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314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법랑모세포 분화와 법랑질 형성과정에서 OD314, Apin protein의 발현 및 기능 (EXPRESSION AND FUNCTION OF OD314, APIN PROTEIN, DURING AMELOBLAST DIFFERENTIATION AND AMELOGENESIS)

  • 박종태;최용석;김흥중;정문진;오현주;신인철;박주철;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37-44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법랑모세포 분화와 법랑질 형성에 연관이 있는 OD314 일명 Apin protein의 기능을 밝힐 목적으로, in-situ hybridization에 의한 OD314 mRNA 발현과 법랑모세포 세포주에서 OD314와 enamel matrix protein의 발현, 그리고 OD314 유전자를 과발현/억제시킬 수 있는 construct를 제작한 후 법랑질 형성 중에 OD314의 기능을 알아보고자 RT-PCR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OD314 mRNA는 발생중인 상아모세포보다 법랑모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2. Tuftelin은 석회화 결정이 형성되는 14일까지 발현이 지속되고, 그 이후부터 점차 감소하였다. Amelogenin과 enamelin은 7일부터 그 발현이 점점 감소하였다. 3. U6-OD314 siRNA construct를 이용하여 transfection한 법랑모세포 세포주는 OD314와 tuftelin, MMP20 mRNA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CMV-OD3l4를 transfection하여 OD314의 과발현을 유도한 경우에는 OD3l4와 MMP20 mRNA의 발현이 뚜렷이 증대되었다. 이 결과는 OD314가 법랑모세포의 분화와 법랑질의 형성 그리고 석회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새로운 인자임을 시사한다.

상아모세포 관련 유전자, OD314의 발현과 기능 연구 (EXPRESS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ODONTOBLAST-DERIVED GENE: OD314)

  • 김두현;김흥중;정문진;손호현;박주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4호
    • /
    • pp.399-408
    • /
    • 2004
  • Odontoblasts are responsible for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dentin. They are known to synthesize unique gene products including dentin sialophosphoprotein (DSPP). Another unique genes of the cells remain unclear. OD314 was isolated from the odontoblasts/pulp cells of rats and partially characterized as an odontoblast-enriched gene (Dey et al., 2001).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biological function of OD314, relating to odontoblast differentiation and dentinogenesis. After determining the open reading frame (ORP) of OD314 by transient transfection analysis using green fluorescent protein (GPP) expression vector, mRNA in-situ hybridization, immunohistochemistr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wester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in-situ hybridization, OD314 mRNAs were expressed in odontoblasts of developing coronal and root pulp. 2. OD314 was a novel protein encoding 154 amino acids, and the protein was mainly expressed in cytoplasm by transient transfection analysis. 3. Mineralized nodules were associated with multilayer cell nodules in the culture of human dental pulp cells and first detected from day 21 using alizarin-red S staining. 4. In RT-PCR analysis, OD314, osteocalcin (OC) and DSPP strongly expressed throughout 28 days of culture. Whereas, osteonectin (ON) mRNA expression stayed low up to day 14,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from day 21. 5. Western blots showed an approximately 17 kDa band. OD314 protein was expressed from the start of culture and then increased greatly from day 21. In conclusion, OD314 is considered as an odontoblast-enriched gene and may play important roles in odontoblast differentiation and dentin mineralization.

법랑모세포 분화와 성숙과정에서 OD314의 발현 (EXPRESSION OF OD314 DURING AMELOBLAST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 박주철;안성민;김흥중;정문진;박민주;신인철;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5호
    • /
    • pp.423-430
    • /
    • 2005
  • 법랑모세포는 법랑질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세포로, 법랑질의 유기기질을 분비하고 법랑질 석회화 과정에도 관여한다. 치아 발생과정에서 법랑모세포의 분화는 순차적인 상피-간엽 상호작용에 의하여 조절되나, 분화나 성숙과정의 정확한 기전은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에 상아모세포에서 처음 발견된 OD314가 치아 발생과정에서 상아질을 형성하는 상아모세포 뿐 아니라 법랑모세포에도 발현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쥐 하악 전치의 다양한 시기의 법랑모세포를 이용하여, 형태학적 분석과 in-situ hybridization에 의한 OD314 mRNA의 발현 그리고 OD314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OD314유전자의 법랑모세포 분화와 성숙과정에서의 역할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형태학적으로 법랑모세포는 분화 단계에 따라 분비 전단계 법랑모세포, 분비기 법랑모세포, 성숙기의 평탄끝 법랑모세포와 성숙기의 주름끝 법랑모세포로 구분되었다. 2. OD314 mRNA는 분비기의 법랑모세포에서부터 발현되기 시작하여 법랑모세포가 성숙해갈 수록 그 발현이 증가하였다. 3. OD314 단백질은 분비 전단계의 법랑모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고, 분비기의 법랑모세포에서는 세포질에 전체적으로 발현되었다. 성숙기의 평탄끝 법랑모세포와 주름끝 법랑모세포에서는 세포의 근심과 원심끝단에 OD314 단백질이 강하게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OD314는 법랑모세포의 분화와 성숙과정에서 세포질 내부에서 특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R-290, R-600a의 수평 이중관형 열교환기내 증발 특성 (Evaporating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R-290, R-600a Inside Horizontal Double Pipe Heat Exchangers)

  • 홍진우;노건상;권옥배;박기원;오후규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309-314
    • /
    • 2000
  • Experimental results for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natural refrigerants R-290, R-600a and HCFC refrigerant R-22 during evaporating inside horizontal double pipe heat exchangers are presented. The experimental apparatus is basically a vapour heat pump system, composed of a compressor, a condenser, expansion devices, a evaporator, and some other peripheral devices. The test sections were horizontal double pipe heat exchangers, which were a pair of smoothed tube, having 10.07 mm ID, 12.07 mm OD, and grooved inner fin tube, having 12.70 mm OD, 0.25 mm fin height, and 75 fins. The local evaporating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natural refrigerants were not much affected with the mass velocity than R-22 and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local evaporating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R-22 were increased more than those of R-290, R-600a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mass velocity. Moreover, the maximum increment of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found in R-290. The average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obtained the maximum value in R-290 and the minimum value in R-22. It reveals that the natural refrigeran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R-22. In the grooved inner fin tube, 70% of the increment of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obtained compared to the smoothed tube.

  • PDF

지하철 우회계수 산정을 통한 수도권 지하철의 거리 효율 평가 모형 (A Method to Evaluate Distance Efficiency of Seoul Metropolitan Subway by Estimating Subway Detour Factor)

  • 이재민;김남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04-314
    • /
    • 2015
  • 대도시권에서 지하철의 우회는 승용차 통행에 비해 지하철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새로운 지하철 시스템을 계획하거나, 기존의 운행 노선을 개선할 때 다른 가치들 (영업이익, 수요, 노선의 균등 분배 등)과의 관계에서 우회에 대한 최소기준 정도만 존재할 뿐 다른 가치들과의 가중에 대한 기준이 모호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우회의 개념을 사용하여 수도권 지하철의 거리 효율 평가 모형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의 우회율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에 대해 요약을 하고 새로운 거리 효율 평가 모형을 만들어보며, 이 모형을 수도권 지하철 3호선에 적용하는데 있다. 주요 결과는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첫째, 가장 크게 우회하는 OD는 '대치'역부터 '압구정'역까지였으며 우회계수는 1.93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로의 네트워크보다 약 1.93배 더 길게 우회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수도권 지하철 3호선을 전체적으로 분석을 해본 결과, 도로의 네트워크보다 평균적으로 약 20% 더 우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 면역측정법에 의한 한국 영아 소아의 홍역 볼거리 및 풍진 항체에 관한 연구 (Study of Measles, Mumps and Rubella Antibodies by Enzyme Immunoassay in Infants and Children in Korea)

  • 박혜경;기복근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73-483
    • /
    • 1987
  •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find when is right time for vaccination against Measles, Mumps and Rubella and what is the seropositive conversion rate after those vacinations. For this purpose, sera from 106 infants and children adimitted in Prediatric Department of Won Kwang University Hospital, Iri, Chonbuk, Korea were divided into 3 groups, such as (1) Vaccination group with definite information when it was given, (2) Unknown group whether vaccination was given or not, (3) Not vaccinated group. They were tested of IgG and IgM antibodies against Measles, Mumps and Rubella using Enzyme Immunoassay metho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fants below 6 month of age showed to have IgG antibodies which seemed to have been transferred from mother in 87.8%(29/33) for Measles, 78.8%(26/33) for Mumps and 39.4%(13/13) for Rubella. And they showed IgM antibodies which are thought to have been produced by recent infection in 24.2%(8/33) for Measles, 48.5%(16/33) for Mumps and 9.1%(3/33) for Rubella. 2. Positivity of antibody IgG against Rubella was observed remarkably lower than it is against Measles and Mumps being only 39.4%(13/33) in $0{\sim}5$ month, 30.8%(8/26) in $6{\sim}11$ months, 30%(3/10) in $12{\sim}14$ months and 62.9%(22/35) in $18{\sim}36$ months of age. 3. ${\Delta}OD's$ of IgG and IgM antibodies against Measles were observed increasing with age being 0.444, 0.220 in $0{\sim}5$ months, 0.326, 0.134 in $6{\sim}11$ months, 0.581, 0.140 in $12{\sim}14$ months, 0.512, 0.000 in $15{\sim}17$ months and 0.887, 0.278 in $18{\sim}36$ months of age, respectively. 4. ${\Delta}OD's$ of IgG and IgM antibodies against Mumps were observed increasing with age being 0.427, 0.340 in $0{\sim}5$ months, 0.400, 0.249 in $6{\sim}11$ months, 0.694, 0.314 in $12{\sim}14$ months, 0.539, 0.165 in $15{\sim}17$ months and 0.854, 0.350 in $18{\sim}36$ months of age, respectively. 5. Vaccination for Measles, Mumps and Rubella is generally to start at 15 months of age in Korea, by which age their antibodies are found to exsist in more than 80% of tested samples. So, it seems to be very reasonable to start the vaccination schedule at earlier age than it does currently. 6. From the present study, it seems to have been clearly confirmed that Enzyme Immunoassay method is a reliable method with good reproducibility for mass survey of IgG and IgM antibodies against Measles, Mumps and Rubella in infants and children.

  • PDF

트라이애슬론의 과사용 부상과 의학적 위험요인에 대한 고찰 (Triathlon-Related Overuse Injury and Medical Issues)

  • 박찬호;곽이섭;김태운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14-320
    • /
    • 2010
  • 트라이애슬론은 수영, 사이클, 달리기로 구성된 스포츠로 단일종목의 스포츠에 참가할 때 보다 잠재적인 의학적 위험요인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다. 과사용은 스트레스의 증가와 뼈, 관절, 근육, 건 또는 신경의 손상을 일으키며, 지금까지 트라이애슬론 훈련과 경기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과사용 부상은 목통증, 요통, 근육과 건 부상, 인대부상, 만성적인 통증 등이며, 대부분의 과사용 부상은 달리기 훈련시 가장 많이 발생된다. 또한 트라이애슬론 참가자들은 다양한 자연환경과 경기거리에서 완주해야 하는 만큼 부상 이외의 의학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트라이애슬론과 관련하여 보고되고 있는 의학적 위험요인들은 저체온증, 저나트륨혈증, 일사병, 자외선에 과도한 노출, 면역억압, 심리적인 탈진현상, 용혈증 등을 포함하고 있다. ID 경기 중에 발생 할 수 있는 의학적 문제들 가운데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증상은 탈진과 탈수현상이며, 그 다음으로 나타나는 문제점들은 저나트륨혈증, 열부상, 저혈압, 화상과 물집, 근육경련 등이다. 그러나 SD와 OD 경기 중에는 달리기 속도가 빠르고 더 높은 강도에서 경기가 진행되기 때문에 일사병의 발생 위험이 더 높고, 경기 시간이 짧은 관계로 저나트륨혈증은 발생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트라이애슬론 훈련과 경기 중에 발생 될 수 있는 과사용 부상과 의학적 위험 요인에 대한 연구문헌들을 고찰하여 스포츠 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엘리트 선수 및 동호인 그리고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 코치와 대회를 주최하는 관계자들에게 트라이애슬론과 관련된 과사용 부상과 의학적 위험요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이러한 위험요인들을 미연에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