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eanographic conditions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7초

XBEACH 모형에 의한 해운대 해수욕장 양빈후의 해빈류 특성 변화 (Wave-induced Currents using XBEACH Model after Beach Nourishment at Haeundae Beach)

  • 강태순;박명원;김진석;이종섭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8-504
    • /
    • 2016
  • In this study, to predict the effect of beach nourishment at Haeundae Beach, the waves and wave-induced current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beach nourishment using the XBEACH model. Representative wave conditions were determined for the data observed during 2014 (KHOA). Then, the Hs,max and Hs,1/10 values, and their prevalent directions, were used in the numerical modeling input data. A variable grid system was used for the $5km{\times}2.5km$ model areas, and irregular waves based on the JONSWAP spectrum were given as incident wave conditions. In the summer season, eastward wave-induced currents were developed along the beach by the incident wave direction. Before the beach nourishment, the maximum speed around the surf zone was 1.2-1.5 m/s in the central zone of the beach, whereas the maximum speed increased to 1.4-1.6 m/s at the same areas when the currents toward Mipo Harbor were blocked as an effect of the groins after the beach nourishment. In the winter season, westward wave-induced currents were developed along the beach by the incident wave direction. After the beach nourishment, the maximum current speed increased slightly around the surf zone in the central area of the beach, and the littoral current speed decreased at the submerged breakwaters located at Dongbaek Island. As a result, after the beach nourishment, the maximum wave-induced currents increased about 10% in the surf zone of the central area of the beach.

충무부근 굴 양식어장의 환경에 관하여 (ON THE OCEANOGRAPHIC CONDITIONS OF OYSTER FARMAING AREA NEAR CHUNGMU)

  • 임두병;조창환;권우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1-67
    • /
    • 1975
  • 충무부근의 굴 양식어장에 대한 해황특성을 규명하고 양식장의 환경조건이 굴 양식에 어떻게 영향은 미치는가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충무부근의 6개 해역은 선정하여 1974년 5월부터 11월까지 환경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충무부근 해역의 유동은 주로 조류로서 창조류는 서쪽으로, 낙조류는 동쪽으로 흐르는데 창조시에 거제도 남단으로부터 외해수의 유입, 낙조시 삼천포 수도로부터 진주만의 저염수 황산이 가능하며 견내양해협을 통한 진해만 해수의 영향은 적다. 2. 수온은 전해역에 큰 차이가 없으나 죽림포와 통영만이 약간 낮다. 염분은 죽림포와 통영만이 높고, 사양도해안, 자란만, 고성만 등이 낮았다. 유동과 수온, 염분 분포로부터 통영만, 죽림포의 해수와 사양도 연안, 자란만, 고성만의 해수는 상당히 이질적이고 한실포는 경개해역으로 통영만수의 영향을 크게 받음을 알 수 있다. 3. 용존산계량은 5월에 많고 점차 감소하여 9월에 최소인데 해역별로는 여름철 한실포가 가장 낮다. 규산염는 외해수의 영향을 받는 사양도 연안, 통영만, 죽림포에 적고 고성만, 한실포, 자란만에 많았다. 4. 현탁물은 $7.4\~16.6mg/l$의 량이었는데 자란만, 죽림포 및 사양도 연안에는 적었다. chlorophyll a는 심한 연절변동을 하는데 5,9 및 10월에 높고, 6, 7, 8 및 11월에 낮았다. 해역별로는 심한 기복을 보였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조성에 있어서 고성만, 자란만 및 사양도 연안 해역과 한실포, 통영만, 죽림포 해역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5. 6개 해역중 굴의 성장이 가장 나쁜 곳은 한실포이며 다음이 사양도, 자란만의 순이었고 고성만, 통영만, 죽림포는 성장이 좋았는데 그 경향이 비슷하였다. 굴의 폐사율이 가장 높은 곳은 사양도의 $85\%$이었고 다음이 자란만의 $41\%$인데 그외 해역은 $20\%$ 이내로 큰 차가 없었다.

  • PDF

PHYTOPLANKTON BLOOMING AND OCEANIC CONDITIONS IN THE SEAS AROUND THE SPRATLY ISLANDS

  • Dien, Tran Van;Tang, DanLing;Kawamura, Hirosh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529-532
    • /
    • 2006
  • The oceanic currents in the South China Sea (SCS) are strongly influenced by monsoon winds. A review on the SCS currents has indicated that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an anticyclonic circulation in the area between the southern Vietnam coast and the Spratly Islands. However, its detail is not understood because of less information of in situ observations. The physical-biological interaction is quite new research area, which has been established and promoted by means of the ocean color remote sensing. Temporal/spatial variability of the phytoplankton activities are well captured by ocean color (OC) -derived Chlorophyll-a images. Combining the OC-Chl-a and the other high-resolution satellite data (e.g., SST images), the biological aspects of oceanographic variation is well described. The blooming phenomena in the area between the southern Vietnam coast and the Spratly islands are further investigated. Change in the wind-system related to the El Nino generates upwelling/SST-cooling in the sea south of the Spratly Islands through the air-sea-land interaction was studied. The seasonal upwelling is also associated with the harmful algal bloom (HAB) off two side of Indochina Peninsula have investigated. The seasonal variation of SCS phytoplankton blooming and related oceanic conditions in Vietnam coast was observed. Ocean color satellite data has effective contribute to study the oceanic condition and phytoplankton blooming in South China Sea.

  • PDF

Spatial and Monthly Chang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Sea Surface Salinity, Chlorophyll a, and Zooplankton Biomass in Southeastern Alaska: Implications for Suitable Conditions for Survival and Growth of Dungeness Crab Zoeae

  • Park, Won-Gyu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0권3호
    • /
    • pp.133-142
    • /
    • 2007
  • To investigate conditions for the survival and growth of Dungeness crab zoeae in situ, spatial and monthly chang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sea surface salinity (SSS), Chlorophyll ${\alpha}$ (Chl ${\alpha}$), and zooplankton biomass were measured in four transects: upper Chatham, Icy Strait, Cross Sound, and Icy Point in southeastern Alaska from May to September, 1997-2004. Monthly mean SST was coldest in May, increased throughout the summer months, and decreased in September. SST was coldest in the Cross Sound transect, intermediate in the upper Chatham and Icy Strait transects, and warmest in the Icy Point transect. SSS of northern stations in the upper Chatham and Icy Strait transects decreased throughout the summer months and increased in September, while that of other transects did not vary. Monthly mean Chl ${\alpha}$ was highest in May and decreased thereafter. Chl ${\alpha}$ in the upper Chatham and Icy Strait transects were relatively higher from May through September than those in the Cross Sound and Icy Point transects. Mean zooplankton biomass was highest in the Icy Strait transect in May and lowest in the Icy Point transect in September. This research suggests that oceanographic conditions during the season of Dungeness crab zoeae in southeastern Alaska may not constrain the survival and growth of Dungeness crab zoeae.

제주해협에서의 이료생물 분포에 따른 갈치어장의 변동특성 (The Fluctuation of Fishing Grounds of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in the Cheju Strait by the Distribution of Feeding Biomass)

  • 김상현;노홍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1호
    • /
    • pp.1-10
    • /
    • 2002
  • 1. 제주해협에서는 6월에 가장 낮은 생물량 분포를 나타내었고, 가을철(11월)에 가장 높은 생물량 분포를 보이면서 높은 2차 생산력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2. 해황 및 습중량과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정점은 각각 정점 14와 11로 그 출현위치는 해협의 중앙부분이고, 한국남해연안역 및 제주도 북부연안역에는 다소 낮은 생물량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생물량 분포가 높게 나타나는 해역의 특징은 patch의 형태로 분포하였다 반면 한국남해연안역에 비하여 제주도 북부연안역에높은 생물량 분포를 나타냄으로써 제주해협에서의 갈치어장 형성위치와 생물량 분포와의 관계가 밀접하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가을 의 해황 특성인 서로 다른 이질수괴의 경계역인 안상부 해황의 중심에 높은 생물량을 나타냈다. 3. 제주해협에서 patch의 형태로 생물량 분포가 높게 나타나는 해역의 외측에 좋은 갈치어장이 형성되었다.

2013년 7월 동해 남서 해역의 용승 (Upwelling in the southwest region of the East Sea in July, 2013)

  • 최용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2호
    • /
    • pp.212-220
    • /
    • 2015
  • We examined the appearance of cold water in the southwest region of the East Sea, based o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t the east coast of Korea and buoy data in Donghae ($37^{\circ}31$'N, $130^{\circ}00$'E, 80 km east away from Donghae port) and Pohang ($36^{\circ}21$'N, $129^{\circ}46$'E, 35 km east away from Ganggu port) from June to August in 2013. Also, the serial oceanographic data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were used to see the oceanographic conditions for June and August in 2013. The SST anomaly at the east coast showed negative values in $3{\sim}6^{\circ}C$ from 2 July. At Janggigab, the SST anomaly showed negative value amount to $10^{\circ}C$ in 8 July. The negative values of SST anomaly continued to the middle of August at Janggigab. The wind speed was 6~11 m/s and the direction was south-southwestly in 1 July. The wind speed amounts to 6~16 m/s in 2 July. It means that the strong wind induced the upwelling effect by a day. The temperature was lower than normal at the depth in 20 m of the East Sea in June and August. The air pressure was 996~998 hPa in the beginning of July. It was the lowest air pressure during the studied period. The correlation was 0.3 between the SST anomaly and air pressure. It was suggested that the appearance of cold water in the East Sea was influenced by a stirring due to wind and low air pressure as well as coastal upwelling.

동지나해 저서어류의 자원조사 연구 - 3 . 1989년 11월 동지나해의 해황 - (Investigation of Demersal Fisheries Resources of East China Sea - 3 . The Oceanographic Condition of the East China Sea in November , 1989 -)

  • 김정창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2호
    • /
    • pp.151-166
    • /
    • 1990
  • 1989년 11월 4~12일의 동지나해에서 관측한 자료를 사용하여 해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층의 해황은 쓰시마 난류수와 중국 대륙 연안수로 대별되고 그 사이에는 강한 전선이 형성되고 있다. 쓰시마 난류수는 수온 22~24$^{\circ}C$, 염분 33.5~34.5$\textperthousand$의 고온.고염수로 용존산소는 4.5ml/l 이하로 낮았다. 그리고 중국 대륙 연안수는 수온 18~2$0^{\circ}C$, 염분 32.0$\textperthousand$ 이하인 저온.저염수로 용존산소는 4.5~5.0ml/l로 높게 나타났다. 저층에도 역시 표층과 같이 쓰시마 난류수와 중국 대륙 연안수가 존재하였다. 이 외에도 북쪽에는 수온 1$0^{\circ}C$ 이하, 염분 33.0$\textperthousand$ 내외, 용존 산소는 4.5ml/l 이상의 고산소수인 황해 저층냉수가 분포하고, 동남쪽에는 수온 15~19$^{\circ}C$ 염분 34.5$\textperthousand$, 용존산소는 2.0~3.5ml/l의 저산소수인 동지나해 남부 저층수도 분포하였다. 그리고 중국 대륙 연안수와 쓰시마 난류수의 중간 특성을 나타내는 수온 20.5~22.$0^{\circ}C$, 염분 32.3~33.3$\textperthousand$의 물은 중국 대륙 연안수와 쓰시마 난류가 혼합된 결과라고 판단된다.

  • PDF

동지나해 .황해의 해황이 강달이 어장의 변동에 미치는 영향 (On the Influence of the Oceanographic Condition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on the fluctuation of the Gang-dal-i fishing ground)

  • 양성기;조규대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8권2호
    • /
    • pp.81-89
    • /
    • 1982
  • 동지나해.황해의 저층에 서식하는 강달이 어장의 형성구조와 그 변동에 미치는 해양환경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안강망에 의한 어획통계자료(1970~1979)와 해양관측재료를 이용하여 어장의 계절별, 경년별 변동을 검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강달이 어획율의 약 70%가 집중하고 있는 중요어장은 대흑산도와 Sokotra Rock 주변해역이었다. 또한 이들 해역은 CPUE가 비교적 크고, C. V.가 0.9~1.4로서 작게 나타나 어황이 안정된 좋은 어장을 형성하고 있었다. 주어기는 2~3월과 6~7월이었으며, 1974~1976년의 주어기 CPUE는 평년의 약 2배 이상이었다. 중심어장의 분포역은 평균수심 50m 내외의 황해저층냉수와 대마난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조경역이었으며, 수온 및 염분은 각각 10~13$^{\circ}C$, 32.5~34.4$\textperthousand$ 이었다. 주어장은 주로 황해 저층 냉수괴의 연변에서 형성되고, 이 수괴의 소장에 따라 계절변동을 하고 있었다.

  • PDF

멸치 자망 어획양의 분포와 해황 (The Distribution of Catch of Anchovy by the Gill Net Fishery and Oceanographic Condition)

  • 손태준;김진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1-348
    • /
    • 1983
  • 한국 근해에서 최근 14개년간(1969-1982)의 멸치 자망에 의한 어획통계자료로부터 어장의 평균 분포와 해황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멸치의 중요어장은 어획이 있었던 전 어장면적의 $20\%$에 지나지에 지나지 않은 속초, 구룡포, 기장, 거제도, 및 충무의 인접한 5개 해구에 집중되어 있고, 연평균어획양의 약 $80\%$가 여기서 어획된다. 이 어장에서의 어획양 변동계수는 $0.3{\sim}0.6$으로서 작고, 평균 CPUE가 81.2 kg/set로 비교적 크다. 멸치 자망의 주어기는 일년 중 어획양이 극대치를 나타내는 $4{\sim}6$월의 춘계어기와 $10{\sim}11$월의 추계어기였다. 어장중심은 $37^{\circ}N$ 이북 해역에서는 주문진 동방 약10마일 역이며, $35^{\circ}-37^{\circ}N$ 해역에서는 기장 동방 약 25마일 역에 위치하고, $35^{\circ}N$ 이남 해역에서는 충무 남방 약 35마일 역이다. 일년중 어획양의 변동은 2월에 최소이고 5월에 최대인데, 이것은 냉수역 한계수온으로 생각되는 $10^{\circ}C$등온선과 관계가 깊었으며, $34.0{\sim}34.4\%0$ 등염선역이 주어장이 형성되는 곳이었으나 명확한 관계는 알수 없었다.

  • PDF

고등어 어획량 변동에 따른 동지나해의 어장과 해황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shing Grounds and Oceanographic Condition Associated with Fluctuation of Mackerals Catches in the East China Sea)

  • 조규대;홍철훈;김용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0권2호
    • /
    • pp.83-90
    • /
    • 1984
  • 동지나해에 있어서 고등어류 어획량 즉 자원량 변동에 따른 어장분포범위의 변동상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이에 따른 환경변화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어획자료는 일본국 농림성조사부 및 국립수산진흥원의 해구별 선망어획량 통계자료를 사용하였다. 이중에서 어획량이 적었던 1968년, 가장 많았던 1974년과 그 후 다시 적어졌던 1980년에 대하여 어획량을 계절별로 집계하여 분석하였다. 해양관측자료는 일본기상청과 국립수산진흥원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고등어류 어장분포는 어느 계절이나 3개년 모두 동지나해 중앙부를 중심으로 북동부와 남서부로 분리되었다. 또한 동계와 춘계에는 쿠로시오역 내측에 폭이 좁은 띠모양[대상]의 어장이 형성되었다. 어군의 북상시기인 하계와 남하시기인 동계에는 한국연안과 쓰시마난류역을 따라서 어장이 형성되었다. 어장분산은 하계가 제일 크고 춘계가 가장 적었으며, 누년 큰 변동이 없었으나 자원량이 많았던 1974년 이후인 1980년이 가장 컸다. 어장의 집중과 분산은 수온약층과 수온의 수평기울기의 크기와 관련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