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ncy density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1초

재난·재해 상황을 대비한 클러스터링 분석 기반의 도로링크별 취약성 평가 연구 (Vulnerability Evaluation by Road Link Based on Clustering Analysis for Disaster Situation)

  • 탁지훈;홍정열;박동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9-43
    • /
    • 2023
  • 재난 및 재해 상황시 이동관리전략을 신속히 마련하기 위해서는 특정 도로구간을 통행하는 교통류의 특징과 도로의 위상학적 구조 등을 사전에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도로관리자가 미시적 도로단위별로 취약성을 평가한 후 재난·재해 상황에 대비한 적절한 모니터링과 관리방안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 도로링크별 취약성 평가를 위하여 공간밀도, 시간점유율, 네트워크 매개중심성 지표를 제시하였으며, 거리 및 밀도기반 클러스터링 분석을 통하여 각 링크그룹별로 가지고 있는 시공간 및 위상학적 취약성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결과는 도로 링크를 집단별로 특성화하여 취약성을 관리하는 것에 활용될 수 있으며, 재난·재해 시 우선 통제지점 선정 및 최적경로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istributed Channel Allocation Using Kernel Density Estimation in Cognitive Radio Networks

  • Ahmed, M. Ejaz;Kim, Joo Seuk;Mao, Runkun;Song, Ju Bin;Li, Husheng
    • ETRI Journal
    • /
    • 제34권5호
    • /
    • pp.771-774
    • /
    • 2012
  • Typical channel allocation algorithms for secondary users do not include processes to reduce the frequency of switching from one channel to another caused by random interruptions by primary users, which results in high packet drops and delays. In this letter, with the purpose of decreasing the number of switches made between channels, we propose a nonparametric channel allocation algorithm that uses robust kernel density estimation to effectively schedule idle channel resources. Experiment and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both random and parametric channel allocation algorithms in terms of throughput and packet drops.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 평가 기준에 의한 울산항 정박지 개선 방안 (Improvement Plan for Ulsan Anchorage Based on Adequacy Evaluation Criteria)

  • 박준모;윤귀호;강민균;이윤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47-255
    • /
    • 2021
  • 울산항 정박지는 정박지 수요 대비 충분한 넓이의 면적이 확보되어 있지 않으나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정박지 밀집도와 가동률 개념의 문제점을 개선한 일반식과 정박지 적정성 평가를 위한 새로운 평가 기준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기준을 울산항 E 정박지에 적용하여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울산항 E1 정박지의 밀집도와 가동률은 각각 129 %, 122 %로 두 평가 기법 모두 100 %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평가 기준에 따라 정박지 확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울산항 입출항 선박의 통항 패턴과 도선지점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울산항 제1항로 끝단에서 부채꼴 모양으로 35도를 개방한 정박지 확장 방안을 제시하였고, 해상교통 항적도, 정박지 밀집도, 그리고 가동률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적정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울산항 E3 정박지 남측의 확장 해역과 해상교통 항적이 일부 겹치는 부분은 존재하나 매우 미미하여 해상교통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정박지 모두에서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이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가구형 집합주택의 거주후평가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Block Housing of Korea and Japan by Post Occupancy Evaluation)

  • 박중현;강부성;김진욱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111-118
    • /
    • 2009
  • In modern Asia major cities had same problem with lack of affordable housing for families. So they had to concentrate to the mass supply of housing and made some physical counter effects like high density of cities, limitation of parking space. Also people who lived in those cities could suffer from broken traditional community culture. To rebuild traditional community and increase land usage, Block housing is suggested as a new kind of multi-family housing for old town redevelopment. Now some governments are trying to make urban code to give some initiative for new block housing development in old city blocks. They expect this new housing type can help to solve serious problems like lack of parking area, green space and context of block. Also they hope that block housing development can help to increase safety of town and reduce cost of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process of Block Housing and to confirm the aspect which has been changed with urban organization together. Al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intentional characteristic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comparison of Korea and Japan. And as a result we could find critical physical viewpoint, and provide considerations for future study and plan. Several cases of block housing in Korea and Japan were reviewed for comparative study and Post Occupancy Evaluation (POE) survey was examined to find satisfaction factors and problems which were expected to improved.

아파트와 초고층주거복합건축물의 거주성 조사 연구 (Post-Occupancy Evaluation on Amenity of Apartments and High-rise Residential Complex)

  • 복나영;강부성;김진욱;이해진;심규명;김은아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5-120
    • /
    • 2009
  • Since the middle of 1990,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 has been started to construct to fulfill the use of high density land use. In addition, it bacame a major solution for a rehabilitation project to achieve a high volume ratio, which in turn brings a good business. In this study, POE is applied to secure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 between Apartment and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 Also life style differences are investigated between the two type of complexes. It was resulted that recent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 is quite acceptable in most respects, however interior vetillation and direct wind flow from living space through dining - kitchen to ease the cooking scent is not a satisfactory level. These two factors are most highly demanded for future design of High Rise Complex in considering specialties in our cultural life style.

  • PDF

도시고속도로 기본구간의 서비스수준별 중차량 영향 분석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Heavy Vehicles in Urban Freeway Basic Section)

  • 김태헌;노창균;손봉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5-83
    • /
    • 2012
  • 동일한 수의 중차량 비율이 도로 용량에 미치는 영향이 고속도로 소통상태가 원활한 서비스수준 A와 그렇지 않은 서비스수준 E의 경우에 따라 같지 않음이 지적되고 있다. 우리나라 고속도로 용량산정 방법 역시 고속도로 운영 상태를 고려하지 않으며 중(重)차량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속도로 소통 상태별 중차량 비율이 도로 용량에 미치는 수준을 기초 시험 수준에서 진단한다. 서울 동부간선도로에서 총 15일 (360시간)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15분단위로 가공하여 분석하였다. 중차량 비율이 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각 서비스수준별로 분석한 결과, 현재의 용량산정방법은 서비스수준 B~C에서 용량이 과소 추정되고, 서비스수준 E에서는 용량이 과대 추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현재의 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한 방안과는 달리 고속도로 소통상태를 반영하여 중차량 보정계수가 적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레이더검지기의 차량궤적 정보기반의 고속도로 밀도산출방법에 관한 비교 (Comparison of Estimation Methods for the Density on Expressways Using Vehicular Trajectory Data from a Radar Detector)

  • 김상구;한음;이환필;김해;윤일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17-125
    • /
    • 2016
  • PURPOSES : The density in uninterrupted traffic flow facilit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presenting the current status of traffic flow. For example, the density is used for the primary measures of effectiveness in the capacity analysis for freeway facilities. Therefore, the estimation of density has been a long and tough task for traffic engineers for a long time.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density values that were estimated using VDS data and two traditional methods, including a method using traffic flow theory and another method using occupancy by comparing the density values estimated using vehicular trajectory data generated from a radar detector. METHODS : In this study, a radar detector which can generate very accurate vehicular trajectory within the range of 250 m on the Joongbu expressway near to Dongseoul tollgate, where two VDS were already installed. The first task was to estimate densities using different data and methods. Thus, the density values were estimated using two traditional methods and the VDS data on the Joongbu expressway. The density values were compared with those estimated using the vehicular trajectory data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of density estimation.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mean speed and density were drawn using two sets of densities and speeds based on the VDS data and one set of those using the radar detector data. CONCLUSIONS : As a result, the three sets of density showed minor differences when the density values were under 20 vehicles per km per lane. However, as the density values become greater than 20 vehicles per km per lane, the three method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n another. The density using the vehicular trajectory data showed the lowest values in general. Based on the in-depth study, it was found out that the space mean speed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calculation of density. The speed estimated from the VDS data was higher than that from the radar detector. In order to validate the difference in the speed data, the traffic flow models us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pace mean speed and the density were carefully examined in this study. Conclusively, the traffic flow models generated using the radar data seems to be more realistic.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요소의 성능분석 및 개선방안 (Performanc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National Fire Safety Code elements of Sprinkler System)

  • Oh, Taekhum;Lee, Jungil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413-42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대상물에서의 화재발생 시 인명피해 발생통계를 통하여 화재안전기준 요소의 성능을 분석하고 국내 화재안전기준 요소와 미국의 NFPA 13의 기준과의 비교를 통하여 성능을 분석함으로써 합리적이고 공학적인 화재안전기준 제정으로 인명 및 재산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미국의 경우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화재 당 사망률이 83 % 정도 낮았으나 국내의 경우 280 % 정도로 미국의 경우보다 3.37 배 높았다. 이와 같은 소화성능의 결여는 일률적인 용도분류, 화재하중을 고려하지 않은 수원의 양, 살수밀도를 고려하지 않은 기준개수 및 수평거리에 따른 스프링클러설비의 설치가 그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실시간 영상처리를 이용한 개별차량 추적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Real Time Video Image Processing System for Vehicle Tracking)

  • 오주택;민준영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9-31
    • /
    • 2008
  • 영상처리시스템(VIPS: Video Image Processing System)은 실시간으로 들어오는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하나의 카메라로 여러 차로를 동시에 감시할 수 있는 알고리즘으로 교통량, 속도뿐만 아니라 밀도 및 점유율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영상검지시스템으로 상용화 제품은 Tripwire시스템으로 검지영역의 픽셀 변화량으로 차량검지를 하나, 이는 교통량, 속도 등 단편적인 정보에 국한될 수 밖에 없다. 반면, 영상검지시스템이 개별차량에 대한 추적시스템으로 개발할 경우 사고 및 차로 변경의 위험요소 감지 등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논문은 컴퓨터비전 기술을 이용하여 Tripwire에서 수집할 수 있는 교통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는 개별차량의 추적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 시스템을 실제 도로영상에 적용하여 상용화된 시스템과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성능검증을 하였다.

  • PDF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의 선큰 재실자밀도 분석 (The Occupant Load Density of Sunken Area in Multiple Occupancy Building with Underground Facility)

  • 김운형;김종성;이용재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80-81
    • /
    • 2013
  • 최근 제정 시행되고 있는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화재위험성이 높은 지하 공간의 경우, 아직까지 관련 규정의 근거가 미약하여 현실적인 피난안전 설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난 계획을 위한 로우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현재 사용 중인 선큰을 대상으로 실제 유동인구를 측정하여 재실자 밀도를 분석하였다. 선큰으로 연결되는 출입구들의 유동인구와 함께 유동계수를 측정하였으며 선큰내의 재실자 밀도 산정을 통하여 선큰의 대피기능을 위한 연구 진행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