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osa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2초

한방사료 첨가제인 어보산이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 의 성장, 사료 계수 및 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bosan Supplemented Diet on Growth, Feed Conversion Ratio and Body Composition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김동수;노충환;정성욱;조재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3-90
    • /
    • 1998
  • 사료에 한방 생약 제재인 어보산을 첨가하여 틸라피아의 성장을 향상시키고, 사료 계수의 개선을 통한 나일틸라피아의 양식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행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료내 어보산 첨가 농도에 따른 자어의 성장. 어보산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어체중 성장, 증체율, 일일 성장률 및 사료 계수가 향상되었다. 첨가구중에서는 0.25%, 0.5% 및 1.0% 첨가구가 2.0%에 비해 어체중 성장, 증체율, 일일 성장률이 높았고 사료 계수는 0.25%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2. 사료내 어보산 0.3% 첨가에 따른 중간 육성어 및 성어의 성장. 어보산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어체중 성장, 증체율, 일일 성장률및 사료 계수가 유의하게 좋았다. 3. 어보산이 첨가된 사료를 공급한 실험구의 체조성 분석. 실험어의 등 근육과 간의 단백질, 수분, 지방 및 회분 함량은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사료 첨가제로서 한약제가 참전복 치패의 성장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Herb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상민;박철수;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70-575
    • /
    • 2001
  • 우리나라의 주 양식 대상종인 참전복의 성장이나 육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배합사료의 첨가제로서 한약제인 어보산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대조사료와 한약제 첨가사료로 3회의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균체중 206mg, 827mg 및 432rng의 참전복을 대상으로 사료당 3반복으로 각각 10주간 (실험 1), 7주간 (실험 2) 및 19주간 (실험 3) 사육 실험한 결과, 모든 실험에서 생존율은 차이가 없었다 (P>0.05). 모든 실험에서 Obosan-C 첨가구의 체중 및 각장 성장은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평균체중 432mg의 치패을 대상으로 19주간 사육 실험 3의 경우에는 Obosan-O 첨가 실험구의 체중 및 각장 성장이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5). 실험 종료시 전복 가식부의 수분, 단백질 및 회분 함량은 각 실험에서 한약제 첨가구와 대조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 2에서 전복 가식부의 찌질 함량은 Obosan-C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갔을 보였다 (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배합사료에 Obosan-O 첨가는 참전복의 성장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한방사료 첨가제인 어보산의 효과 III. 시판 사료에 어보산 첨가시 넙치치어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 (Utilization of Dietary Herb Obosan III Growth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종현;문영봉;정창화;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1-238
    • /
    • 2000
  • 시판되는 넙치용 부상사료에 한방사료 첨가제인 어보산을 농도별 (0, 0.6및 1.2%)로 첨가한 후, 넙치의 성장, 사료효율, 비만도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 체중의 성장은 실험 8주 후부터 대조군과 첨가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기 시작하여, 실험종료시 첨가군들이 대조군에 비해 7.8~9.1% 더 증가하였다 (P<0.05). 실험 전 기간을 통해 어보산 첨가군들의 일일성장률은 대조군보다 5.9~7.1% 더 좋은 결과를 보였고, 첨가군들의 사료효율도 대조군보다 13.2-14.2% 더 향상됨을 보였으며, 실험종료시 비만도도 첨가군들이 대조군에 비해 3.2~3.5% 정도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0.05). 특히 어보산 첨가군들 간의 성장 결과에서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음으로써, 어보산의 넙치 부상사료에 대한 적정 첨가농도는 0.6%로 판명되었다. 어보산 첨가농도별 넙치용 부상 사료로 사육한 넙치의 혈액성상을 분석한 결과, 각 실험군간 유의적 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P>0.05), 혈청성분은 대조군과 어보산 첨가군들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어보산 첨가군들이 대조군에 비해 total protein과 glucose에서 높았고, total cholesterol, GOT와 GPT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P<0.05). 특히 혈청 GOT와 GPT에 있어 어보산 첨가군들은 대조군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P<0.05).

  • PDF

지질 및 콜라겐, Drip 량이 양식 및 자연산 도미와 넙치 육질의 경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pid and Collagen Content, Drip Volume on the Muscle Hardness of Cultured and Wild Red sea bream (Pagrosomus auratus) an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이경희;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2-357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ipid and collagen content and drip volume on the hardness of fish meat. Red sea bream (cultured and wild) and flounder (cultured, cultured with obosan and wild) were used for this study. Textural differences between cultured and wild meats were determined by the measurements of hardness, lipid and collagen content, and drip volume. Lipid content of the dorsal muscle was higher especially in cultured red sea bream (3.32%) than in wild one. Cultured and wild flounder contained lower content of lipid than red sea bream. The content of collagen was higher in cultured flounder fed with obosan (8.37 mg/g muscle) and wild flounder (8.02 mg/g muscle) than others. Drip volume was the highest in cultured flounder fed with obosan (8.67%). The hardness of raw meat was correlated with the contents of lipid (r= -0.7063) and collagen (r= 0.8307), significantly. Cultured fish contained more lipid and less collagen than wild one. So, the hardness of these fish meats was lower than wild one. However, cultured flounder fed with obosan showed no difference in hardness compared with wild one. In the cooked mea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hardness of fish meat and the contents of lipid and collagen. But, the drip volume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hardness (r= 0.6870). From these results, the factors contributing the textural difference between wild and cultured fish meat would be the lipid and collagen contents, and two ways to improve the texture of cultured fish meat could be suggested. One is to lower the lipid content by feed control, and the other is to raise the collagen content by inducing more fish movement.

  • PDF

한방사료 첨가제인 어보산의 효과 II. 어보산 첨가사료로 사육한 넙치의 육질에 대한 연구 (Utilization of Obosan (Dietary Herbs) II. Muscle Qualit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with Diet Containing Obosan)

  • 이경희;이영순;김종현;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9-325
    • /
    • 1998
  • 양식어류의 육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의 환으로, 한방사료 첨가제인 어보산(성암산업, 대한민국)으로 사육한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에 대한 관능 검사, 물성 및 정미성분 측정 등을 하여 육질을 평가하였다. 기호 검사 결과, 어보산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선호되었으며, 특히 어육의 질감 (P<0.05), 맛(P<0.01) 및 종합적인 선호도(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식별 검사에서도 어보산 첨가군의 육질은 대조군에 비해 광택(P<0.01), 경도 (P<0.05), 탄력성(P<0.01) 및 촉촉한 정도 (P<0.05)가 뛰어나고 결 (P<0.05)이 고우며 맛난 맛(P<0.01) 이 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어보산 첨가사료로 사육한 넙치의 근육 물성은 대조군에 비해 경도가 20.5% (P<0.01) , 탄력성이 9.3%(P<0.01) 그리고 응집성이 16.7% (P<0.05)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대조군 사료와 어보산 첨가사료로 사육한 넙치의 정미 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정미 물질로서 어육 추출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 아미노산 총량은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약 41.6% 더 많은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유리 아미노산 중 어육의 맛난 맛과 관련있는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및methionine 등의 총량은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약 38.6% 더 많게 나타났다. 핵산 관련물질 중 ATP의 양은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약 87.8%.더 많게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IMP의 양은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약 32.6%.더 적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어보산은 넙치의 육질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방사료 첨가제인 어보산의 효과 I. 넙치의 생존율, 성장, 사료효율 및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 (Utilization of Obosan (Dietary Herbs) I. Effects on Survival, Growth, Feed Conversion Ratio and Condition Factor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동수;김종현;정창화;이상윤;이상민;문영봉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3-221
    • /
    • 1998
  • 한방사료 첨가제인 어보산이 첨가농도별(0, 0.15, 0.3 및 0.6%) 넙치의 생존율 성장, 사료 계수 및 비만도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 생존율에 있어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해 7.7~15.5% 유의하게 높은값(P<0.05)을 보여 어보산이 넙치의 생존율 향상에 크게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체중의 성장은 실험 4중 후부터 대조군와 첨가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P<0.05), 0.3% 첨가군이 가장 높은 성장 증가 효과를 보여 대조군에 비해 27.5%나 더 성장하였다. 실험 전 기간을 통해 어보산 첨가군들의 일일성장률은 대조군보다 6.4~13.9% 더 좋은 결과를 보였고(P<0.05), 첨가군들의 사료계수도 대조군보다 11.3~26.5% 더 낮아 사료효율이 향상됨을 보였다(P<0.05). 실험종료시 비만도는 0.3% 및 0.6%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3.9% 및 2.9% 더 향상되어(P<0.05), 성장 및 사료계수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0.3%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임으로써, 어보산의 넙치 MP 사료에 대한 적정첨가농도는 0.3% 판명되었다. 0.3%의 어보산 첨가사료를 48주간 장기간 공급하였을 때 넙치의 생존율, 성장, 사료효율 및 비만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어보산 첨가군의 생존율은 대조군에 비해 앞서의 실험 결과와 같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체중의 성장은 실험 8중부터 유의한 차이가 나기 시작하여(P<0.05), 실험종료시 첨가군(평균 1,024 g)은 대조군(평균 860 g)에 비해 약 19.0%의 체중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일일성장률과 사료 효율도 첨가군이 각각 4.8% 및 13.6% 더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P<0.05), 실험종료시 첨가군의 비만도도 약 10.8% 더 높게 나타났다(P<0.05).다. Alcohol과 lactone은 저장 중 감소되고 ketone은 증가되었다. 그 이상 AsA가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해 비교적 그 효과가 미흡하였다. 본 실험연국려과에서 옛부터 약재, 식품 보존제로 이용되어온 당귀는 메탄올 및 헥산 분배층에서 인채암세포 4종에 대해 항암효과가 뚜렷하였고 HepG2 세포주에서는 에탄올과 헥산 분배층에서 암예방효과의 지표로 사용되는 quinone reductase 효소활성 유도효과가 아주 좋았으므로 보다 단계적인 물질의 분리 동정이 이루어져 향후 당귀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뿐 아니라 암예방 차원의 건강 천연물로서의 개발 및 응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종한 후 참지 추출물을 투여한 생쥐에서 용혈반 형성 세포수와 혈청 단백질 중 immunoglobulin의 relative %가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비장의 자연 살해 세포의 활성에는 변화를주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참치의 석유 에델 추출물중에 in vitro에서 인체 장암세포 및 백혈병성 임파모세포의 증식 억제 및 생체내에서 면역 증강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심으로 살펴봄으로서 아직 국내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본 기 술의 활용을 넓이고자 한다. within minimum time from beginning of the shutdown.및 12.36%, $101{\sim}200$일의 경우 12.78% 및 12.44%, 201일 이상의 경우 13.17% 및 11.30%로 201일 이상의 유기의 경우에만 대조구와 삭제 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는 담수(淡水)에서 10%o의 해수(海水)로 이주된지 14일(日) 이후에 신장(腎臟)에서 수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30%o의 해수(海水)에 적응(適應)된 틸라피아의 평균 신사구체(腎絲球體)의 면적은 담수(淡水)

  • PDF

양식 및.자연산 도미와 넙치 어육 중의 핵산관련물질의 변화 (Changes of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Cultured and Wild Red Sea Bream and Flounder muscle)

  • 이경희;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17-522
    • /
    • 2001
  • Changes of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raw, cooked and frozen fish muscle were studied with HPLC. Red sea bream(cultured and wild) and flounder(cultured, cultured with Obosan(equation omitted) and wild) were used for this study. In nucleotides, contents of ATP was similar to that of IMP and some of H$\times$R(inosine) and H$\times$(hypoxanthine) were existed in fresh muscle. ATP was decomposed rapidly and contents of IMP became different between cultured and wild fish after 6 hours. The content of IMP was lower in the cultured red sea bream(3.39$\mu$ mole/g) and flounder(3.17$\mu$ mole/g) than in the wi1d red sea bream(7.31$\mu$ mole/g) and flounder(5.03$\mu$ mole/g). But, the flounder cultured with Obosan contained the largest amounts of IMP After 24 hours, K values of cultured fish muscle(27.7%, 28.2%) were higher than that of wild ones(22.8%, 24.3%). The K value of cultured flounder fed with 0.3% Obosan(equation omitted)(25.7%) was between cultured and wild flounder. IMP was the one which existed the most in cooked and frozen muscle. Amounts of H$\times$R and H$\times$ were more in cooked and frozen muscle. than in raw muscle. From these results, we could suggest that the wild one was more palatable and fresher than the cultured one and the palatability of cultured one seemed to be improved depanding on the feed.

  • PDF

양식 및 자연산 도미와 넙치 어육 중의 콜라겐 DSC 측정 및 근육 조직 관찰 (Observation of Muscle Structure and DSC Measurement of Collagen of the Cultured and Wild Red Sea Bream and Flounder.)

  • 이경희;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49-554
    • /
    • 2001
  • Thermal measurements were made for connective tissues of 5 different fish muscles by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 and connective tissues between muscle fibers and the cross sections of muscle fibers were observed by a light microscope. Red sea bream(cultured and wild) and flounder(cultured, cultured with obosan and wild) were us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nnective tissues of cultured and frozen fish muscle required less endothermic enthalpy and the endothermic peak temperature was lower than those of wild and fresh ones when they were shrunken and denatured. Therefore, it is likely that the former are more unstable to heat than the latter. The cultured flounder fed with obosan and wild flounder which contained more collagen than cultured flounder and the wild red sea bream showed clear connective tissues between fibers. The cross-section of cultured fish muscle fiber was larger than that of wild one. From these results, collagen content and thermal properties of collagen, cross section of muscle fibers seemed to contribute to the textural difference between wild and cultured fish.

  • PDF

배합사료에 미역, 어보산 및 고추냉이 첨가가 넙치 치어의 성장, 체성분, 혈액성상 및 비특이적 면역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upplemental Undaria, Obosan and Wasabi in the Experimental Diets on Growth, Body Composition, Blood Chemistry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박상언;권문경;이윤호;김경덕;신일식;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10-215
    • /
    • 2003
  • 넙치 치어 배합사료의 첨가제로서 미역 분말, 어보산 및 고추냉이의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평균 체중 8.4g 의 넙치를 각 수조마다 30마리씩 3반복으로 수용하여 미역 분말, 어보산 및 고추냉이를 첨가한 6종류의 사료로 8주간 사육하였다. 생존율은 모든 실험구가 95% 이상이었으며, 증중량과 사료효율은 어보산 첨가구가 가장 높았지만 미역 분말 10% 첨가구를 제외한 타 실험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일사료 섭취율은 미역분말 10%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P<0.05). 단백질효율은 어보산 첨가구가 미역 분말 첨가구 및 고추냉이 줄기 첨가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지만(P<0.05), 대조구 및 고추냉이 잎 첨가구와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만도는 어보산 첨가구가 가장 높았지만 미역 분말 10% 첨가구를 제외한 타 실험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간중량 지수는 미역 분말 첨가구가 타 실험구에 비해 낮았다(P<0.05).실험 종료시 전어체의 수분, 단백질, 지질 및 회분함량은 모든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의 수분 함량은 미역 분말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반면, 지질 함량은 가장 낮았다(P<0.05). 혈액 성상 및 혈청 성분은 사료의 첨가제에 따른 특별한 변화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혈청 라이소자임 활성은 미역 분말 5% 및 어보산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식세포의 활성은 어보산 첨가구와 고추냉이 줄기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이상의 결과로 볼 때, 배합사료에 어보산 첨가는 넙치 치어의 성장을 개선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미역, 어보산 및 고추냉이 줄기의 첨가는 넙치 치어의 비특이적 면역계 활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supplemental undaria powder, herb and wasabi in the diets on growth, body composition, blood chemistry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Park, Sang-Un;Kwon, Mun-Gyeong;Lee, Yoon-Ho;Kim, Kyoung-Duck;Shin, Il-Shik;Lee, Sang-Min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74-75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veral additives(macroalgae, wasabi, and herb) in formulated diets on the growth, body composition, blood chemistry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juvenile flounder. Three replicates of juveniles (average weight 8.4 g) in flow-through aquarium system were fed one of six isonitrogenous (45%) and isolipidic (8%) diets containing 5 and 10% Undaria powder, 2% wasabi leaf, 2% wasabi stem, and 0.5% herb (Obosan) for 8 weeks. Survival was not affected by the different dietary additives (P>0.05). The highest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offish fed the diet containing 0.5% herb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10% Undaria powder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lipid and ash of whole body (P>0.05).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10% Undaria powder showed the highest moisture and the lowest crude lipid contents in the liver. Although hematological parameters (red blood cell, hematocrit and hemoglobin) and serum constituents (glucose, total cholesterol and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contents of fish varied between treatments, no specific trend was observed throughout feeding periods. Lysozyme activity in the serum and nitroblue tetrazolium reduction of macrophage in the head kidney from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herb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control die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erb as an additive in this formulated diet may improve growth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juvenile flound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