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servation Features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41초

양초 연소 탐구 과제 상황에서 초등 예비교사가 생성한 관찰 및 가설의 오류 특성 - 학습자의 선행 지식의 활용을 중심으로 - (The Features of the Observation and the Hypothetical Faults Generat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Candlelight Inquiry Tasks - Focusing on Usage of the Participants' Prior Knowledge -)

  • 오창호;양일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2호
    • /
    • pp.93-10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ior knowledge and processes of observations and hypotheses generation via analysis of descriptive fault patterns during observation, problem generation and hypotheses generation process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rty-four undergraduate students were participated and descriptions of participants' responds were analyzed. As the result, four patterns of descriptive fault on the process of generating hypothesis were classified; 1) descriptive fault from the causalities, 2) descriptive fault from repetition of observational facts, 3) descriptive fault from the priority of prior knowledge, and 4) descriptive fault from negation of the observational facts. From the result, the researcher was able to explore the faults caused by pre-service elementary students' prior knowledge through the observational descriptive analysis with hypothetical descriptive analysis.

  • PDF

공간사용자의 본능적 시선탐색활동에 나타난 주사경로 알고리즘 특성 (The feature of scanning path algorithm shown at natural visual search activities of space user)

  • 김종하;김주연
    • 감성과학
    • /
    • 제17권2호
    • /
    • pp.111-122
    • /
    • 2014
  • 본 연구는 지하철 로비공간을 대상으로 한 주시실험을 통해 공간정보의 본능적 시선탐색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시특성에 나타난 주사경로 알고리즘을 분석하였다. 주시기간 구간별 분석에서 주시시간이 오래 경과할수록 주사유형 횟수가 증가하고 있었는데, 오래 주시할수록 주시단절이 많이 일어난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며, 주시에 따른 피로나 활발한 탐색이 자연스러운 공간탐색과정에서 일어나는 과정에서 화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시간구간의 변화에 따른 주사유형의 변화를 추세선으로 살펴본 결과, "집중"은 시간구간의 증가와 함께 가파른 증가, "대각 수직"은 완만한 증가를 보이는 반면, "순환 혼합 수평"은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공간을 주시한 피험자의 주시데이터에는 다양한 시각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주의집중"에 나타난 주사유형을 분석한 결과, 이상과 같은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사유형의 증감특성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주사경향을 파악함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입자의 실시간 관측이 가능한 임팩터의 설계 및 성능해석 (Real -time Observation on Airborne Particles with Visual Impactor)

  • 육세진;안강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7-76
    • /
    • 2003
  • Recently consideration of health and interest on bio aerosols have been growing steadily. In this study, inertial impactor, which can be used to collect airborne particles and bio aerosols, was newly devised for real-time observation on the particles collected on impaction plate. and named Visual Impactor. Flow field and particle trajectory in the space between nozzle and impaction plate was analyzed numerically, and the collection effciencies were calculated. Calibr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Visual Impactor was conducted with polydisperse aerosols generated from 0.1% sodium chloride solution. Cut-off diameter from numerical simulation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at from experimental results. Because of particle bounce and particle deposition on nozzle tip due to short jet-to-plate distance, the collection efficiencies from numerical and experimental analyses were different slightly. Visual Impactor was used to collect airborne particles, and the features of collected particles could be seen in real-time. Airborne particles in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fine, cloudy, and rainy) were sampled and compared one another The features of collected airborne particles were dependent strongly upon relative humidity. In addition, with hours elapsing, shapes and colors of collected particles were changed by evaporation and surface tension, etc.

장부병 변증에 대한 형상의학적 고찰 (Diseases of Jang and Bu in Hyungsang Medicine)

  • 김경철;이용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85-594
    • /
    • 2003
  • Clinical observation on the diseases of Jang(臟) and Bu(腑) comes to the conclusions as follows: Variation in Jang(臟) and Bu(腑) exists diversely with every man because man is a microcosmos resembling the great universe, 'Mother Nature'. If the patient has a distinctive features of Jang(臟) and Bu(腑) in configuration, the diseas must be caused by the problems of Jang(臟) and Bu(腑). Distinctive features of Jang(臟) and Bu(腑) can be recognized by the shape and color of face, ear, eye, mouth and nose. Distinctive features of Jang(臟) and Bu(腑) should be examined preferentially when it comes to old people, children and persons who have past record of surgical operation on Jang(臟) and Bu(腑) organs.

Mass constraints of coronal mass ejection plasmas observed in EUV and X-ray passbands

  • 이진이
    • 천문학회보
    • /
    • 제36권1호
    • /
    • pp.39.1-39.1
    • /
    • 2011
  • Coronal mass ejection (CME) plasmas have been observed in EUV and X-ray passbands as well as in white light. Mass of CME has been determined using polarized brightness observed by the Large Angle and Spectrometric Coronagraph Experiment (LASCO) on board Solar and Heliospheric Observatory (SOHO). Therefore, this mass obtained from the LASCO observation indicates the total CME mass. However, the mass of CME plasma in different temperatures can be determined in EUV and X-ray passbands using observations by SOHO/EIT, STEREO/EUVI, and Hinode/XRT. Prominence/CME plasmas have been observed as absorption or emission features in EUV and X-ray passbands. The absorption features provide a lower limit to cold mass. In addition, the emission features provide an upper limit to the mass of plasmas in temperature ranges of EUV and X-ray. We determine the mass constraints using the emission measure obtained by assuming the prominence/CME structures. This work will address the mass constraints of hot and cold plasmas in CMEs, comparing to total CME mass.

  • PDF

그래프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다중 관측소 기반 지진 이벤트 분류 (Multi-site based earthquake event classification using graph convolution networks)

  • 김관태;구본화;고한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15-621
    • /
    • 2020
  • 본 논문은 다중 관측소에서 측정된 지진 신호를 이용한 그래프 합성곱 신경망 기반 지진 이벤트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딥러닝 기반 지진 이벤트 분류 방법은 대부분 단일 관측소에서 측정된 신호로부터 지진 이벤트를 분류한다. 지진 관측망에는 수많은 지진 관측소가 존재하며 하나의 관측소만 사용하는 방법보다 여러 관측소의 정보를 동시에 활용하는 방법이 지진 이벤트 분류 성능 향상을 이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관측소에서 측정된 지진 신호들에 합성곱 신경망을 적용해 임베딩 특징을 추출한 후 그래프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해 단일 관측소들 사이의 정보를 융합하는 다중 관측소 기반 지진 이벤트 분류 구조를 제안한다. 관측소의 개수 변화 등 다양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모델의 성능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하는 모델이 단일 관측소 기반 분류 모델보다 약 10 % 이상의 정확도와 이벤트 재현율 성능 향상을 보여주었다.

Data Reduction Pipeline for the MIRIS Space Observation Camera

  • 표정현;김일중;박원기;정웅섭;이대희;문봉곤;박영식;박성준;박귀종;이덕행;남욱원;한원용
    • 천문학회보
    • /
    • 제38권1호
    • /
    • pp.74-74
    • /
    • 2013
  • Multi-purpose Infra-Red Imaging System (MIRIS) is the main payload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Satellite-3 (STSAT-3) to be launched in the late half of this year. For the Space Observation Camera (SOC) of MIRIS, we developed the data reduction pipeline with Python powered by Astropy, a community Python library for astronomy. The pipeline features the following functionalities: i) to retrieve the raw observation data from database and convert it to a FITS format, ii) to mask bad pixels, iii) to correct the non-linearity, iv) to differentiate the frames, v) to correct the flat-field, vi) to correct focal-plane distortion, vii) to improve the world coordinate system (WCS) information using known point-source catalog, and viii) to combine the sequentially taken frames. The pipeline is well modularized and has flexibility for later update. In this poster, we introduce the details of the pipeline's features and the future maintenance plan.

  • PDF

연암의 자연 사물 관찰과 글쓰기 양상 분석 연구: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 여행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Yeon-Am's observation of natural objects and writing: Centered on Yeon-Am's "Yorha Ilgi" travels)

  • 김다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716-727
    • /
    • 2014
  • 연암의 관찰법을 활용한 자연사물 글쓰기는 자연환경 관찰력을 배양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암의 "열하일기" 글을 대상으로 하여 연암이 활용했던 관찰법을 분석하였다. 연암의 관찰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연암의 관찰법은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관찰이다. 둘째, 오감을 활용한 관찰과 오감 활용의 위험성과 한계 인식이다. 셋째, 자연과 인간에 대한 평등 의식을 지닌 관찰이다. 연암은 자연을 인간과 같은 위치에서 바라보았다. 넷째, 부분적으로 관찰한 것들을 형상화 기법을 활용하여 생동감있게 그리고 현장감있게 묘사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다섯째, 다양한 관점을 활용한 다양성 발견 관찰이었다. 이러한 연암의 자연사물 글쓰기의 원천은 자연사물에 대한 세부적 관찰과, 교감, 형상화, 다양한 관점과 다양성 발견에 기반하고 있다.

  • PDF

외국 과학교육과정의 관찰과 측정 기준 분석 (An Analysis of Observation and Measurement Standards in Foreign National Science Curriculums)

  • 이봉우;김희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87-96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과학 교육에 나타난 탐구기준 중 관찰과 측정 기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미국 과학 교육 기준, 미국 캘리포니아주, 메사츄세츠주, 콜로라도주, 텍사스주, 네브라스카주, 버지니아주, 플로리다주, 영국, 싱가포르, 캐나다 앨버타주, 호주 빅토리아주, 뉴질랜드의 과학교육 과정에 나타난 탐구 기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것을 발견하였다. 외국 교육 과정은 관찰 요소에서 관찰의 정확성, 관찰 과정에서의 신중함과 체계성, 오감의 사용, 관찰 도구의 사용, 관찰에 대한 이해의 5가지 특징적인 세부 기준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측정 요소에서는 측정의 체계성과 정확성을 강조하고, 측정 대상을 명시하였으며, 측정 도구를 학년별로 제시하였고, 측정에서 적합한 단위의 사용을 강조하는 4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 PDF

한반도 연안에서의 12.5 km 해상도 QuikSCAT 해상풍 검증 (Validation of QuikSCAT Wind with Resolution of 12.5 km in the Vicinity of Korean Peninsula)

  • 정진용;심재설;이동규;민인기;권재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47-58
    • /
    • 2008
  • Several validation studies have been made for QuikSCAT(QSCAT) wind data around the world, mainly in the offshore. However, until now, there were no validation studies for QSCAT wind with resolution of 12.5 km ('QSCAT 12.5 km wind') in the vicinity of Korean Peninsula. To validate 'QSCAT 12.5 km wind' and to investigate its characteristics around Korean Peninsula, the wind data from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KMA buoys, and KORDI Realtime Observation Stations have been compared. Validation results showed that 'QSCAT 12.5 km wind' RMSE of wind direction and speed were $25.85^{\circ}$ and 1.83 m/s, respectively, at Ieodo Station. The mean wind speed correlation coefficient of KMA buoys and KORDI Realtime Observation Station were 0.78 and 0.61, and the mean wind speed RMSE were 2.2 m/s and 3.2 m/s, respectively. This seems to be mainly because of the distance between QSCAT and in-situ observation stations. The RMSE of wind direction were bigger than $40^{\circ}$ at all in-situ observation stations located near the shore, within 20 km from coastlines. Geophysical features where in-situ observation stations are located seem to affect wind validation sco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