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ular lens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초

진행성 양측 백내장이 동반된 미토콘드리아 질환 1례 (A Case of Mitochondrial Respiratory Chain Defect with Progressive Bilateral Cararacts)

  • 이순이;이영목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5-98
    • /
    • 2018
  • 미토콘드리아 질환은 단일 장기에서부터 여러 장기에 걸쳐 침범할 수 있다는 임상 증상의 광범위한 이질성이 특징이다. 안검하수, 색소 망막 퇴화, 외안근 마미, 시신경 위축 등과 같은 다양한 안구 증상이 미토콘드리아 질환에서 함께 나타날 수 있지만, 진행성 양안 백내장은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안과적 증상에서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미토콘드리아 호흡 연쇄 복합체 결핍 환자에서 흔치 않은 안구 발현 현상인 진행성 양안 백내장 침범 사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Phacoclastic Endophthalmitis Induced by Encephalitozoon cuniculi in a Lionhead Rabbit in Korea

  • Kang, Seonmi;Jeong, Seowoo;Seo, Kangmoo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45-349
    • /
    • 2020
  • An 8-month-old female rabbit was presented with a white intraocular mass in the right eye. Slit-lamp biomicroscopy showed a white mass behind the iris, accompanied by rubeosis iridis and aqueous flare. Ocular B-scan ultrasonography revealed hyperechoic material within the anterior chamber connected with cataractous lens in the right eye. Signs deteriorated despite treatment, and enucleation was performed. Histopathologically, phacoclastic endophthalmitis due to Encephalitozoon cuniculi infection was confirmed. This was the first report of a client-owned rabbit affected with E. cuniculi-associated phacoclastic uveitis. Serological detection of anti-E. cuniculi antibodies should be considered to prevent potential zoonotic risk.

콘택트렌즈 착용자와 비착용자의 건성안 설문조사 TERTC-DEQ의 활용 (Use of the Texas Eye Research and Technology Center Dry Eye Questionaire (TERTC-DEQ) as a Screening Survey for Contact Lens Wearers and Nonwearers)

  • 김재민;김용환;정주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27-131
    • /
    • 2007
  •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 착용자와 비착용자에서 건성안 증상의 분포와 증상의 일차 강도를 조사하고 McMonnies & Ho DEQ와 비교하기 위해 Texas Eye Research and Technology Center Dry Eye Questionnarire(TERTC-DEQ)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두 가지 건성안 설문조사는 46명의 콘택트렌즈 착용자와 47명의 비착용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자는 McMonnies & Ho DEQ(6.5%)보다 TERTC-DEQ(52.2%)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비콘택트렌즈 착용자도 역시 McMonnies & Ho DEQ(2.1%)보다 TERTC-DEQ(19.1%)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안구의 자각증상(불편감, 건조감, 통증, 이물감과 가려움증)은 두 그룹에서 오후가 될수록 더 악화되었다. 본 연구에 의하면 TERTC-DEQ가 McMonnies & Ho DEQ와 비교하면 환자의 자각 증상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첫 번째 선택 기법으로 제공될 것으로 사료된다. TERTC-DEQ는 효과적인 설문조사 기법으로 콘택트렌즈 관련 건성안 진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청소년 개방안구손상 환자에서의 시력예후와 안외상 점수와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Outcome and Ocular Trauma Score after Open Globe Injuries in Children)

  • 박수진;손병재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1호
    • /
    • pp.1062-1070
    • /
    • 2018
  • 목적: 소아청소년 환자에서 발생한 개방안구손상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여 최종시력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 최종시력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안외상 점수(ocular trauma score, OTS)와 소아 안외상 점수(penetrating ocular trauma score, POTS)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993년 5월부터 2014년 4월까지 개방안구손상으로 본원에 내원한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환자 77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종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조사하였고, 최종시력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OTS와 POTS를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을 이용하여 평가해 보았다. 결과: 단변량 분석에서 20/200 미만의 초기시력, 안구파열, 7.0 mm 이상의 손상 크기, 망막박리, 수정체이탈, 총 수술 횟수는 불량한 최종시력(<20/200)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반면에 20/32 이상의 좋은 최종시력의 경우 각막중심 침범 유무, 외상백내장 유무, 7.0 mm 미만의 손상 크기, 20/200 이상의 초기시력과 관련성이 있었다. OTS와 POTS 모두 최종시력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진단적 가치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두 점수 체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소아청소년에게 발생한 개방안구손상에서 초기시력과 안구손상 크기는 최종시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예측인자이다. 소아청소년 개방안구손상 환자의 최종시력 예측에 있어 기존의 안외상 점수(OTS)뿐만 아니라 소아 안외상 점수(POTS) 또한 좋은 예측도를 보여주어 둘 모두 유용한 평가 방법으로 생각된다.

Netspag Lens를 이용한 Mono vision에서 시력개선 효과에 대한 P-VEP 연구 (The Effects of Visual acuity increase in mono vision by the P-VEP study using Netspeg lens)

  • 김덕훈;배한용;김선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41-246
    • /
    • 2005
  • 본 연구는 굴절이상을 가진 피검자의 단안에서 Netspeg lens를 착용 후 시력 개선의 상태를 P-VEP의 파형 분석을 통해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P-VEP는 3 channel의 Bausch Lomb system으로 기록하였다. 10명의 성인 피검자(남성 5인, 여성 5명; 평균 21세, 연령은 19세와 23세 사이)의 눈을 검사하였다. 피검자는 전신건강, 약물복용, 유전, 알레르기 그리고 안질환을 포함하는 문진 등을 조사하였다. 시력과 굴절검사는 Netspeg lens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단안을 기록하였다. 피검자는 P-VEP 기록을 하는 동안 교정된 시력을 통해서 단안의 P-VEP 자극을 본다. 연구의 결과 Netspeg lens를 사용한 단안은 사용하지 않는 눈에 비해서 시력 결상이 선영하게 자각되었다. 한편 P-VEP 검사에서는 Netspeg lens를 사용한 눈이 높은 진폭 나타 내었다. 그러나 P-VEP의 장복시간은 오히려 늦게 나타났다. 그러나 P-VEP이 형태에서는 Netspeg lens를 사용한 눈이 안정된 파형을 유지하였다. 한편 오른 눈과 왼눈의 유의성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etspeg lens를 사용한 단안에서는 그렇지 않는 눈에 비해서 시력과 시기능이 기능이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 PDF

음주로 인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단백질 및 지질 침착양 변화 (The Change in the Amounts of Proteins and Lipids Deposited on Soft Contact Lens Caused by Drinking)

  • 김소라;임신규;배석천;최정현;박상희;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3-239
    • /
    • 2012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음주에 의해 소프트콘택트렌즈에 침착되는 단백질 및 지질 양의 변화가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50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콘택트렌즈 착용 상태에서 음주 시 불편감이 초래되었는지 여부를 설문조사하였다. 또한, 안질환이 없는 32명의 성인에게 etafilcon A 재질의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킨 후 각각 음주(190 mL)시와 비음주시로 나누어 4 시간 후에 렌즈에 침착되는 단백질 및 지질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음주를 할 경우 응답자의 58%가 착용감의 이상을 경험하였다고 하였으며, 뻑뻑함, 시야 흐림, 건조감 등과 같은 증상들을 경험하였다고 답하였다. 음주에 의해 소프트콘택트렌즈의 단백질 침착양은 평균 $59.3{\mu}g/lens$ 증가하였으며, 2배 이상 증가한 경우도 9안에 달하였다. 그러나 소프트콘택트렌즈에 부착되는 단백질의 종류는 라이소자임(lysozyme)으로 변함이 없었다. 음주에 의한 콜레스테롤 양은 비음주시의 85.5%였으며(p=0.25), 메틸 올레인산의 양은 52.6%에 불과하여(p=0.002) 알코올 섭취로 인해 소프트콘택트렌즈에 침착되는 지질양에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음주로 인하여 소프트콘택트렌즈에 침착되는 단백질 및 지질 성분의 조성이 달라졌으며 이러한 변화가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시 음주에 따른 불편함의 원인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merican Cocker Spaniel에서 발생한 수정체 후낭 파열 1례 (Rupture of Posterior Lens Capsule in an American Cocker Spaniel)

  • 이나영;박신애;정만복;정주현;송경진;윤정희;남치주;서강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3-165
    • /
    • 2005
  • An 18-month-old, female American Cocker Spaniel was presented with a cataract of left eye. The left eye was blind, and anterior uveitis was noted on ocular examination. Ultrasonography of the eye revealed a hyperechoic mass with distinct borders in the vitreous indicative of lens fiber or mass lesion extending from ciliary body. The eye was enucleated after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On gross examination, rupture of posterior capsule was noted adjacent to the ciliary body.

A Cost-effective Light Emitting Diode-acoustic System for Preclinical Ocular Applications

  • Choi, Hojong;Ryu, Jaemyung;Yeom, Jung-Yeol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2권1호
    • /
    • pp.59-68
    • /
    • 2018
  • Opto-acoustic systems provide structural and functional information regarding biological tissues. Conventional opto-acoustic systems typically employ continuous or pulsed lasers as transmission sources. Compared to lasers, light emitting diodes (LEDs) are cost-effective and relatively portable excitation sources but are non, coherent. Therefore, in this study, a relatively low cost lens - a type of Ramsden eyepiece - was specially designed to theoretically calculate the illumination and achieve a constant brightness across the pupil of an eye. In order to verify the capability of the developed light-emitting diode-acoustic (LEDA) systems, we carried out experiments on bovine and bigeye tuna eyeball samples, which are of similar size to the human eye, using low frequency (10 MHz) and high frequency (25 MHz) ultrasound transducers. High frequency ultrasound transducers are able to provide higher spatial resolution compared to low frequency ultrasound transducers at the expense of penetration depth. Using the 10 MHz and 25 MHz ultrasound transducers, acceptable echo signals (3.82, 3.94, and 5.84 mV at 10 MHz and 282, 1557, 2356 mV at 25 MHz) from depth greater than 3 cm and 6 cm from the anterior surface of the eye were obtained. We thereby confirmed that the LEDA system using a pulsed LED with the designed Ramsden eyepiece lens, used in conjunction with low and high frequency ultrasound transducers, has the potential to be a cost-effective alternative method, while providing adequate acoustic signals from bovine and bigeye tuna ocular areas.

누진렌즈 안경 처음 착용자의 적응도 분석 (Analysis of Adaptation for The first-time Progressive Lenses Glasses Wearers)

  • 심준범;심현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7-122
    • /
    • 2011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누진렌즈 처음 착용자의 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특별한 안질환이 없으며, 근거리 시력저하가 있는 41~78세의 노안환자로 2001년부터 2011년까지 광주광역시 A안경원에서 누진렌즈 안경을 처방받은 4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별, 연령별, 원거리 굴절상태, 가입도, 누진렌즈 디자인, 과거 안경착용상태 및 유무, 난시종류, 굴절부등 등에 따른 적응도를 각각 분석하였다. 적응도 상을 착용 후 누진안경 재구매군으로, 적응도 중을 가끔 착용하는 군으로, 적응도 하를 착용 실패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전반적인 적응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2), 노안가입도(p=0.05), 누진렌즈 디자인(p=0.02)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적응 요소 중 연령별, 원거리 굴절상태, 과거 안경착용상태 및 유무, 난시상태, 굴절부등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누진렌즈를 처방할 때 성별, 노안가입도, 누진렌즈 디자인 등은 적응을 위해 고려해야 할 상황으로 사료된다.

Development of Detailed Korean Adult Eye Model for Lens Dose Calculation

  • Han, Haegin;Zhang, Xujia;Yeom, Yeon Soo;Choi, Chansoo;Nguyen, Thang Tat;Shin, Bangho;Ha, Sangseok;Moon, Sungho;Kim, Chan Hyeong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5권1호
    • /
    • pp.45-52
    • /
    • 2020
  • Background: Recently,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ICRP) lowered the dose limit for the eye lens from 150 mSv to 20 mSv,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ccurate lens dose estimation. The ICRP reference computational phantoms used for lens dose calculation are mostly based on the data of Caucasian population, and thus might be inappropriate for Korean pop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a detailed Korean eye model was constructed by determining nine ocular dimensions using the data of Korean subjects. The developed eye model was then incorporated into the adult male and female mesh-type reference Korean phantoms (MRKPs), which were then used to calculate lens doses for photons and electrons in idealized irradiation geometries. The calculated lens doses were finally compared with those calculated with the ICRP mesh-type reference computational phantoms (MRCPs) to observe the effect of ethnic difference on lens dose. Results and Discussion: The lens doses calculated with the MRKPs and the MRCPs were not much different for photons for the entire energy range considered in the present study. For electrons, the differences were generally small, but exceptionally large differences were found at a specific energy range (0.5-1 MeV), the maximum differences being about 10 times at 0.6 MeV in the anteroposterior geometry; the differences are mainl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epth of the lens between the MRCPs and the MRKPs. Conclusion: The MRCPs are generally considered acceptable for lens dose calculations for Korean population, except for the electrons at the energy range of 0.5-1 MeV for which it is suggested to use the MRKPs incorporating the Korean eye model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