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IGEN2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5초

월성 1호기 MCNP/ORIGEN-2 모델 검증 및 예비 선원항 계산 (Verification of MCNP/ORIGEN-2 Model and Preliminary Radiation Source Term Evaluation of Wolsung Unit 1)

  • 노경호;하창주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34
    • /
    • 2015
  • 원자력발전소 해체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해체대상 발전소에 대한 선원항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해체전략 수립단계에서 선원항 평가 결과를 토대로 해체 폐기물을 분류하고 비용평가를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월성 1호기의 예비 선원항 계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MCNP/ORIGEN-2 모델의 타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소도가 다른 핵연료 다발의 악티나이드 계열과 핵분열 생성물의 핵종 수밀도는 싱글 채널 모델을 이용하여 MCNPX 코드로 연소 계산하여 구하였다. 선원항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두가지 요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첫번째 요인으로 선원항 계산에 영향을 미치는 중성자 스펙트럼을 MCNP로 계산하여 해당 핵종의 1군 미시 핵단면적에 반영하였다. 중성자 스펙트럼이 반영된 라이브러리로 계산한 선원항과 ORIGEN-2 코드 package에 내장된 library (CANDUNAU.LIB)로 구한 선원항을 비교하였다. 두번째 요인으로 선원항에 대한 출력이력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해체 폐기물의 저준위 폐기물 처분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2010년도 교체된 압력관, 칼란드리아관과 기존 칼란드리아 동체에 대하여 중성자 스펙트럼을 반영한 library를 적용하여 MCNP/ORIGEN-2로 선원항 평가 계산을 수행하였다.

LCS-ORIGEN2 연결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 신희성;신운철;길충섭;송태영;우재권;하석중;박원석;심형진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143-148
    • /
    • 1998
  • LCS와 ORIGEN2의 연결 프로그램 MONO를 개발하여 연소시간에 따른 가속기미임계로의 핵특성 변화를 분석할 있는 LCS-MONO-ORIGEN2 코드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몇 가지 타입의 미임계로를 대상으로 LCS-MONORIGEN2 코드시스템의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용융염 핵연료 및 집합체형 핵연료 미임계로에 대한 계산은 문제없이 수행되었다 또한 토륨/우라늄-233 핵연료 미임계로에 대한 연소시간에 따른 Keff 변화는 외국기관의 계산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ORIGEN2 전산코드를 위한 연구로용 1군 단면적 데이타베이스 개발 (Development of a One-Group Cross Section Data Base of the ORIGEN2 Computer Code for Research Reactor Applications)

  • Kim, Jung-Do;Gil, Choong-Sub;Lee, Jong-Tai;Hwang, Won-Gu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4권1호
    • /
    • pp.1-13
    • /
    • 1992
  • ORIGEN2 전산코드를 위한 연구로용 1군 단면적 데이타베이스를 개발하였다. 여기에는 EN-DF/B-lV와 -V가 기 본 핵 자료로 사용되었고 이들은 NJOY 코드시스템을 사용하여 69군으로 처리되었다. 1군 축약을 위한 가중함수는 핵연료의 연소에 따른 KMRR의 중성자 스펙트럼을 WIMS-KAERI코드로 계산하여 사용하였다. 새로 개발된 데이타베이스는 KMRR핵연료의 연소에 따른 악티나이드 생성량 평가를 통해 상세 다군 수송계산 결과와 잘 일치함이 입증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하여 KMRR의 사용후 핵연료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해체시 원자로 주요 구성품에 대한 방사능 재고량 평가 (Estimation of Radioactive Inventory for a major component of Reactor in Decommissioning)

  • Hak-Soo Kim;Ki-Doo Kang;Kyoung-Doek Kim;Chan-Woo Jeong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9-75
    • /
    • 2004
  • 고리 1호기 원자로압력용기의 중성자속과 방사화생성물 재고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DORT 코드와 ORIGEN2 코드를 사용하였다. DORT 코드를 이용해 중성자속을 계산하기 위하여 노심을 중앙부터 원자로압력용기까지 방위각 방향으로 94 mesh로 분할하였다. 원자로압력용기 영역의 중성자속을 이용하여 주요 핵종의 단면적을 재계산하였다. 원자로압력용기의 경우, $^{55}$Fe, $^{60}$Co, $^{59}$ Ni 및 $^{63}$ Ni의 핵종이 총 방사능의 약 95%를 차지하였으며, 해체 후 50년 이상 냉각후의 총 방사능은 정지시점과 비교하여 약 0.2% 이하로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총 중량이 210 ton인 원자로압력용기의 총 방사능은 5.25${\times}$$10^{6}$GBq이었다. ORIGEN2 계산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고리 1호기 원자로압력용기의 계산값과 실측값에 대한 비교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서로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월성 원자력 발전소 2,3,4호기에서의 LOCA 사고후 보조건물의 방사선장 평가 (Assessment of Post-LOCA Radiation Fields in Service Building Areas for Wolsong 2, 3, and 4 Nuclear Power Plants)

  • 진영권;김용일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53-64
    • /
    • 1995
  • 월성 원자력발전소 2,3,4 호기의 보조건물 주요 지역에서 냉각재 다량상h7사고 (large LOCA) 후의 방사선장을 평가하였다. 핵분열 생성물의 총량은 ORIGEN2 코드를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선원항은 2중고장 시나리오, 즉 LOCA 사고후 비상노심냉각 (ECC) 계통의 고장이 결부된 사고시의 방사능 방출에 근거하였다. 원자로건물, 보조건물 및 ECC 계통의 구조모형을 QAD-CG 모델에 포함하여 계산하였다. 사고시점부터 90일 경과시까지 시간대 별로 선량율과 누적선량을 계산하였다. 결과적으로, 연속출입이 요구되는 중요지역에서의 방사선장은 충분히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일부구역에서는 제한적인 출입을 허용할 정도로 상대적으로 높은 방사선장을 나타내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Effective One-Group Cross-Sections of ORIGEN and FISPACT to Calculate Nuclide Inventory for Decommissioning Nuclear Power Plant

  • Cha, Gilyong;Kim, Soonyoung;Lee, Minhye;Kim, Minchul;Kim, Hyunmin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99-106
    • /
    • 2022
  • Background: The radionuclide inventory calculation codes such as ORIGEN and FISPACT collapse neutron reaction libraries with energy spectra and generate an effective one-group cross-section. Since the nuclear cross-section data, energy group (g) structure, and other input details used by the two codes are different, there may be differences in each code's activation inventory calculation results. In this study, the calculation results of neutron-induced activation inventory using ORIGEN and FISPACT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garding radioactive waste classification and worker exposure during nuclear decommissioning. Materials and Methods: Two neutron spectra were used to obtain the comparison results: Watt fission spectrum and thermalized energy spectrum. The effective one-group cross-sections were generated for each type of energy group structure provided in ORIGEN and FISPACT. Then, the effective one-group cross-sections were analyzed by focusing on 59Ni, 63Ni, 94Nb, 60Co, 152Eu, and 154Eu, which are the main radionuclides of stainless steel, carbon steel, zircalloy, and concrete for decommissioning nuclear power plant (NPP). Results and Discuss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54Eu and 59Ni may be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depending on the code selection by up to 30%, because the cross-section library used for each code is different. When ORIGEN-44g, -49g, and -238g structures are selected, the differences of the calculation results of effective one-group cross-section according to group structure selection were less than 1% for the six nuclides applied in this study, and when FISPACT-69g, -172g, and -315g were applied, the difference was less than 1%, too. Conclusion: ORIGEN and FISPACT codes can be applied to activation calculations with their own built-in energy group structures for decommissioning NPP. Since the differences in calculation results may occur depending on the selection of codes and energy group structures, it is appropriate to properly select the energy group structure according to the accuracy required in the calcul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