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esity intervention program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5초

여성노인의 고혈압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 체질량 지수 및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hysical Activity, Body Mass Index and Depression on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Hypertension in the Elderly Women)

  • 김애실;배한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543-553
    • /
    • 2020
  • 본 연구는 2018년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이용한 2차 자료 분석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여성노인의 신체활동, 체질량지수,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자는 고혈압 진단을 받은 여성노인 550명, 고혈압 진단을 받지 않은 여성노인 375명으로 구성되었다.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 t-tes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다중 선형 회귀 분석결과, 고혈압군에서 나이, 교육, 신체활동, 체질량 지수,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예측인자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26.9%였다(F=14.30, p<.001). 즉 신체활동량이 많을수록(t=3.02, p=.003), 체질량 지수가 낮을수록(t=-3.12, p=.002), 우울이 낮을수록(t=-7.69,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 반면, 비고혈압군에서 교육과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인자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31.7%였다(F=5.37, p<.001). 즉, 우울이 낮을수록 (t=-5.53,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고혈압 질환을 갖고 있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다른 구체적 신체활동의 특성을 비교하는 연구와 여성노인의 우울 및 비만 감소를 위한 신체활동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심혈관질환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한식식이조절 영양교육이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diet control nutrition education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patients who underwent cardiovascular disease surgery)

  • 정수진;채수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3호
    • /
    • pp.215-227
    • /
    • 2018
  • 본 연구는 심혈관질환으로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 15명 대상에게서 12주 동안 한식으로 식이조절 교육을 통해 한식 섭취가 증가하고 이를 통해 CVD 위험인자 및 약물 투여량의 변화,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0.7{\pm}2.5$세로 최근 3년 이내에 심혈관질환 수술을 받고 지속적으로 심혈관질환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였다. 2. 대상자의 한식 식이조절 교육 순응도 점수는 교육 전 $35.8{\pm}0.9$점에서 교육 후 $43.0{\pm}1.2$점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p < 0.001), 이는 한식 섭취를 적극적으로 실천하였음을 시사한다. 3. 대상자의 비만지표인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교육 후,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허리둘레 (p = 0.002) 및 허리 엉덩이둘레비인 WHR (p < 0.001)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4. 대상자들의 혈당조절 지표인 HbA1c는 교육 전 $7.3{\pm}1.0%$에서 교육 후 $7.0{\pm}1.1%$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5. 대상자들의 항고혈압제약물의 투여량 변화는 교육 전 2.1개에서 교육 후 1.7개로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혈압은 정상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항당뇨병 약제 복용량은 유의적인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안정된 상태로 적절한 혈당을 유지함과 동시에 혈당 조절 지표인 당화혈색소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혈당조절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한식 식사유형인 음식군별 섭취량의 변화는 교육 전에 비해 교육동안에 전곡류로 지은 밥 중심의 식사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p = 0.018), 채소류인 나물류 (p = 0.007), 김치 (p < 0.001) 및 전통 콩발효 양념 (p < 0.001) 등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7. 대상자들의 영양소 섭취는 일일 에너지 섭취량은 변화가 없었으나 교육 전보다 교육 동안에 동물성급원식품에서 유래한 동물성 단백질과 지질 및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 (p < 0.05)한 반면 나트륨 (p = 0.019), 칼륨 (p = 0.028), 식이섬유 (p < 0.050), 비타민 A (p = 0.028), 비타민 C (p = 0.010) 및 엽산 (p < 0.001)의 섭취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적극적인 한식 섭취를 권장하고 장려하는 식이조절교육 중재는 심혈관질환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영양소 섭취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인 비만지표, 혈당조절 지표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교육에 참여한 대상자가 15명으로 다소 적었으며 단기 교육에 의한 전후 비교 평가에 의한 것으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 장기간의 교육과 대조군이 있는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들의 건강문제와 컴퓨터 게임 요구도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for the Correlations between health Problems and Computer Game Needs in the Elderly)

  • 임경춘;이윤정;안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75-486
    • /
    • 2009
  • 만성질환 및 비만 관리와 낙상예방 등을 위한 간호중재의 하나로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데, 운동게임 등의 기능성 게임을 질병예방 교육과 치료보조, 재활 등에 응용하는 방안은 점차 중요영역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건강문제와 컴퓨터 게임요구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한 횡단적 조사 연구이다. 훈련된 연구보조원들의 면접조사와 전문조사기관의 온라인조사 결과 778명(평균 연령: $61.4\;{\pm}\;5.6$)의 대상자가 참여하였는데, 그 중 68.6%가 남자였다. 분석결과 남성(55.4%), 고졸이하(66.2%), 2명 이하의 가족수(32.5%), 월평균 35만원 이상(40.1%), 경증 우울증(51.7%), 온라인 응답자(68%) 그룹에서 게임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게임을 통해 신체적 제약을 극복하고 싶어했다. 상관성 분석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컴퓨터 이용 경험이 있을수록, 컴퓨터/인터넷 활용이 능숙할수록 운동게임이나 기능성 게임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노인그룹을 위한 여가활용 차원에서의 즐거움과 건강증진의 효과를 모두 가져올 수 있는 노인용 기능성 게임이 개발된다면 노인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비만성인의 건강관련 행위 -Johnson의 행위체계 모형 적용- (Health Behavior of the Obese Adult - Based on the Johnson's Behavioral System Model)

  • 김정희;윤순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77-288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behavioral subsystems of the obese adult and contribute to the utility of Johnson's Behavioral System Model. The subjects were 167 obese adults in out-patients clinics of 2 hospitals and health clinics for 4 companies. These data were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52 items from July 1 to Sep. 30, 1995.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modified from the DBSM -self reporting instrument (1983) and Grubbs(1980)'s. The reliability of this method was cronbach's ${\alpha}$=.8476 and the construct validity of it was accepted by using a factor analysis. Thes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Kruskal-Wallis with an SPSS P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9 behavioral subsystems of the obese were indentified : sex-related, attachment-affiliative I(social), dependency, ingestive, eliminative, restorative, aggressive-protective, attachment-affiliative and II (familial), an achievement behavioral subsystem. 2. Out of 9 subsystems, the highe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pendency and acheivement subsystem was found(r=.5357, p<.01), The next, attachment-affiliative I and attachment-affiliative II subsystem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r=.4526, p<.01).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x-related, achivement, attachment-affiliative I, II, dependency, restorative, and aggressive-protective subsystems were found. But, ingestive and eliminative subsystems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above seven subsystems significantly, only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gestive and eliminative subsystems was found. 3. The explained variance of the 9 subsystems was explained as 56.1% out of a total of one. The sex-related subsystem was the first factor explaining 16.3% of the total variance and then the next 8 factors which resulted in 39.8%.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were as follows: 1. In the nursing practice, nursing assessmentand intervention of the obese should be in cluded not only in ingestive and eliminative subsystems but also in sex-related, attachment-affiliative I, dependency, restorative, aggressive-protective, attachment -affiliative II, and achievement behavioral subsystem. 2. Concerning instruments, some items to measure the eliminative, dependency, and aggressive-protective behavioral subsystems with relatively reliability are needed. 3. Johnson's concept of a dependency subsystem should be clarified. 4. Correlation among the 7 subsystems, and the ingestive and eliminative subsystems should be clarified.

  • PDF

복합운동이 과체중 및 비만청소년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BDNF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BDNF in Obese Adolescents)

  • 신석민;김철형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231-1236
    • /
    • 2012
  • 비만은 여러 가지 질환을 유발하는데 이중에서도 뇌신경세포의 활성 및 생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과체중 및 비만 청소년의 BDNF 개선을 위한 운동 효과를 검증하고자 12주 복합운동에 따른 신체구성, 혈중지질, BDNF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과체중 및 비만 청소년 18명을 복합운동군 9명, 대조군 9명으로 무선표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통계적으로 집단간 차이를 보이며 체중(p<0.01), BMI (p<0.05), 체지방률(p<0.05), 체지방량(p<0.01)이 감소하고, 제지방률(p<0.05)이 증가하였다. 또한 TC와 LDL-C의 평균은 운동군이 대조군보다 더 많은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고, HDL-C는 두 집단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모두 집단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BDNF의 평균은 운동군이 대조군보다 더 많은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집단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12주 복합운동 프로그램은 과체중 및 비만 남자 청소년의 체중, BMI, 체지방률, 체지방량, 제지방률은 개선시킬 수 있으나 혈중 지질 및 BDNF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12주 복합운동 프로그램은 과체중 및 비만 남자 청소년의 체중, BMI, 체지방률, 체지방량, 제지방률은 개선시킬 수 있으나 혈중 지질 및 BDNF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만 중.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bese Students' Stress and Coping Method in Middle and High Schools)

  • 김이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32-745
    • /
    • 2001
  •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obese students' stress and coping method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total of 600 obese student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Pusan. The author us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March 2 to April 30. 2001.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with SPSS Win(10.0)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The instrument used for the obese students' stress and coping method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Yi-Soon and Kim. Young-Hae(200l). The tool was composed of 65 items (33stress items: 32coping method items) with the five-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average score of stress was 2.49 (SD = .86) points in the male students. and 2.83(SD= .86) points in the female students. The subcategories were: (outward appearance), (boyfriend/girlfriend), (occurrence of an outbreak of a disease), (relationship within the family), (an obese appearance), (difficulty in exercise). The highest degree of stress came from 'an obese appearance' for the male students (mean=2.64. SD=0.87) and (mean=2.64. SD=0.87) for the female students. 2. The subcategories of the coping method were: (be concerned about other matters), (recreation activities), (self-violence), (relaxation), (hobby activities), (avoid a situation), (communication), (music), (negative behavior), (positive thinking). The highest degree of coping method were (recreation activities) in the male students (mean=3.07. SD=0.86) and (music) in the female students (mean=3.47. SD=1.01). 3. The results comparing stress with demographic variables were significant for gender (t=7.010. p=0.000). grades at school (F=2.918. p=0.02l), degree of obesity (F=5.205. p=0.006). grades (F=2.550. p=0.027). standard of living(F=8.277. p=0.000). the state of health (F=2.882, p=0.022),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F=4.790, p=0.001),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F=6.080, p=0.000), and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father (F=3.192, p=0.013). 4. The results comparing the coping method with demographic variables were significant for gender (t=4.597. p=0.000).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degree of stress and the type of coping methods of obes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aids in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program for the obe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