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enanthe javanica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6초

돌미나리씨 추출물에 의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Methanol Extracts of Oenanthe javanica Seed in 3T3-L1 Preadipocytes)

  • 지향화;정현영;진수정;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688-1696
    • /
    • 2012
  • 돌미나리(Oenanthe javanica)는 뛰어난 해독작용과 항균작용으로 예로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나 돌미나리씨의 활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사용하여 돌미나리씨 메탄올 추출물(OJSE)의 지방세포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에 대해 조사하였다.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1{\sim}200{\mu}g/ml$)의 OJSE를 지방세포 분화유도제와 동시에 지방전구세포에 처리하여 분화시킨 후 Oil Red O 염색을 한 결과 세포내 lipid droplet 생성 및 triglyceride 축적이 OJSE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지방세포분화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방세포특이적 마커인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alpha}$, ${\beta}$ ($C/EBP{\alpha}$, $C/EBP{\beta}$) 및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의 발현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이는 OJSE에 의해 지방세포 분화 관련 전사인자의 발현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저해되고 결과적으로 지방세포내 lipid droplet 생성 및 triglyceride 축적이 억제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OJSE처리에 의해 mitotic clonal expanstion 단계에서의 세포증식이 저해되었으며, 세포주기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OJSE처리에 의해 지방전구세포의 G1 arrest가 유발됨을 확인하였다. 세포주기 관련 단백질 발현을 분석한 결과, OJSE 농도의존적으로 Cdk inhibitor인 p21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며, 반면 cyclin E, Cdk2, E2F-1 및 phospho-Rb의 발현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에 의해 OJSE는 지방전구세포의 G1 arrest를 유도하고 지방세포분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항비만 효능을 갖는 천연 소재임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는 이를 활용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식물을 이용한 납(Pb) 제거 (The Removal of Pb by Plants)

  • 조문철;이상화;박영식;서근학;안갑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69-273
    • /
    • 2001
  • Biosorption of Pb was evaluated for plants, Persicaria chinensis, Oenanthe javanica and Salvinia natnas. The adsorption equilibrium was reached in about 1hr for Pb and the highest adsorption capacity was 150mg Pb/g biomass at S.natans. Pb adsorption process showed a pseudo second order irreversible reaction. The highest initial adsorption rate was 2000mg pb/g biomass/hr at O.javanica. In spite of pH variation, Pb adsorption capacity by was selection, Pb was selectively adsorved. The selectivity of mixture solution showed the adsorption order of Pb>Cu>Cr>Cd. The Pb adsorption capacity of P. chinensis pretreated with NaOH was increased by 30% in comparison with that of no treatment.

  • PDF

한국산 수생식물의 원예적 이용에 관한 연구 (Feasibility for Horticultural Use of Korean Native Water Plants)

  • 이종석;김수남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50
    • /
    • 2003
  • The feasibility as floricultural crops and water garden plant materials of Korean native water plants was investigated. Propagation type, growing and flowering time were observed for development as water garden, interior aquarium plant and water purification materials. Flowering time of the water plant was 7 species in May, 28 species in June, 49 species in July, 55 species in August, 47 species in September, and 17 species in October. Beautiful flowering water plants were Nymphaeaceae, Nymphoides peltata, Nymphoides indica, Monochoria korsakowii, Iris pseudacorus, Iris laevigata, and etc. Ornamental leafy water plants were Ceratopteris thalictroides, Ludwigia ovalis, Myriophyllum verticillatim, Limnophila sessiliflora, Blyxa aubertii, Blyxa echinosperma, Vallisneria asiatica, Hydrilla verticillata and Eleocharis acicularis etc. Isoetes japonica, Isoetes coreana and Isoetes sinensis were propagated by spore. Blyxa aubertii, Blyxa echinosperma, Myriophyllum verticillatim, Nuphar japonicum, Nelumbo nucifera, Ottelia alismoides, Sagittaria aginashi, Trapa japonica, and Trapa natans were propagated by seed. Persicaria amphibia, Ceratophyllum demersum (hornwort), Myriophyllum verticillatim, Myriophyllum spicatum, Oenanthe javanica, Potamogeton crispus, Hydrilla verticillata and Acorus calamus were propagated by division. And Vallisneria asiatica, Hydrilla verticillata and Phragmites japonica were propagated by runner. Ceratophyllum demersum (hornwort), Myriophyllum verticillatim, Myriophyllum spicatum, Limnophila sessilifera were propagated by adventitious bud. Ceratopteris thalictroides was propagated by leaf cutting. The 35 genera, 68 species of water plants were available for horticultural use. The 45 species such as Iris laevigata, Eleocharis acicularis, Menyanthes trifoliata, Nymphaea minima, Nuphar pumilum, Nymphoides coreana, Nymphoides peltata, Nymphoides indica, Nymphaea tetragona (water lily), and Typha latifolia could be use for water garden plant. The 21 species such as Limnophila sessilifera, Vallisneria asiatica, Ceratophyllum demersum and Hydrilla verticillata available for indoor aquarium. The 19 species such as Ottelia alismoides, Oenanthe javanica, Limnophila sessilifera and Blyxa echinosperma could be culture in container. The 27 species such as Trapa japonica, Trapa incisa, Phramites commuris (reed), Phragmites japonica, and Zizania latifolia were usable for water purification plant materials.

미나리 체세포 배발생 캘러스의 획득과 발달 형태 (Production and Developmental Pattern of Embryogenic Callus in Oenanthe javanica ($B_{L.}$) DC.)

  • Gab Cheon KOH;Chang Soon AHN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83-290
    • /
    • 1995
  • 미나리의 체세포 배발생 조건 및 기작을 구명하고자 배발생 캘러스의 획득에 적합한 시료와 배지를 구명하고 배발달의 과정을 관찰하여 본 결과, 기내 식물체 확보를 위한 미나리의 경정배양은 발생한 줄기 수와 생육상태로 보아 BA가 0.1 - 0.5 mg/L 첨가된 MS배지가 적합하였으며 배발생 캘러스의 발생은 배유와 함께 채취ㆍ배양한 유배를 2,4- D가 1 mg/L 첨가된 배지에서 2 개월간 배양하였을 때 발생하였다. 기내에서 생장한 줄기와 엽병을 배양하였을 경우는 치상후 2과에 엽병의 절단 부위에서 발생한 캘러스는 모두 배발생 캘러스가 아니였으나 치상 후 6 - 8주에 줄기와 엽병의 표피부위에서 발생한 캘러스는 배발생 캘러스이었다. 배발생 캘러스는 계대배양에 의하여 대양 증식이 가능하며 이들은 배발생 캘러스와 비배발생 캘러스를 동시에 형성하였다. 비배발생 캘러스는 다양한 생장조절제를 첨가한 액체 및 고체배지에 반복 및 지체배양하여도 배발생 캘러스로의 분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비배발생 캘러스는 고체배지에 배양하면 쉽게 증식되어 뿌리를 분화하며, 액체배지 에 현탁배양할 경우에는 단세포로 단리되고, 다시 이들은 작은 원형세포괴를 형성한 후 단지 뿌리만을 발생하였다.

  • PDF

전라남도내 미나리의 중금속 함량 및 기생충에 대한 조사 (Investigation on Contents of Heavy Metals and Parasites of the Dropwort(Oenanthe javanica) cultivated in Chollanamdo)

  • 허남칠;김충모;박숙;나환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970-973
    • /
    • 2000
  • 전남 도내 5개 지역과 광주시 근교 1개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미나리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중금속 함유량과 기생충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교적 독성을 지니고 있는 중금속인 수은과 비소는 각각 흔적 수준과 극히 미량인 $0.003{\sim}0.01\;ppm$으로 나타났다. 납은 모든 지역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카드뮴은 $0.013{\sim}0.036\;ppm$ 범위를 보였으며, 또한 농작물 생장에 필수원소로 작용하는 구리, 망간과 아연의 함유량은 $0.285{\sim}0.627\;ppm,\;1.337{\sim}12.884\;ppm,\;2.105{\sim}4.221\;ppm$이 검출되었다. 또한 미나리에서 흡충류인 간질과 간흡충, 수인성원 충류인 람블 편모충과 크립토스포리듐속 그리고 선충류인 회충과 십이지장충 6종에 대한 기생충 검사 결과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 PDF

미나리 체세포 배발생과정의 해부학적 관찰 (Anatomical Observa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in Oenanthe javanica ($B^{L}.$) DC.)

  • Gab Cheon KOH;Chang Soon AHN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23-327
    • /
    • 1995
  • 미나리의 체세포 배발생 과정을 해부학적으로 구명하기 위하여 배발생 기원세포와 캘러스를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배발생 세포는 hematoxylin에 짙은 보라색으로, 비배발생 세포는 safranin에 적색으로 염색되어 광학현미경하에서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 배발생 캘러스는 많은 수의 원배 및 발육중인 배, 비배발생 세포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체세포 배발생은 발육 중인 배나 세포괴의 표피세포에 위치한 배발생 세포의 하나가 분열하거나 세포괴내의 비배발생 세포속에 묻혀 있는 배발생 세포가 분열하여 일어났다. 배발생 과정은 항상 일정한 형태는 아니지만 단세포로부터 일정한 segmentation 과정를 거쳐서 배발생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에서 배발생 세포는 비배발생 세포에 비하여 세포질이 조밀하고 핵이 대형이며 amyloplast, 인지질체 및 세포소기 관들이 많으며 액포가 없거나 매우 작았다. 이들 세포들은 두터운 세포벽에 의하여 주위의 비배발생 세포와 분리되어 있으며 세포윤곽은 둥글었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배발생캘러스는 외부가 그물이 씌워진 형태의 구형의 다양한 크기의 배들과 비교적 크기가 큰 비배발생 세포들이 혼재하였다. 한편 비배발생능 캘러스는 구성세포가 크고 외부에는 gelatin같은 물질로 덮여 있었다.

  • PDF

부레옥잠과 미나리를 이용한 연속식 하수처리에서 COD, N 및 P의 제거 (Sewage Treatment Using Water Hyacinth (Eichhornia crassipes) and Watercress (Oenanthe Javanica))

  • 박진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4-14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농어촌취락배수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 수생식물인 부레옥잠과, 미나리를 이용한 연속식 실험에서 유기물부하(COD)와 Total N, Total P 등을 HRT와 농도를 달리하여 제거효율을 측정하였다. 유기물(COD)의 제거효율은 HRT가 2 day인 부레옥잠조에서는 평균 50%의 제거율을 보였으며, 미나리조에서는 HRT 1.2$\sim$2 day 동안 30$\sim$50%의 제거율을 보였다. 영양염류의 제거효율은 총 질소의 경우 부레옥잠조는 약 329 kg $N/ha{\cdot}day$의 부하에서 HRT 2$\sim$3 day인 경우 40$\sim$53%가 제거되었으며, $NH_4^+-N$의 제거효율은 평균 52%로 Total N의 제거효율보다 다소 높았으며, 인은 8.2 kg $P/ha{\cdot\}day$의 부하에서 HRT 2$\sim$3 day인 경우 31$\sim$40%로 조사되었다. N 및 P 흡수율은 미나리보다 부레옥잠이 높게 나타났으며, 인의 흡수율은 질소의 흡수에 비해 낫게 조사되었다.

산형과 식물에서의 falcarinol(n-heptadeca-1, 9-dien-4,6-diyn-3-ol) 의 검색 (Occurrence of falcarinol(n-heptadeca-1, 9-dien-4, 6-diyn-3-ol) in the umbelliferous plants)

  • 손현주;장기철;나효환;이규승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2호
    • /
    • pp.120-124
    • /
    • 1990
  • 산형과 식물인 방풍, 천궁, 회향, 사상자, 시호, 당귀, 미나리 및 당근을 대상으로 GC/MS를 이용하여 falcarinol의 존재를 검색한 결과 방풍의 뿌리, 미나리의 줄기와 뿌리 및 당근의 뿌리로부터 이 화합물을 동정하였는데 그 함량은 각각 $1,055\;{\mu}g/g$, $289\;{\mu}g/g$, $179\;{\mu}g/g$$212\;{\mu}g/g$이었다. 미나리에서 falcarinol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뿌리보다도 줄기에 더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앞으로 이 화합물의 생리활성 및 생합성 연구에 미나리가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미나리 프락토올리고당 발효액의 발효기간에 따른 품질특성 및 간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Dropwort Extracts Fermented with Fructooligosaccarides on HepG2 Cells)

  • 김민주;양선아;박정현;김혁일;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32-437
    • /
    • 2011
  • 발효기간에 따른 미나리 발효추출액의 품질 특성을 검토하고 간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발효 숙성 기간 중에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색도 및 생균수는 감소하였으며, 포도당과 과당과 같은 환원당 함량은 증가하였다. 정상 간세포주와 간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농도별로 시료 처리를 한 후 각 세포의 증식에 대한 효과를 알아 본 결과, 미나리 발효액이 정상 간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인간유래 간암 세포주인 HepG2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특히 미나리발효액 1년에서 현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미나리 발효액의 발효 기간에 따른 품질의 변화 및 간암세포 성장 억제 효능을 확인함으로서, 천연의 미나리 발효 추출액을 다양한 식품 산업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 데이터를 처음으로 제시했다.

하절기 오염 소하천 정화를 위한 생물여과조와 식생대의 Pilot Test (Pilot Test of Biofilter and Vegetation Bed for Contaminated Ditch Treatment at Summer)

  • 이상화;조문철;박영식;문정현;김좌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6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cover the contaminated ditch by using a biofilter filled up with waste-concrete media and vegetation bed. Two systems were tested for elimination of organic compounds, turbidity, nitrogen and phosphate. System 1 is three-stage system which consisted of one biofilter and two vegetation bed, system 2 has three-stage system consisted of one biofilter, one vegetation bed (four bed), and one media trench operated in series. In system 1, HRT of biofilter was 4 hour, and Oenanthe javanica was planted in two vegetation bed. In system 2, HRT of biofilter was varied 2 hours and Persicaria chinensis was planted on the top of the biofilter. And Oenanthe javanica, Hydrocharis asiatica, Salvinia natans were planted in four bed of a vegetation bed and the second vegetation bed of system 1 was rebuilt to a media trench bed. The elimination rate of BOD and turbidity was over 90% in both systems. The mean elimination rates 40~50%(system 1), 30~40%(system 2) for T-N and 40~50% (system 1), 30~40%(system 2)for T-P. T-N and T-P elimination performance of system 1 was a little higher(10%) than that of system 2. Results showed that vegetation bed are not efficient in reducing T-N and T-P. It was considered that HRT of vegetation bed of both systems was much lower(1~2hr) than that of conventional system(5~20day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