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ak Wilt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8초

Pathogenesis of Oak Wilt Disease Caused by Raffaelea Species

  • Kim, Sang Woo;Yadav, Dil Raj;Adhikari, Mahesh;Um, Yong Hyun;Kim, Hyun Seung;Lee, Youn Su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8-18
    • /
    • 2015
  • Wilt disease in Oak trees occurs during summer season in Korea. Mass attack of trees by an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was the characteristic feature before appearance of the wilting symptoms. Raffaelea sp. caused the discoloration of xylem area called as wound heartwood. Raffaelea sp. was observed both on the body surfaces and inside the mycangia of the beetle Platypus sp.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alysis showed that fungal spores were present within the wall of gallery and vessels that formed tylo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water movement in vessels was blocked as the fungus started to grow which caused the formation of tyloses thereby resulting wilt symptoms. We found that both female and male beetle Platypus sp. had fungi on their bodies and their large and small mycangia.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ungus was transferred to oak trees by Platypus sp.

  • PDF

참나무시들음병 훈증목의 강도 성능 평가 (Evaluation of Strength Performance of the Fumigation Treated Wood Affected by the Oak Wilt Disease)

  • SONG, Dabin;KIM, Keonh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20-831
    • /
    • 2020
  • 참나무시들음병 고사목으로부터 피해확산을 막기위해 주로 훈증처리 방법을 이용한다. 훈증처리에 따른 신갈나무 피해목의 강도적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훈증처리목재의 압축성능과 휨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훈증처리목재는 약 9개월 간 네마섹트(Metam-sodium)로 훈증처리하였다. 참나무시들음병 훈증처리목재의 기건 종압축강도는 58.87 MPa, 압축탄성계수는 5.66 GPa로 측정되었으며 건전목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혼증목의 성숙재부 강도성능은 미성숙재부보다 16% 더 높은 강도값을 보였다. 참나무 건전목의 압축파괴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나타나지만 훈증처리목재의 경우 대부분 전단형 파괴형상을 보였다. 훈증처리목재의 휨강도는 157.43 MPa로 건전재보다 8% 높게 측정되었고 휨 탄성계수는 16.38 GPa로 건전재보다 16% 낮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훈증처리목재의 휨강도성능치에 대한 변동계수는 건전목보다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광릉긴나무좀(Coleoptera: Platypodidae)의 수간내 분포와 참나무 피해 (Tree Trunk Level Distribution of Entry Hole by Platypus koryoensis (Coleoptera: Platypodidae) and Its Implication to Tree Damage)

  • 최원일;이정수;최광식;김종국;신상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7-131
    • /
    • 2008
  • 참나무시들음병의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 Platypus koryoensis(Murayama)은 한국에서 참나무시들음병원균인 Raffaelea sp.를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나무시들음 발병정도는 광릉긴나무좀의 밀도에 의존적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樹幹)내 천공수와 집중도가 참나무 피해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락산 피해지에서 고사목 6그루와 피해목 28그루의 신갈나무의 피해정도, 단위면적당 천공수, 천공간 최근거리를 수간의 상부(지표로부터 50cm)와 하부(지표면)에서 조사하였다. 상부와 하부에서의 천공수는 양의 상관을 보였으며 천공간 최근거리 또한 같은 경향을 보였다. 천공수가 증가할수록 수목의 피해도가 심하였으나 수목의 피해도가 심할수록 천공간 최근거리는 감소하였다. 천공의 분포도 수목의 피해도가 증가할수록 집중분포에서 군일분포로 바뀌었다. 광릉긴나무좀이 초기에는 집중적으로 공격을 하나 수간내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종내경쟁이 일어나고 경쟁의 결과 개체간 간섭현상이 유도되고 천공의 공간적 분포가 균일하게 변환하게 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Filamentous Fungi Isolated from Platypus koryoensis, the Insect Vector of Oak Wilt Disease in Korea

  • Suh, Dong-Yeon;Hyun, Min-Woo;Kim, Seong-Hwan;Seo, Sang-Tae;Kim, Kyung-Hee
    • Mycobiology
    • /
    • 제39권4호
    • /
    • pp.313-316
    • /
    • 2011
  • The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is a serious pest of oak trees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filamentous fungi present in the body of the beetle. Fourteen genera of filamentous fungi belonging to Ascomycota and Basidiomycota were isolated. Among the isolated fungi, some were able to produce wood degrading enzymes. This is first report of fungi associated with P. koryoensis.

참나무시들음병 신갈나무 피해목과 건전목의 해부학적 특징 비교 (Comparison of Anatomical Characteristics for Wood Damaged by Oak Wilt and Sound Wood from Quercus mongolica)

  • JEON, Woo-Seok;LEE, Hyun-Mi;PARK, Ji-Hy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6호
    • /
    • pp.807-8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에 감염된 신갈나무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해부학적 특징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해부학적 특징을 비교하기 위해, 감염목, 고사목 및 건전재 신갈나무를 수에서부터 10~50번째 연륜까지 10연륜 단위로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목섬유 길이는 수에서부터 5연륜 단위로 측정하였고, 도관요소 직경 및 타일로시스를 포함한 도관의 비율은 10연륜별로 측정하였다. 횡단면 관찰 결과, 감염목과 고사목에서는 도관 내강에서 티일로시스와 함께 균사체가 관찰되었다. 목섬유 길이 및 도관요소 직경은 조사목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목섬유 길이는 미숙재 부위인 20~30연륜 이후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타일로시스를 포함한 도관의 평균 비율은 감염목이 가장 높았고 특히, 감염목과 고사목은 40~50연륜에서 타일로시스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를 통하여,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과 건전재 간에 큰 차이는 타일로시스의 비율로 생각되며, 피해목 이용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은 나노 용액을 활용한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 연구 (Control Efficacy of Nano-silver Liquid on Oak Wilt Caused by Raffaelea sp. in the Field)

  • 김상우;정진희;거비르 람살;김윤석;심상준;김하선;장석준;김종국;김경수;이윤수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136-141
    • /
    • 2011
  •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참나무류 집단고사를 일으켜 문제가 되고 있는 R. quercivorus 균의 방제를 위한 연구로 최근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참나무시들음병(Oak wilt)의 원인균인 R. quercivorus를 방제하고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의 생태 및 형태연구에 관한 것이다. Nano-silver 용액 WA-AT-WB13R을 이용하여 R. quercivorus 균에 대한 in vitro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WAAT-WB13R 용액이 100 ppm에서 균사 및 포자의 생장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각 10, 30, 50, 100 ppm 처리하여 SEM 관찰 결과, 무처리구에서는 균사의 형태가 정상적임을 확인하였고 30 ppm에서부터 균사의 형태가 조금씩 변형이 일어나다가 100 ppm에서는 균사 및 포자가 비정상적으로 일그러져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개충인 P. koryoensis의 충체에 붙어있는 균사와 포자를 SEM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 관찰 결과, 표면과 균낭의 균사 및 포자의 형태가 100 ppm에 가까울수록 형태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기내에서의 R. quercivorus의 균사 생장억제효과를 바탕으로 수간주사(Trunk injection)를 실시한 결과, 철원과 홍천에서는 시들음 및 약해 증상을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춘천은 7월 시들음 증상을 보였으나 그 후 시들음 증상 및 약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nano-silver 용액을 이용한 참나무시들음병의 원인균인 R. quercivorus의 생장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nano-silver를 이용한 R. quercivorus 방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n In Vitro Study of the Antifungal Effect of Silver Nanoparticles on Oak Wilt Pathogen Raffaelea sp.

  • Kim, Sang-Woo;Kim, Kyoung-Su;Lamsal, Kabir;Kim, Young-Jae;Kim, Seung-Bin;Jung, Moo-Young;Sim, Sang-Jun;Kim, Ha-Sun;Chang, Seok-Joon;Kim, Jong-Kuk;Lee, Youn-S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8호
    • /
    • pp.760-764
    • /
    • 200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fungal activity of three different forms of silver nanoparticles against the unidentified ambrosia fungus Raffaelea sp., which has been responsible for the mortality of a large number of oak trees in Korea. Growth of fungi in the presence of silver nanoparticle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e also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combining the different forms of nanoparticles. Microscopic observation revealed that silver nanoparticles caused detrimental effects not only on fungal hyphae but also on conidial germination.

참나무류에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Raffaelea quercus-mongolicae와 R. quercivora의 유전적 특성 (Genotypic Characterization of Oak Wilt Pathogen Raffaelea quercus-mongolicae and R. quercivora Strains)

  • 서상태;김경희;이상현;권용남;신창훈;김혜정;이상용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19-223
    • /
    • 2010
  • 최근 신갈나무를 중심으로한 참나무과 나무에 시들음병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 분리한 38개의 시들음병 균주(Raffaelea quercus-mongolicae, R. quercivora)에 대해 $\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과 RAPD 분석을 이용해 유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cluster 분석결과 시들음병 균주들은 4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cluster 2와 4에는 1균주를 제외하고 모두 일본균주가 속해 있었다. RAPD 분석결과 시들음병 균주들은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한국균주와 일본균주는 쉽게 구별되었다. $\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과 RAPD 분석결과 한국균주와 일본균주는 상당히 다른 유전적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Fungal Community Analyses of Endophytic Fungi from Two Oak Species,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serrata, in Korea

  • Nguyen, Manh Ha;Shin, Keum Chul;Lee, Jong Kyu
    • Mycobiology
    • /
    • 제49권4호
    • /
    • pp.385-395
    • /
    • 2021
  • Fungal endophytes have been recorded in various plant species with a richness of diversity, and their presence plays an essential role in host plant protection against biotic and abiotic stresses. This study applied the Illumina MiSeq sequencing platform based on the amplification of fungal ribosomal ITS2 region to analyze fungal endophytic communities of two oak species (Quercus mongolica and Q. serrata) with different oak wilt disease susceptibilities in Korea. The results showed a total of 230,768 sequencing reads were obtained and clustered at a 97% similarity threshold into 709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The OTUs of Q. serrata were higher than that of Q. mongolica with the number of 617 OTUs and 512 OTUs, respectively. Shannon index also showed that Q. serrata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fungal diversity than Q. mongolica. Total of OTUs were assigned into 5 fungal phyla, 17 classes, 60 orders, 133 families, 195 genera, and 280 species. Ascomycota was the dominant phylum with 75.11% relative abundance, followed by Basidiomycota with 5.28%. Leptosillia, Aureobasidium and Acanthostigma were the most abundant genera detected in Q. serrata with the average relative abundance of 2.85, 2.76, and 2.19%,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Peltaster, Cladosporium and Monochaetia were the most common genera detected in Q. mongolica with the average relative abundance of 4.83, 3.03, and 2.87%, respectively. Our results indicated that fungal endophytic commun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oak species and these differences could influence responses of host trees to oak wilt disease caused by Raffaelea quercus-mongolic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