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training

검색결과 758건 처리시간 0.027초

중소건설업체의 떨어짐 재해 예방방법 (A Method for Preventing Falling Accident in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 김은정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25-32
    • /
    • 2018
  • According to the data released by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construction workers suffering from falling disaster have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for the last five years, and in fact,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falling disaster forms over 97% of all every year. This means that to reduce falling disaster significantly, it is needed to get rid of disaster taking place in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He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various causes of falling disaster in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examine how those factors are correlated with one another, and suggest how to manage the risk of falling disaster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main factors influencing falling disaster in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are found as follows: Situational Awareness/Risk Perception, Fatigue/Alertness, Communications, Equipment/Facilities,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in the Direct Level, Management/Supervision, Education/Training, and Planning in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Management's Commitment to Safety in the Policy Level.

로프를 이용한 고소작업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정책, 교육 및 장비활용의 합리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Rationalization of Policy, Education, and Equipment Use to Improve the Safety at Height Work Using Rope)

  • 임광섭;홍성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79-85
    • /
    • 2022
  • The annual statistics on fall fatality consistently show the dangers of working at height.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specifies legal restrictions on work at height using a scaffold. However, there are different classes of work at height, and some rely only on ropes. This study proposes education, training,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rope access work system." In brief, it was concluded that accurate instruction on the knot method and the setting of some standards were important. For this, the use of an integrated work chair harness equipment was suggested.

부스팅 기계 학습과 SHAP를 이용한 설명 가능한 소프트웨어 분야 대졸자 취업 모델 개발 (Explainable Software Employment Model Development of University Graduates using Boosting Machine Learning and SHAP)

  • 권준희;김성림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77-192
    • /
    • 2023
  • The employment rate of university graduates has been decreasing significantly recently.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mand for software employment has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actors for software employment of university graduates. This paper proposes explainable software employment model of university graduates using machine learning and explainable AI.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s used. The employment model uses boosting machine learning. Then, performance evaluation is performed with four algorithms of boosting model. Moreover, it explains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using SHAP.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e top 3 factors are major, employment goal setting semest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공공기관 경영진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안전혁신교육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Innovation Education Factors Affecting the Management's Behavioral Intentions in Public Institutions)

  • 방수일;박창권;장길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30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al effect of safety innovation education for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A survey was conducted on 294 CEOs and executive directors of public institutions (divided into construction sites, workplaces, and research facilities) subject to the safety management rating system to understand the impact of educational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intentions after safety innovation education.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xecutive director had a higher behavioral intention than the CEO, and the education quality, education instructor,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related to safety innovation education for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소프트웨어 분야 취업 결정 요인에 대한 XAI 모델 적용 연구 : 일반대학교와 전문대학 졸업자를 중심으로 (Application of XAI Models to Determine Employment Factors in the Software Field : with focus on University and Vocational College Graduates)

  • 권준희;김성림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31-45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employment factors in the software field. For it,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s used. This paper proposes employment models in the software field using machine learning. Then, it explains employment factors of the models using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The models focus on both university graduates and vocational college graduates. Our works explain and interpret both black box model and glass box model. The SHAP and EBM explanation are used to interpret black box model and glass box model, respectively. The results describes that positive employment impact factors are maj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employment preparation setting semester, and intern experience in the employment models. This study provides a job preparation guide to universitiy and vocational college students that want to work in software field.

IOPI를 활용한 조음기관 훈련 프로그램이 경직형 마비말장애의 조음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iculation Abilities on the Articulator Strength Training by IOPI of Spasticity Dysarthric Speech)

  • 이장신;이지윤;김선희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1호
    • /
    • pp.91-99
    • /
    • 2020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IOPI 조음 근력 강화 훈련 프로그램이 경직형 마비말장애 환자들의 조음기관(혀, 입술) 근력 상승, 조음 정확도, 조음 교대운동 속도, 규칙성 및 정확도 변화에 끼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제주에 거주하는 경직형 마비말장애 환자 3명을 대상으로 제주 소재의 대학병원 언어치료실에서 기초선 단계, 7주간 주3회씩 1회기당 30분씩 중재를 한 후에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혀와 입술의 근력, SMST 조음선별검사 중 /ㄹ, ㅅ, ㅈ/ 조음 정확도, 조음 교대운동 속도, 규칙성 및 정확도 변화를 연구하는 단일대상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 IOPI 조음 근력 강화 훈련 프로그램을 경직형 마비말장애 환자들에게 실시한 이후에 조음기관 근력, /ㄹ, ㅅ, ㅈ/ 조음동안 정조음 산출 수, 조음 교대운동 검사 결과 초당 /퍼/, /터/, /커/, /러/, /긍/, /아/, /퍼터커/ 산출 횟수의 증가와 조음 규칙성과 조음 규칙성 및 정확성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IOPI 조음 근력 강화 훈련 프로그램이 경직형 마비말장애 환자들의 조음 정확도, 조음 교대운동 속도, 규칙성 및 정확도 향상을 도모하였으며, 추후 IOPI를 다양한 하위 유형의 마비말장애 환자에게 실시하여 각 하위 유형 간 차이를 비교하고, 마비말장애의 가장 대표적인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가정에서 IOPI를 활용한 조음기관 기능 훈련을 연계한 프로그램 적용 이후 조음 능력의 변화에 대해 연구한다면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rofacial Training Video Program using Smart Device on Oral Cavity Structure and Function, Diadochokinetic Rate in Acute Stroke Patients with Dysarthria)

  • 문종훈;원영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91-40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이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구조 및 기능과 조음교대운동속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7명씩 무작위 할당되었다. 두 그룹의 대상자들은 4주 동안 모두 동일하게 보편적인 재활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스마트 기기를을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을 보호자의 감독 하에 추가적으로 30분씩 더 수행하였다. 구강 구조와 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선별검사의 하위항목인 구강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였다. 조음교대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교대운동속도와 연속운동속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그룹 내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은 구강 구조 및 기능, 교대운동속도, 연속운동속도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그룹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구강기능과 교대운동속도의 /퍼/와 /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구강안면 훈련 영상 프로그램은 마비말장애가 있는 급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 기능과 조음기관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사료된다.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 훈련이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mmunication Improvement on Caregivers Education and Training on Aphasia)

  • 박희준;장현진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2호
    • /
    • pp.79-88
    • /
    • 2019
  • 목적 : 경험학습모델에 따라 하나의 체계적 프로그램으로 결합하였는데 이 접근법의 목표는 환자와 보호자들의 이해를 돕고 필요한 것을 인지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자는 환자와 대화상대자 사이의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모델에 근거한 그룹훈련의 장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이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소재에 있는 종합병원에 입원한 40~50세의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 6명(구어 실행증 2명, 브로카실어증 3명, 명칭 실어증 1명)과 보호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명확한 정보교환 의사소통은 보호자가 촉진전략을 사용하여 환자의 메시지를 파악하였는지 알아보고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은 보호자의 긍정적인 행동과 방해하는 행동의 빈도 변화를 파악하였다. 보호자의 행동 변화는 훈련 전의 부정적 행동들이 훈련 후 어떠한 행동으로 변화하였는지 알아보고 설문지를 통해 환자와 보호자들의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첫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명확한 정보교환 의사소통을 향상 시켰다. 둘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을 향상 시켰다. 셋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보호자의 행동을 변화시켰다. 넷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환자와 보호자들의 만족도를 향상 시켰다. 결론 :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에서는 그동안 거의 고려되지 않았던 실어증 환자의 보호자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국외에서 이미 활용 중인 여러 유형의 프로그램을 표방하여 우리나라의 문화와 재활 환경에 맞는 다양한 보호자 교육의 내용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실행문제가 있는 아동의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중재를 통한 타이밍 변화: 단일 대상 연구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for a Child With Praxis Problems: A Single Subject Design)

  • 송지원;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38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실행 문제가 있는 일반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아동을 대상으로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을 적용하고, IM 훈련에 따라 타이밍의 변화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만 12세 2개월의 남아 1명이었다. 단일대상연구의 A-B설계를 사용하여 총 11회 기를 적용하였다. 기초선 기간 동안 아동에 대한 IM 전체형 평가, 임상관찰, 단축형 감각프로파일을 실시하였고, 중재 기간 동안 IM 훈련을 하였다. 모든 회기 동안 동일하게 IM의 단축형 평가(Short Form Assessment; SFA) 동작 과제 1, 2를 실시하였고, 변화도를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결과 : 초기평가 결과, 대상 아동은 양측통합과 순서실행장애로 의심되었다. SFA 동작 과제 1, 2에서 기초선 기간에 비해 중재선 기간 동안 타이밍에 대한 정확도가 높았다. 또한 SFA 동작 과제 1의 추세선을 살펴본 결과, 기초선 기간에 음의 기울기를 보였으나 중재기간에는 양의 기울기를 보였다. 결론 : 실행에 문제가 있는 아동의 타이밍에 IM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므로 임상에서 IM 훈련을 적용하는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두뇌타이밍 훈련이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후향적 비교연구 (Effects of Brain-Timing Training on Reading Abilities: A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 정미양;박지영;정효심;유연환;홍승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25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두뇌타이밍 능력이 낮은 아동을 대상으로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mome; IM)을 이용한 두뇌타이밍 훈련을 적용한 후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9년~2021년에 아동발달연구소에서 IM 훈련을 시행한 아동 중 타이밍 능력이 자신의 연령 평균보다 낮은 아동 8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검사 전-검사 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두뇌타이밍 훈련은 주당 2~3회기, 총 70회기 이상, 회기 당 40~50분으로 아동의 발달적 특성에 따라 적용되었다. 훈련 전후 두뇌타이밍의 변화는 IM의 전체형검사(Long Form Assessment; LFA), 읽기 능력은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Reading; BASA:R)로 측정하였다. 결과 : LFA의 두뇌타이밍 능력 평가결과 모든 아동의 전체 운동과제의 반응시간이 감소되어 두뇌타이밍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BASA:R의 읽기 검사와 빈칸채우기 검사의 원점수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p<.05). 결론 : 본 연구는 두뇌타이밍 능력이 낮은 아동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두뇌타이밍 훈련의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