanthe javanica D.C.) Cultivated with Different Culture Methods)

  • 이홍렬;유맹자;정희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43-249
    • /
    • 2001
  • Antibacterial activities in each part of watercress(Oenanthe javanica D.C.) grown under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to use watercress as a resource to develop the antibacterial substance. The leaves of watercres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the methanol extract was further fractionated with various organic solvents.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Shigella dysenteriae ATCC 9361 in all fraction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gar diffusion method using paper disc. Methanol extract of watercress leaves was more effectively inhibited the growth of the tested bacteria than the extracts of roots or stems at the concentration of 0.5 g eq./disc, and the extract of watercress from Hwasoon was the most effective one as compared to others. Phenolic and neutral fractions fractionated from methanol extract of watercress had a considerable inhibiting activity on the growth of the bacteria, but acidic and basic fractions did not show any inhibitory effec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phenolic and neutral fractions against Shigella dysenteriae ATCC 9361 were $400\;{\mu}g/disc$ and $550\;{\mu}g/disc$, respectively.

  • PDF

재배방법이 다른 미나리의 성분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Watercress(Oenanthe javanica D.C.) Depend upon Cultivating Methods)

  • 이홍렬;유맹자;정희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5-242
    • /
    • 2001
  • Chemical properties of the different parts of watercress(Oenanthe javanica D.C.) grown and harvested from the culture fields under different cultivating methods were studied. In proximate analyses of watercress in parts, moisture contained more in stem than in root or in leaf, but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were lower in stem than in root or in leaf. Crude ash in root contained up to about double amount in leaf or stem. Major mineral elements detected in watercress were Fe, Mg, Ca, and K, and their contents in root was higher than those in stem or leaf. Especially, Fe in roo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stem or in leaf. Total free sugar composed mainly with fructose and glucose, was the highest in watercress from Hwasoon and followed the watercress from Jeonju and Donggok in order. Free sugar content was highest in leaf and the lowest in root. Major water-soluble vitamins were vitamin C, thiamin and biotin and the content of vitamin C was higher than others. These vitamins contained more in leaf than in stem or root. Niacin contained 6.09 mg/100 g in leaf of watercress from Hwasoon, which was much higher than others, but it was not detected in stem of watercress from Jeonju. Organic acids detected were oxalic acid, citric acid and malic acid and other 12 organic acids were not detected. In fatty acid compos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watercresses from different parts and different culture fields.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palmitic acid were major fatty acids contained in watercress and it took about 80% of the total content. Amino acid content in leaf was higher than that in root and in stem. Glutamic acid and proline were major amino acids in stem of watercress from Jeonju and in stem of watercresses from Hwasoon and Donggok, respectively. In leaves of all three watercresses glutamic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 PDF

미나리 분말을 첨가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특성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with Addition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Powder)

  • 이신호;김진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133-1138
    • /
    • 2013
  • 미나리 유통과정중 생성되는 부산물의 활용방안과 청국장의 품질 및 기호성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청국장의 제조시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미나리 분말 첨가에 따른 발효 및 품질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효균주로 사용한 Bacillus subtilis RS-9은 볏짚으로부터 분리된 30 균주 중 대두 분해력, 단백 분해력, 전분 분해력,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한 후 사용하였다.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미나리 분말을 0.5%, 1%로 혼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미나리 분말 혼합 청국장의 pH는 발효 전 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첨가 미나리의 전처리 방법에 따라서는 뚜렷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청국장의 발효 후 총균수는 8.70~8.88 log CFU/mL이었으며,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미나리 혼합 청국장의 아미노태 질소와 점질물 함량은 발효 전 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후 모든 군이 증가하였으며, 스팀처리 미나리 첨가구가 $590.24{\mu}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대조구에 비해 뚜렷이 높았으며, 발효 후 모든 처리구에서 활성이 증가하였고 스팀처리 미나리 첨가구가 82.16%로 가장 우수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생미나리 분말 0.5% 첨가군이 맛과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미나리의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추출방법, 부위별 및 열처리방법에 따라- (A Study on the Volatile Constituents of the Water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s, parts and heating methods -)

  • 이행재;고무석;최옥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86-395
    • /
    • 1995
  • 미나리(Oenanthe javanica D.C)의 향기성분의 추출방법, 부위별 및 열처리 방법에 따라 미나리의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추출된 성분은 23종의 성분, Head space법에서는 8종의 성분, Ether 추출법에서는 16종의 성분, Tenax-GC법에서는 9종의 성분이 확인되어 향기성분 조성은 추출방법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고,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추출하였을때 가장 많은 종류의 성분이 검색되었다. 부위별 미나리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향기성분의 함량은 줄기와 잎에서 각각 41.71 mg%, 85.37 mg%로 잎에서의 함량이 줄기보다 더 높았다. 줄기 부위에서는 hydrocarbon류 14종, aldehyde류 5종, alcohol류 4종으로 23종의 성분을 잎 부위에서는 hydrocarbon류 21종, aldehyde 5종, alcohol류 4종, ester 1종으로 31종의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잎 부위가 줄기에 비하여 비교적 다양한 종류의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다. 줄기에서는 octanal 함량이 가장 높았고, limonene, sabinene, -terpinene, -myrcene 함량이 높았으며, 잎에서는 octanal 함량이 가장 높았고, isobicyclogermacrene, limonene, -farnesene, undecaethiol, -terpinene, sabinene, elemene, -myrcen 함량이 높았으며, 이들이 미나리의 중요한 향기성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열처리 방법에 따라 미나리의 향기성분 조성이 변화되었으며, 1000 $m\ell$에서 열처리한 미나리가 생시료 미나리의 향기성분과 가장 유사하였고 향기 성분 함량이 가장 높았다.

  • PDF

In vitro Effects of Plant Extracts, and Phytohormones on Mycelial Growth of Anthracnose Fungi

  • Alam, Shahidul;Han, Kee-Don;Lee, Jae-Min;Hur, Hyeon;Shim, Jae-Ouk;Chang, Kwang-Choon;Lee, Tae-Soo;Lee, Min-Woong
    • Mycobiology
    • /
    • 제32권3호
    • /
    • pp.134-138
    • /
    • 2004
  • Water extracts of six plants, such as Allium sativum, A. cepa, Zingiber officinale, Platycodon grandiflorum, Oenanthe javanica, and Capsella brusapastoris, were tested in vitro fo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mycelial growth of anthracnose fungi,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dematium, and C. coccodes. Among the plant extracts, an Allium sativum extract has good inhibitory effects in all the fungi. Four phytohormones namely, IAA(indole-3-acetic acid), NAA(a-Naphthyl acetic acid), 2,4-D(2,4-Dichloro phenoxy acetic acid) and BAP(Benzyl adenine purine) were used to find out the role over mycelial growth of these fungi. All the concentrations of BAP have good inhibitory effect against mycelial growth of these fungi than that of other tested plant hormones.

미나리(Oenanthe javanica) 수확 후 처리 환경에서의 위생지표세균 및 병원성 미생물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Oenanthe javanica at Postharvest Environments)

  • 김연록;이경아;최인욱;이영하;김세리;김원일;류송희;이효섭;류재기;김황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8-277
    • /
    • 2014
  • 본 연구는 미나리 수확 후 처리환경의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를 조사하기 위해 4개 지역의 미나리 재배농가 9곳을 선정하였다. 미나리 재배농가로부터 다양한 시료를 채취하여 위생지표세균과 병원성 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에 대한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9개 농가의 재배환경의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한 결과 총 호기성 세균과 대장균군이 각각 0~7.00, 0~4.25 log CFU/g, mL, or $100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대장균(E. coli)은 몇몇 농가의 토양, 관개용수, 세척수 및 작업자의 손에서 양성반응을 확인하였으며, 양성반응이 관찰된 농가의 경우 작물인 미나리에서도 양성반응을 보였다. 병원성 미생물 중 B. cereus는 토양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한 농가의 미나리를 제외한 모든 농가의 세척 후 미나리에서 평균 1.2 log CFU/g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세척 후 미나리에서 한 건 정성적으로 검출되었으며, 이외에 다른 병원성 미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미나리의 경우 손질 및 세척 후에도 오염도가 유사하거나 오히려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미나리 생산농가의 수확 후 처리 시설 및 작업자에 의해 미생물의 교차 오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또한, 안전성이 확보된 미나리 생산을 위해서는 GAP와 같은 관리제도의 적용이 필요하다.

미나리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Powder)

  • 성기협;홍진숙;서봉희;최진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89-59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optimum conditions for adding functional dropwort, which is rich in physiological activity to Sulgidduk, toward developing dropwort-added dduk as a healthy food. To this end, samples of Sulgidduk with 0, 1, 3, 5 and 7% added dropwort powder were prepared, stored for 2 days at $20^{\circ}C$, after which the water content, chromaticity, and mechan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water content of nonglutinous rice powder and dropwort powder used for dropwort-added Sulgidduk was 41.73% and 3.5%, respectively. The water content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dropwort powder the group with 7% added dropwort powder was 33.88%, the lowest. For chromaticity, the L 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dropwort powder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ith different added amounts (p<0.001).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dropwort powder while they were 7.21 and 29.22, respectively, in the 7% dropwort powder-added group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amples (p<0.001). For mechanical quality characteristics hard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amount of dropwort powder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amples (p<0.001).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amples in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Gummi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dropwort powder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amples (p<0.05). Chewiness and adhesiveness ha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increasing amounts of dropwort powder. Overall acceptability was in the order of 3%, 5%, 1%, 7%, and 0% dropwort powder-added groups. Overall, for dropwort powder added Sulgidduk, the quality of flavor, color and taste was acceptable, compared to other powder-added groups. The 3% dropwort powder-added group was highly rated in general preference making it most desirable for making dropwort powder-added Sulgidduk.

Phytol과 들미나리추출물이 Sarcoma 180마우스의 T Subset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hytol and Small Water Dropwort Extract on the T Subset in the Sarcoma 180-Transplanted Mice)

  • 김광혁;장명웅;박건영;이숙희;류태형;선우양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05-411
    • /
    • 1993
  • 본 연구는 녹황색채소류에서 추출되어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활성 물질로 보고되어 있는 phytol과 들미나리 추출물을 sarcoma 180마우스에 주사한 후 적출한 비장세포내 T임프구와 T subset, 그리고 asialo GM1$^{+}$세포를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종양 마우스에 phytol 을 투여하였을 때 비장세포내의 T cell과 T-subset은 종양세포이식에 의해서 상승된 치를 더욱 증가시켰다. 그러나 들미나리추출물의 경우는 대동소이하였다. 2) Asialo GM1$^{+}$세포는 종양마우스에 phytol이나 들미나리추출물을 주사하였을 때 모두 상승하였으며 정상마우스에 phytol 을 투여하였을 때도 대조군에 비하여 상승했지만 들미나리추출물을 작용시켰을 때는 저하되었다. 3) L3T4$^{+}$/Lyt-2$^{+}$세포비는 종양마우스에 phytol을 주사하였을 때 감소를 보였지만 정상 마우스에 투여하였을 때는 더욱 크게 낮아졌다. 그러나 들미나리추출물을 정상마우스에 투여 하였을때는 크게 감소하던 것이 종양마우스에 적요 시켰을 때는 증가현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phytol이나 들미나리추출물은 종양마우스에서 작용자 세포인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의 활성 인자로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