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Achievement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5초

근로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에 관한 연구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Korean Employees)

  • 조동란;박은옥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3-46
    • /
    • 1998
  • Introduction : In Korea, national attention to the workplace health promotion programs (HPP) for employees began in early 1990s. Governmental supports for the HPP and education programs have given to the employ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erformance degree of employees' health promoting lifestyle(HPL). Subjects and Methods : For this study, 615 employees who attended governmental educations were selected as research samples. The tool for measuring HPL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for Korean by In-Sook Park in 1995. It is composed of 4-point scaled 60 items and divided into 11 subcategori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 reporting questionnaires from June to December in 1997. Those data were analyzed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t-test with SAS program.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total mean score of the employees' HPL performance was 2.66. The average scores of 'harmonious relationships' category were the highest as 3.11, whereas the one of 'professional health maintenance' were the lowest as 2.02. The remains were 'sanitary life'(2.90), 'emotional support(2.85), 'regular diet'(2.84), 'self achievement'(2.78), 'healthy diet'(2.56), 'rest and sleep'(2.56), 'exercise and activity'(2.54), 'diet control'(2.53), 'self-control'(2.52). 2. The factors affecting HLP were category of industries and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major, educational experience of health promotion,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employees of service industries, female, older age, married, nurse, educated for health promotion,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performed HLP more than the others. 3. The participation rates of employees for HPP were 12.4%, because of limited time and facilities and equipments. Recommendations; 1. The regulation for performing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the industries is essential for activating industrial health promoting movement. 2. More governmental supports for educations and service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the industries are needed. 3. For behavioral changes of the employees, the contents of educations have to consist of exercise and activity, rest and sleep, diet and smoking habits. 4. The evaluating studies for ready made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the industries are expected.

  • PDF

대학생의 졸업연기 유형과 취업성과 : 취업목적 휴학의 효과를 중심으로 (College Students' Delayed Graduation and Employment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Effects of Employment-Oriented Delay on the Employment Outcomes)

  • 변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28-236
    • /
    • 2017
  • 본 논문은 대졸자의 취업성과에 있어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5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2014GOMS)' 자료를 활용하여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가 정규학기 졸업과 비교해 취업여부와 첫 일자리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는 정규학기 졸업에 비해 취업확률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는 정규학기 졸업에 비해 첫 일자리의 임금수준이 높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기업은 투명한 채용기준을 제시하여 대학생들이 필요한 역량계발에 몰두할 수 있도록 돕고, 대학은 학생들이 재학 중 단기 일 경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야 하며, 정부는 이중노동시장 구조를 완화하고 불평등을 해소하여 청년층의 첫 일자리 선택에 대한 불안감을 줄일 수 있도록 제도와 정책을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 여성사서의 직력유형(職歷類型)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Patterns of Korean Female Librarians)

  • 최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103-140
    • /
    • 1991
  • Knowledge about career patterns of women In any profession and about factors which influence these career patterns becomes increasingly necessary because of the influx of ever-increasing numbers of women into the labor force, an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creative productivity of women. This study alms to investigate Korean female librarians' overall career patterns and verify relevant factors which might affect to their career patterns. As an instrument,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251 full-time Korean female librarians throughout the country with regular librarian's certificate, currently engaging in public, college or university, and special libraries. Based on the data gather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ir career pattern inclination and its influential factors were examined through hypothesis testing. Major findings of the survey are outlined in the following: 1). Female librarians' career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with the group represented as Categories-2 (single; wishes to continue working after marriage; places an emphasis on the sense of occupational accomplishment and social prestige)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33.4\%)$. 2). The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ing reveal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statistically between social factors(parents' socio-economic status, etc.) and female librarians' career patterns. So the hypothesis concerning social factors were rejected. 3). In psychological factors(job satisfaction ; self-concept sex role attitude ; role conflict ; and achievement motivation), all except for self-concept were shown to be relevant with female librarians' stable career pattern. So the hypotheses concerning psychological factors were supported. 4). According to the result of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conducted between the above four statistically significant psychological factors and career pattern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female librarians' career patterns was job satisfaction and sex role. In conclusion,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overall enhancement of Korean female librarianship, earlier career guidance and concrete sex role education for young women is urgent which enable them to establish correct viewpoint for their occupational career female librarians themselves' constant endeavor In maintaining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job is required.

  • PDF

DACUM 법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의료전자기기 전문가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Ubiquitous Medical Electronic Device Export by the Method of DACUM)

  • 조동헌;구경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2권8호
    • /
    • pp.1192-1197
    • /
    • 2013
  • In this paper Ubiquitous Medical Electronic Device Export was defined, and it's job analysis. The authors have been defined the job and classified duties and tasks of Ubiquitous Medical Electronic Device Export. To fine what is the most efficient task for Ubiquitous Medical Electronic Device Export, we have been investigated the levels of importance, difficulty, frequency and entry in each task. A DACUM committee is composed of total 12 members, which are one facilitator, 10 panel members, one coordinator & recorder to analyze the job of Ubiquitous Medical Electronic Device Export.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process began with the identification of a job title and definition of Ubiquitous Medical Electronic Device Export. Second, a job model of Ubiquitous Medical Electronic Device Export is constr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DACUM job analysis. 5 duties and 33 tasks are analyzed. Third, occupational specification was drawn up in consultation with SME council. Fourth, duty specification was drawn up in consultation. 33 tasks that are essential in entry level of occupation are identified. Fifth, task specification was drawn up in consultation. Detail task component which include skill, materials, knowledge, equipment, achievement level and tool was specified in task specification.

Effects of Goal-Oriented Functional Tasks on Gross Moto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ingle Case Study-

  • Lee, Eun-Jung;Kwon, Hae-Yeon
    • PNF and Movement
    • /
    • 제18권2호
    • /
    • pp.159-172
    • /
    • 2020
  • Purpose: The study sought to determine whether goal achievement, performance, satisfa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re positive affected by goal-oriented functional task training. Methods: In a single case study, two 7-year-old girls diagnosed with spastic cerebral palsy were given functional task training based on individualized goals for 24 60-minute sessions over a period of 6 months. The individualized goals reflected the needs of both children and parents.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and the goal attainment scale (GAS) were used to measure go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depende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were assessed using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Wee-FIM). And change of gross motor function were assessed using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 Results: Clin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COPM and GAS, as well as positive changes in independence of gross moto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goal-oriented functional task training addresses the needs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which increases treatment satisfaction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independent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daily life.

농작업재해의 원인구명 및 코호트 구축방안 (Cohort Study for Investigation of the Causes in Agricultural Injuries and Diseases)

  • 임현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1권2호
    • /
    • pp.119-144
    • /
    • 2006
  • The Korea rural health study, a large prospective cohort stud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exploration for potential causes of agricultural injuries and diseases among farmers. Current medical research suggests that they may have higher rates of some traumatic injuries, pesticide poisoning, infectious diseases, musculoskeletal diseases, asthma and other respiratory diseases.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occupational, lifestyle,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workplace that may affect the rate of diseases in farming population. Round 1, initial cohort recruitment, will begin in 2006 and conclude in 2009. Round 2, follow-up will begin in 2010 and conclude in 2014. Approximately 54,000 persons will be selected to study population. Nested case-control studies and case-crossover studies will be conducted for getting to the bottom of agriculture-related diseases. Recruitment and follow-up are conducted in collaboration with multi-centers. As data on the exposures and health outcomes of this study population are collected and analyzed in 2014. This study will be evaluated by public health experts for effort, achievement, adequacy of performance, efficacy, process of study and so on. The author expects that this cohort study may reduce agricultural injuries and diseases and will provide information that agricultural workers can use in making decisions about their health. Also, this study will be significant basis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e in Korea.

  • PDF

청소년과 부모의 실패와 미래성취 의식을 통해 본 한국인의 성취관련 토착심리 (Failure experience and aspirations for the future: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of Korean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 박영신;김의철;탁수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2호
    • /
    • pp.73-108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과 부모의 실패와 미래성취에 대한 의식을 분석함으로써, 그동안의 선행연구 결과들과의 종합을 통해, 한국인의 성취관련 토착심리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989명이었는데, 청소년 482명(초 117명, 중 88명, 고 72명, 대 205명), 부모 507명(부 236명, 모 271명) 이었다. 질문지는 박영신과 김의철(1999)의 연구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자유반응형 문항이었다. 실패 의식은 가장 고통스러운 실패경험, 실패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 실패의 가장 중요한 원인을 포함하였다. 미래성취 의식은 미래에 가장 성취하고 싶은 일, 미래의 성취를 위해 도움이 필요한 사람, 미래의 성취를 위해 필요한 도움의 내용, 미래성취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을 다루었다. 분석결과, 청소년들은 학업실패를, 부모들은 가정생활실패, 학업실패 및 직업실패의 순서로, 가장 고통스러운 경험을 지적하였다. 실패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으로, 청소년과 부모 모두 자기자신을 많이 지적하였다. 실패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노력과 의지력으로 대표되는 자기조절 결여로 나타났다. 미래에 가장 성취하고 싶은 일은 청소년의 경우에 취업과 학업성취였으며, 성인의 경우에 행복한 가정생활이었다. 미래성취를 위해 도움이 필요한 사람으로서 청소년은 부모를, 성인은 배우자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으며, 이들로부터 필요한 도움의 내용으로는 두 집단 모두 정서적 지원을 대표적으로 인식하였다. 미래성취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서, 청소년과 부모집단 각각 반수 이상이 자기조절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와, 그동안 이루어진 일련의 선행연구 결과들에 기초하여, 한국인의 성취관련 토착심리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논의되었다. 1) 성취의 핵심적인 원인으로서, 노력에 가치를 두는 자기조절 경향성, 2) 성취를 위해 필요한 사회적 지원으로서, 가족으로부터 정서적 지원, 3) 한국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온, 학업성취에 대한 강한 열망, 4) 화목한 가정에 대한 추구를 통해 본 가족주의 가치.

과학고 졸업생들의 과거와 현재: 과학고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전문과학분야의 성취 비교 (Past and Present of Science High School Graduates: Comparison of Productivity in Science Field Based on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 안도희;홍아정;조석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631-65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과학고 재학시 학업 성취 수준(고성취, 저성취)에 따라 이들의 향후 성취(최종학력, 창의적 업적물 수) 수준, 직업 및 소득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이들의 삶 및 직업 선택에 영향을 준 인물은 누구였는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8개 과학고를 졸업한 성인들 중 2001년 이전에 졸업한 성인 총 244명(만 28.00세~42.84세)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분석을 실시하였고, 설문 참여자들 중 13명을 선정하여 면대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과학고 졸업생들의 과학고 재학시 학업 성취 수준이 상위 30%에 해당하는 이들을 고성취 집단으로, 하위 30%에 해당하는 이들을 저성취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이들 두 집단의 최종학력 수준과 창의적 업적물 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저성취 집단에 비해 고성취 집단에서 박사과정 이상의 고학력 소지자가 더 많았으며, 창의적 업적물을 많이 낸 과학고 졸업생들의 비중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과학군에 종사하는 과학고 졸업생들은 고성취집단의 과반수이상을 차지한데 반해, 저성취 집단에서는 비전문과학군(일반군)에 종사하는 과학고 졸업생들의 비중이 과반수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고성취 집단에서 고소득자가 더욱 많이 분포되었으며, 직장 내에서 창의적 능력이 요구된다고 응답한 비중이 저성취 집단에서와 달리 무려 86%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두 집단 모두 삶과 직업선택에 영향을 가장 많이 준 인물로 부모가 가장 많이 지목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스승이 지목되었다. 이러한 설문 연구결과는 인터뷰 결과와도 일치하는데, 과학고 졸업생들의 삶과 직업선택은 그 당시 처해진 사회적 상황과 생활 속 밀접하게 상호작용한 주변인물(부모님, 교사, 선후배)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변인물에 대한 주관적 인식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색소음의 적용에 따른 지적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Changes of the Writing Ability and Hand Function of the Children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White Noise)

  • 손성민;곽성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5-275
    • /
    • 2019
  •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백색소음을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의 변화를 분석하여 백색소음의 적용에 따른 지적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손 기능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아동 12명이며, 백색소음을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적용 전, 후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을 분석하였다. 백색소음의 제공은 백색소음 발생기를 통해 연속적이며, 균일하게 제공하였다. 쓰기 능력의 분석은 KNISE-BAAT(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s) 도구를 활용하여 표기능력, 어휘구사력, 문장구사력을 평가하였다. 손 기능의 분석은 Manual Function Test(MFT) 도구의 세부항목인 Pegboard 항목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쓰기 능력 분석결과 대상자들의 표기능력과 어휘구사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문장구사력에서는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손 기능 분석결과 양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 아동들의 저하된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상적 접근방법으로 백색소음의 적용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지적장애 아동들의 수행수준과 학습수준,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생활공간 및 학습공간에서 백색소음의 제공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초등특수학급 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국내 등재지 중심으로- (Systematic Review on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 Special Class of the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KCI Journals -)

  • 최유진;김정란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165-186
    • /
    • 2014
  •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특수학급 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현황을 국내 등재 학술지를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데이터베이스 KISS, DBPIA, RISS, Google에서"통합교육, 특수학급, 통합학급, 장애학생, 학교적응, 학교생활, 학교적응척도, 초등학교"를 주요 검색어로 하였으며, 2004년 1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최근 10년간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분석대상논문은 35개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논문 35개 중 2004년에서 2007년까지 6개의 논문을 제외한 나머지 29개 논문은 2008년 이후 게재된 것이었다. 둘째, 분석대상 논문들의 연구 대상자는 총 141명이었고, 이중 지적장애가 87명(61.7%)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학습장애가 24명(17.0%)으로 많았다. 셋째, 평가영역은 총 51개로 분석되었으며, 학업성취와 과제수행 13개(25.4%), 수업태도 및 참여행동 12개(23.5%), 문제행동 11개(21.5%)를 평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애진단별 분석결과는 지적장애의 평가영역이 10가지로 가장 많았다. 넷째, 평가방법은 총 41개였다. 조작적 정의를 사용한 논문이 23개(56.1%), 평가지 제작 7개(17.1%), 평가도구 사용이 6개(14.6%)순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