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O-2 Prime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송이의 Genomic DNA에 특이적인 Probe (The Specific Probes Confirming the Genomic DNA of Tricholoma matsutake in Korea)

  • 이상선;홍성운;정흥채;성창근;김재훈;가강현;김현중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1호통권88호
    • /
    • pp.20-26
    • /
    • 1999
  •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송이버섯의 구분 방법으로 제조된 OPO-2 primer을 사용할 때 송이에게만 특이적인 band가 나타났다. 그리고 제한효소 처리와 dot blot의 결과에서 이들 특이적인 DNA절편은 송이 genomic DNA에서 한개의 copy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외생균근 버섯의 DNA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이들 DNA 절편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770bps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전자의 정보를 이용한 NCBI Blast 염기서열 분석에서 높은 상동성을 갖는 유전자는 발견할 수가 없었고, 단백질서열 분석에서도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translation통한 아미노산 서얼분석에서 이들 DNA절편의 유전자는 단백질에 관한 유전자이라기 보다는 다른 정보와 관련된 유전자로 생각되어진다.

  • PDF

DNA분석기법을 이용한 한국재래산양육의 판별 (Identification of Korean Native Goat Meat using DNA Analysis)

  • 상병찬;이상훈;류승희;서길웅;한성욱;김선균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33-38
    • /
    • 1999
  • 재래산양의 유전자원 보존과 유전적 개량을 위하여 재래산양과 수입산양의 genomic DNA의 유전적 다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재래산양과 수입산양의 유전적 판별 분석은 RAPD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공시품종은 재래산양 30두, 재래산양 교잡종 10두, 수입산양 10두를 이용하였다. 재래 산양육과 수입 산양육의 판별을 위한 시료는 재래 산양육 10두와 수입 산양육 10두를 이용하였다. 이들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래산양, 수입산양 및 재래산양 교잡종으로부터 추출된 genomic DNA는 전기영동에 의해 약 23kb 크기의 DNA을 얻을 수 있었으며 UV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흡광도 A 260과 A 280의 비율로 측정한 결과, 그 비율이 1.75~2.10의 범위로 순도는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2. 순수 재래산양의 유전자원의 보존을 위한 재래산양의 유전자 감식여부를 탐색하기 위하여 약 110 여종의 random primer를 이용한 RAPD 기법에 의하여 재래산양, 수입산양 및 교잡종의 다형성을 분석한 결과 random primer OPO-19(5'-CAA ACG TCG G-3')를 이용하였을 때 재래산양에서만 396bp에서 band가 나타났으며 수입산양과 교잡종에서는 band가 나타나지 않았다. 3. 또한, 재래 산양육과 수입 산양육의 유전적인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니 RAPD 기법에 의한 genomic DNA의 다형성 분석에 있어서도 random primer OPO-19(5'-CAA ACG TCG G-3')를 사용하였을 때 396bp에서 재래 산양육에서는 band가 나타났지만, 수입 산양육에서는 band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Identification of Molecular Markers Linked to Ti Locus in Soybean

  • Kim Myung Sik;Park Min Jung;Hwang Jung Gyu;Jo Soo Ho;Ko Mi Suk;Chung Jong I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419-422
    • /
    • 2004
  • Soybean is a major source of protein meal in the world. Kunitz trypsin inhibitor (KTI) protein is responsible for the inferior nutritional quality of unheated or incompletely heated soybean meal.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RAPD markers linked to KTI protein allele using bulked segregant analysis. Cultivar Jinpumkong2 (TiTi) was crossed with C242 (titi, absence of KTI protein) and F. seeds were planted. The $F_1$. plants were grown in the greenhouse to produce $F_2$ seeds. Each $F_2$ seed from $F_1$. plants was analysed electrophoretically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the KTI protein band. The present and absent bulks contained twenty individuals each, which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KTI protein electrophoresis, respectively. Total 94 $F_2$ individuals were constructed and 1,000 Operon random primers were used to identify RAPD primers linked to the Ti locus. The presence of KTI protein is dominant to the lack of a KTI protein and Kunitz trypsin inhibit protein band is controlled by a single locus. Four RAPD primers (OPAC12, OPAR15, OPO12, and OPC08) were linked to the Ti locus. RAPD primer OPO12 was linked to Ti locus, controlling kunitz trypsin inhibitor protein at a distance of 16.0 cM. This results may assist in study of developing fine map including Ti locus in soyb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