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eanic front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19초

Numerical Modelling Of The Coastal Upwelling Near The Poleward Edge Of The Western Boundary Current

  • An, Hui Soo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23
    • /
    • 1981
  • A numerical experiment is made in order to clarify the mechanism of the upwelling phenomenon along the coast near the poleward edge of the western boundary current. The possibility of the upwelling is suggested from the analysis of the observational data in the east of Honshu, Japan, and in the south 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This upwelling phenomenon is very deep and can be traced to the bottom layer. The upwelling phenomenon seems to be a general oceanic feature which characterizes the region along the west coast near the poleward edge of the western boundary current. This experiment is simulating the oceanic condition of the transition region between Kuroshio front and the Oyashio front in the east of Honshu, Japan. The possible explanations of the causes of the upwelling are as follows;In the interior of the modeled ocean the cold heavy water supplied from the north and the warm light water from the south make the north-south gradient of the pressure field and accelerate the eastward current to produce the h-orizontal divergence feld near the west coast. The divergence is compensated by the upwelling near the separation region. Another one is that the upwell-ed cold water strengthen constantly the pressure gradient which is balanced by the northward current and is weakened by the horizontal diffusion.

  • PDF

2001년 7월과 11월의 한국남해 서부해역에서의 멸치(Anchovy, Engraulis Japonica) 어란과 자 · 치어의 분포 및 수송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 of Transport Mechanism of Eggs and Larvae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in July and November, 2001)

  • 김상현;방익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31-341
    • /
    • 2005
  • Distributio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eggs and larvae was studied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in July and November, 2001. Anchovy eggs were found mainly in the oceanic fronts of the northern sea area which were formed in the offshore area of Chuja Is. Bogil Is. and Chungsan Is. from west to east. Anchovy eggs were also found in the surrounding sea of Cheju Is. in the southern sea front area. The waters were highly heterogeneous and the water masses were bordered based on temperature $(10.8-26.4^{\circ}C)$ and salinity (28.9-33.7 psu). The anchovy eggs were mostly found outside of the China Coastal Water, where salinity was below 31 psu. The anchovy eggs were not found in November. Abundance of the anchovy larvae were higher in July than November. Temperature ranged from $10.8^{\circ}C\;to\;25.9^{\circ}C\;and\;15.9^{\circ}C\;to\;20.5^{\circ}C$, and salinity ranged from 28.9psu to 34.1psu and 33.2psu to 34.1psu in July and November, respectively. Non-swimmable larvae were found throughout the whole area of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The area beyond the oceanic front had anchovy eggs dispersed from the spawning grounds to offshore. Dispersion pattern showed that the eggs were transported from the spawning grounds with a process of advection and diffusion based on the flow pattern which were caused by winds. Distribution pattern of the anchovy eggs and larvae may be used for the prediction of oceanic currents in each area.

FINER-SCALE SST FRONT OF THE SOUTHERN ECS IN WINTERTIME FROM SATELLITE AND SHIPBOARD DATA

  • Chang, Yi;Shimada, Theruhisa;Sakaida, Futoki;Kawamura, Hiroshi;Chan, Jui-Wen;Liu, Dong-Chan;Lee, Ming-A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740-743
    • /
    • 2006
  • We identify two distinct finer-scale frontal bands: 'Mainland China Coastal Front' (MCCF) and 'Kuroshio Front' (KF). The MCCF is along the 50-m isobath with large temperature gradient. The front is a boundary between the Mainland China Coastal Current and the offshore shelf waters. On the other hand, the KF is extending from the northeastern coast of Taiwan toward the northeast and into the shelf of south ECS. It forms a broad semicircle-shape and curving along 100-m isobath, it also deviates from eastward at around 26.5N-122E and leaves the shelf of ECS. This front should be the boundary between the Kuroshio water and the other shelf waters.

  • PDF

해양의 수온전선 정량화를 위한 선밀도 지수 개발 (Development of Line Density Index for the Quantification of Oceanic Thermal Fronts)

  • 최현우;김계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7-238
    • /
    • 2006
  • 해양에서 수온의 등온선 밀집 정도를 표준지수로 정량화하기 위해 선밀도 지수(line density index: LDI)를 개발하였다. 지수 값의 범위를 0에서 100까지 제한시킨 LDI의 개발과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였고, line의 총 길이가 해당 면적의 1/10를 넘지 못한다는 적용조건에 대한 타당성 검증도 수행하였다. LDI의 적용 실험을 위해 남해역에서 관측된 NOAA SST 자료를 이용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SST 레스터 데이터로 부터 $0.1^{\circ}C$ 등온선 벡터 데이터를 선형화하고 단위격자 영역을 폴리곤으로 제작한 후 공간중첩을 통해 LDI를 계산하였다. 단위 영역의 크기가 LDI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두 종류의 격자 크기를 설계하여 LDI의 통계량를 산출하고 정규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격자크기에 따라 LDI의 평균과 정규성 같은 고유특징은 변하지 않으나, 통계량 값의 범위, 분산, 표준편차 등은 변하였는데, 이는 수온전선 구조가 복잡하고 전선폭이 격자 영역보다 훨씬 작을 때 발생하는 문제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LDI와 수온 차(${\Delta}T^{\circ}C$) 와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수온전선역의 수온 수평경도(${\Delta}T^{\circ}C/km$)를 선형회귀모델로부터 계산하여 기존 연구자들의 제시한 수온전선역에서의 수온 수평경도 값과도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개발된 LDI가 지니는 의미는 해양환경에서 시 공간적인 변화에 따른 수온전선 형성 지역을 절대적인 지수치로 비교 가능함은 물론, 수온전선과 해양환경 또는 해양생물과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 PDF

해양전선 : 조석전선의 형성 및 그 미세구조의 전개 과정 (An Oceanic Front : The Formation of Tidal Fronts with Its Microscale Structure Evolution)

  • Yi-Gn Noh
    • International Union of Geodesy and Geophysics Korea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17-30
    • /
    • 1993
  • 해양에서의 전선형성에 관해 그 발생기작을 중심으로 검토되었으며, 특히 조석혼합에 의해 발생하는 연안전선의 발생기작이 조석전선 형성에 관계되는 미세구조의 변화를 포함하는 연안의 해수 수직면에 대한 일차원 모형을 통해 이해되었다. 이로부터 조석전선의 형성을 예측하는 새로운 기준을 설정하였다. 모형으로부터 계산된 해수의 밀도 및 난류에네지의 시간에 따른 발달은 수온약층의 형성하기 위한 조건은 $\delta$가 클 때는 (${\delta}>0.5$)$R{\delta}^{-}$ constant로서 주어지지만, $\delta$가 0에 접근함에 따라 $\delta$에 점점 무관하게 됨을 보여준다. 여기서, $R=H^4Q/{K_b}^3,{\;}{\delta}=1-D_o/H$, Q는 해수면에서의 부력속, $K_b$는 해저에서의 와확산 계수, $D_o$ 아래서 수온약층의 깊이는 조석혼합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 결과는 기존의 연구와 비교 검토되었다.

  • PDF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 조경 수역 및 어장에 관한 오개념 분석 (Analysis of Misconceptions on Oceanic Front and Fishing Ground in Secondary-School Science and Earth Science Textbooks)

  • 박경애;이재연;강창근;김창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04-519
    • /
    • 2020
  • 해수의 서로 다른 물성이 만나는 해양 전선은 해수의 열교환 및 운동량 교환, 물성의 혼합과정과 같은 해양 역학적 과정과 해양-대기 상호작용으로 기상변화와 기후 변화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해양 전선이 중등학교 교과서에는 해류가 만난다는 의미를 가지는 '조경 수역'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해 어장과의 관련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고등교육과 해양과학자들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이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있어서 용어의 적절성이 조사되어야 하며 오개념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교육과정에 기반한 중등학교 교과서 11종(중학교 5종, 고등학교 6종)을 활용하여 이와 관련된 교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등학교 과학교사 30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이 문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지 정도를 분석하였다. 조경 수역과 어장에 관한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과학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상당히 많은 오류와 오개념이 발견되었다. 교과서에서 조경 수역이라는 개념이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의미로 주로 활용되고 있으나, 수온, 염분, 밀도, 유속 등 해양의 서로 다른 물성이 접하는 '해양 전선'이라는 포괄적인 용어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과서에서는 어장의 계절변동을 겨울에 남하하고 여름에 북상하고 북한한류의 계절변동과 연결하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북한한류의 여름철 강화에 관한 그동안의 과학적 사실에 위배되는 내용이다. 동해의 어장은 동해안 좁은 영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훨씬 더 넓은 해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교사들의 설문 결과는 이러한 오개념이 지난 수십 년 동안 지속되어 왔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조경 수역, 어장, 북한한류와 관련된 오개념을 수정하기 위한 과학적 지식의 중요성과 교육과정으로의 전달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향후 이 연구가 교과서 수정과 교사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istribution and Vertical Structures of Water Masses around the Antarctic Continental Margin

  • Kim, Seong-Joong;Lee, Bang-Yong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277-288
    • /
    • 2005
  • Spatial distribution and vertical structures of water masses around the Antarctic continental margin are described using synthesized hydrographic data. Antarctic Surface Water (AASW) over the shelf regime is distinguished from underlying other water masses by the cut-off salinity, varying from approximately 34.35 to 34.45 around Antarctica. Shelf water, characterized by salinity greater than the cut-off salinity and potential temperature less than $-17^{\circ}C$, is observed on the Ross Sea, off George V Land, off Wilkes Land, the Amery Basin, and the Weddell Sea, but in some shelves AASW occupies the entire shelf. Lower Circumpolar Deep Water is present everywhere around the Antarctic oceanic regime and in some places it mixes with Shelf Water, producing Antarctic Slope Front Water (ASFW). ASFW, characterized by potential temperature less than about $0^{\circ}C$ and greater than $-17^{\circ}C$, and salinity greater than the cut-off salinity, is found everywhere around Antarctica except in the Bellingshausen-Amundsen sector. The presence of different water masses over the Antarctic shelves and shelf edges produces mainly three types of water mass stratifications: no significant meridional property gradient in the Bellingshausen and Amundsen Seas, single property gradient where ASFW presents, and a V-shaped front where Shelf Water exists.

GIS을 활용한 해양환경관리에 관한 연구 II (해수면 수온분포의 정량화를 위한 선 밀도 알고리즘 개발) (A Study on the GIS for The Sea Environmental Management II (- Developing a Line Density Algorithm for The Quantification to the Sea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 ))

  • 이형민;박기학
    • 환경위생공학
    • /
    • 제21권4호
    • /
    • pp.61-76
    • /
    • 2006
  • A Line Density algorithm was developed to quantify the sea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using NOAA Sea Surface Temperature(SST)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In addition, a GIS based automation model was designed to extract the Line Density Indices were determined by applying K-means Cluster. SST data in terms of March to May obtained on the coastal area of the Uljin from 2001 to 2004 in spring were used to make two data sets of average sea water temperature map in terms of year as well as month. From the result it was formed that water temperature gradient in April was the strongest among the other months, In particular very strog formation of oceanic front as well as temperature gradients were observed in front of the coastal area around Wonduk and Jukbyeon countries. Because those coastal area is a confront zone of two cold and a warm.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a Line Density Algorithm would contribute to quantify of the SST for the research of Sea Surface Front(SSF) related to marine life management and the sea environmental conservation.

Effect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Pacific Saury in the Tsushima Warm Current Region

  • Gong, Yeong;Suh, Young-Sa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1호
    • /
    • pp.1137-1144
    • /
    • 2003
  • To provide evidence that the changes in oceanic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useful indices for predicting stock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the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the body length compositions and catch per unit fishing effort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sea surface temperature(SST) anomalies in the Tsushima Warm Current(TWC) region. The size of the fish became larger(smaller) than the average in the same size category during the season of higher SST(lower SST) as opposed to the normal SST. The year-to-year changes in body size caused by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led the stock to be homogeneous during the period of high stock level from the late 1950s to early 1970s and in the 1990s. The changes in body size manifested by higher(lower) occurrence rates of larger (smaller) sized groups in relation to temperature anomalies suggest that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ffect the distribu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stock in the TWC region. Therefore, if the SST anomaly derived from satellite data is large enough in the early spring months(Mar. or Apr.), it is possible to predict whether or not sea temperature will be favorable for large sized groups of saury at normal or slightly earlier time of commencement of the fishery in spring(Apr.∼June).

남극 극 전선 탐지를 위한 접근법과 변동성에 대한 연구 (An Approach for the Antarctic Polar Front Detection and an Analysis for itsVariability)

  • 박진구;김현철;황지현;배덕원;조영헌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6_2호
    • /
    • pp.1179-1192
    • /
    • 2018
  • 이 연구는 남빙양(Southern Ocean)에서 나타나는 주된 전선(Front)들 중에 남극 극 전선(Antarctic Polar Front; PF)을 탐지하기 위하여 위성 기반 해수면 온도(sea surface temperature)와 해수면 고도(sea surface height) 자료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였다. 정확한 PF 탐지를 위하여 일별 SST와 SSH 자료를 각각 기반으로 하여 베이지안 결정 이론(Bayesian decision theory)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전선/비전선의 신호를 격자 별로 분류하였다. 이후, 시공간적인 합성을 통하여 일차적인 노이즈(noise) 제거 및 지리학적 연결성을 보완하였다. 그러나 이들 과정을 수행하고도 여전히 잔존하는 일부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해빙 및 연안 마스킹(masking)을 수행하였다. 또한 모폴로지 연산(morphology operation)을 통하여 지류 성분을 최대한으로 배제하고 주된 전선 성분만을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선택된 전선 격자 들에서 PF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도록 가장 최남단의 전선만을 선택하여 평활 스플라인(smoothing spline) 최적화 방식을 통해 선 형태의 월별 PF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PF는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한 PF의 위치와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바닥 지형에 따라 상당 부분 결정되는 PF의 변화를 잘 모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로스해 주변(${\sim}180^{\circ}W$)과 호주 이남의 해역($120^{\circ}E-140^{\circ}E$)은 PF의 위치에 대한 계절적 변동이 높게 나타나며, 그러한 변동이 기존에 제시된 결과와 상당히 유사한 경향을 지닌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산출된 PF의 위치에 대한 탐지 결과가 향후 장기적 관점에서 수행될 연구에 사용될 수 있는 가치를 지닐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