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solution culture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35초

질소영양(窒素營養)의 효율증진(效率增進)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Nitrogen Nutrition)

  • 곽판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151-166
    • /
    • 1969
  • I. 질소시용량(窒素施用童)과 배양조건(培養條件)이 고구마의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 및 괴근형성(塊根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1)배양액(培養液) 1l 당(當) 3m.e. $NO_3$-N의 저수준질소구(低水準窒素區) (A구(區))에서는 괴근생성(塊根生成)이 왕성(旺盛)하였으나 1l당(當) 10 m.e. 이상(以上)의 고수준질소구(高水準窒素區)($B_1{\cdot}B_2$ 구(區))에서는 세포신장(細胞伸長)은 활발(活潑)하였지만 괴근형성(塊根形成)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고수준질소(高水準窒素)의 괴근억제효과(塊根抑制效果)는 경엽생장(經葉生長)의 촉진(促進)을 통(通)한 간접적(間接的) 영향이나 탄수화물(炭水化物)에 대(對)한 경합관계(競合關係)보다 질소(窒素)의 직접적효과(直接的效果)나 어떠한 생기적효과(生機的效果)가 개재(介在)된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2) 배양액(培養液) 1l당(當) 6mg의 요소가용(尿素加用)은 생장(生長)을 촉진(促進)하고 특히 지상부(地上部)의 생체중(生體重)의 증가를 초래(招來)하였으나 초장(草丈)에 대(對)해서는 오히려 억제적(抑制的)이었다. 3) 본시험(本試驗)에서 새로히 설계(設計)된 수경배양법(水耕培養法)은 식물(植物)생육(生育)을 역경배양이상(礫耕培養以上)으로 왕성(旺盛)하게 하고, 특히 저수준질소구(低水準窒素區)(A구(區))에서는 역경배양(礫耕培養)과 같이 괴근생성(塊根生成)도 상당(相當)히 이루어졌다. 4) 식물생장억제제(植物生長抑制劑)인 B-nine의 엽면살포(葉面撒布)는 초장(草丈)을 억제(抑制)하였으나 다른 효과(效果)는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여주지 않았다. II. 요소시용량(尿素施用量)이 고구마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1) 배양액(培養液)을 통(通)하여 근부(根部)에 흡수(吸收)된 고수준농도(高氷準濃度)의 질소(窒素)는 경엽생장(莖葉生長) 즉, 초장(草文), 입수(數), 생체중(生體重)을 억제(抑制)하고 있다. 이것은 아마도 Ammonia화(化) 되지 않은 요소태질소(尿素態奎素)의 직접적흡수(直接的吸收)에 의(依)한것 같다. 2) 제(第) I 부(部)에서 고수준질산태질소(高水準窒酸態窒素)는 괴근형성(塊根形成)을 불가능(不可能)케 하였으나 본시험(本試險)에서의 고수준요소(高水準尿素)는 괴근형성(塊根形成)을 가능(可能)케 하고 있다. 그러나 고수준요소구(高水準尿素區)(B구(區))에서의 지상부(地上部) 대(對) 괴근비(塊根比)는 저수준요소구(低水準尿素區)(A구(區))보다 낮고, 괴근발육(塊根發育)에 대(對)한 억제(抑制)정도는 지상부(地上部)에 대(對)한 억제(抑制)정도보다 더 큰것을 볼 수 있다. 3) 고수준요소(高水準要素)의 근부흡수(根部吸收)가 경엽생장(莖葉生長)을 억제(抑制)하는데 대(對)하여 같은 양(量)의 요소엽면시용(尿素葉面施用)은 경엽생장(莖葉生長)을 촉진(促進)하고 있다 따라서 지하부(地下部) 대(對) 지상부비(地上部比)는 요소엽면시용구(尿素葉面施用區)(C구(區))에서 가장 크고, 요소(尿素)의 근부흡수(根部吸收)에 의(依)한 저수준(低水準)(A구(區)) 및 고수준요소구(高水準尿素區)(B구(區))에서는 낮다. III. 요소시용(尿素施用)과 식물생장억제제처리(植物生長抑制劑處理)가 고구마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1) 식물생장억제제(植物生長抑制劑)의 일종(一種)인 B-nine은 고수준요소구(高水準尿素區)나 저수준요소구(低水準尿素區)에 관계(關係)없이 전반적(全般的)으로 초장(草丈)을 억제(抑制)하고 있다. Gibberellin 단용(單用)은 초장(草丈)을 현저히 촉진(促進)하고 Gibberellin과 B-nine의 혼용(混用)은 B-nine의 초장억제(草丈抑制)를 회복(恢復)시키고 있다. 2) B-nine 처리(處理)는 저수준요소구(低水準尿素區)에서 현저히 고구마의 생체중(生體重)을 특히 지상부(地上部) 생체중(生體重)이 증가(增加)되었다. 고수준요소구(高水準尿素區)에서도 B-nine 처리(處理)는 생체중(生體重)을 증대(增大) 시키고 그정도는 농도에 따라 다르며 0.15% 처리구(處理 區)($B_1$구(c))가 가장 컸다. B-nine의 생체중(生體重) 증대효과(增大效果)는 지상부(地上部)에서 가장 크고 다음은 괴근(塊根)이며, 세근(細根)에서 가장 작았다. 따라서 지상부(地上部) 대(對) 세근비(細根比)는 B-nine 처리구(處理區)로서 어느 때나 감소(減少)되고, 지상부(地上部) 대(對) 괴근부(塊根部)는 저수준요소구(低水準尿素區)에서 감소(減少)하고 고수준요소구(高水準尿素區)에서는 오히려 증가(增加)되고 있다. 3) Gibberellin 단용(單用)도 고구마의 생체중(生體重)을 증대(增大)시키고 Gibberellin과 B-nine의 혼용구(混用區)($B_3$+GA구(區))는 각단용구(各單用區)보다 더욱 현저한 증대(增大)를 가져왔다. 즉 Gibberellin과 B-nine은 초장(草丈)에 대(對)해서는 길항작용(拮抗作用) 을, 생체중(生體重)에 대(對)해서는 상승작용(相乘作用)을 나타냈다. 4) B-nine 처리(處理)는 초장(草丈)과 생체중(生體重)에 대(對)해서 현저한 선택적효과(選擇的效果)를 나타냈다. 따라서 B-nine 은 Antimetabolite라기 보다 대사조정자(代謝調整者)로써 역할(役割)하는 것으로 본다. 5) 고수준요소(高水準尿素)의 공급(供給)으로 일어나는 작물생육억제(作物生育抑制)를 B-nine 처리(處理)로 회복(恢復)되있으며 이 사실(事實)은 실용적(實用的) 전망(展望)이 크다고 본다.

  • PDF

Microponic system에서 배양액의 농도변화가 감자 소식물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on Growth of Potato Plantlet in Microponic System)

  • 고선아;최기영;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4-147
    • /
    • 2014
  • 감자 가공용 신품종'새봉'의 무병주 대량생산을 위하여 microponic system에서 배양액의 농도변화가 감자 소식물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 하였다. 조절한 감자 배양액의 농도는 EC 0.2, 0.6, 1.0, 1.4, 1.8, $14.0dS{\cdot}^{-1}$수준 이었으며 감자 조직배양묘는 생장점과 잎을 2개 포함한 1.5cm길이로 잘라 50mL 유리병(glass vial)에 1개씩 치상하여 18일, 또는 21일간 2회에 걸쳐 하였다. 배양액 량은 용기 당 2mL씩 넣고 10일 후 1 mL를 첨가하였으며, 환경조건은 일장 16시간, 온도 $23{\pm}1^{\circ}C$, $40mmol^{-2}{\cdot}s^{-1}$의 백색 LED에서 실험 I의 배양액농도는 EC 0.2, 1.0, $14dS{\cdot}m^{-1}$였으며, 실험 II의 배양액농도는 0.6, 1.0, 1.4, $1.8dS{\cdot}m^{-1}$로 조정하였다. 치상 7일 후 소식물체의 생존율은 $0.2dS{\cdot}m^{-1}$에서 90%, $0.6dS{\cdot}m^{-1}$에서 100%, $1.0dS{\cdot}m^{-1}$에서 100%, $1.4dS{\cdot}m^{-1}$에서 0%, $1.8dS{\cdot}m^{-1}$에서 0%, $14.0dS{\cdot}m^{-1}$에서 0% 이었다. 배양액의 전기전도도를 $1.0dS{\cdot}m^{-1}$으로 조절한 처리에서 이식 2일 후 뿌리가 발육되어 소식물체 생육이 왕성하게 생장하여 18일 만에 7개의 엽, 길이 5cm, 생중 0.5g이상의 식물체로 생육하였다. 배양액의 농도를 $0.6dS{\cdot}m^{-1}$으로 조절한 처리에서는 이식 4일 후부터 뿌리가 발육되어 21일 후 5개의 엽, 길이 4cm, 생중 0.2g을 가진 식물체로 생육하였다. 따라서 microponic system에서 무병 감자 묘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감자배양액의 전기전도도를 $0.6{\sim}1.0dS{\cdot}m^{-1}$ 조절하여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자루 재배용 배지의 종류와 $NO_3^-:NH_4^+$의 비율이 단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strates and the Ratios of $NO_3^- to NH_4^+$ in Nutrient Solution on Growth and Yield of Sweet Pepper(Capsicum annuum L) in Bag-Culture)

  • 김덕호;김영호;정헌재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82-87
    • /
    • 1998
  • 단고추의 자루재배에 의한 양액재배시 $NO_3$$^{-}$$NH_4$$^{+}$의 비율을 8:2와 10:0으로 하였을 때, 배지 종류에 따른 생육, 수량 및 무기성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지의 무기성분 중 P 및 Mg는 버미큘라이트+왕겨에서, K는 펄라이트+버미큘라이트에서 높았다. 배지내 Ca의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8:2보다 10:0에서 배지내 무기성분의 농도가 높았다. 2. $NO_3$$^{-}$ : $NH_4$$^{+}$ 비율에 따른 양액의 pH 및 EC는 모든 배지에서 작물재배에 적합한 범위를 유지하였으며, pH는 10:0에서 더 안정적이었고, EC는 8:2에서 높게 유지되었다. 3. 초장과 경경은 배지에 따른 생육차가 없었으며, 옆면적은 버미큘라이트+왕겨에서, 생체중, 건물중 등은 피트모스+훈탄에서 무거웠다. 생육은 $NH_4$$^{+}$를 첨가한 8:2의 모든 배지에서 10:0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4. 8:2에서의 과수 및 수량은 버미큘라이트+왕겨에서 17.53개와 1,5889으로 많았으며, 10:0에서의 과수는 버미큘라이트+왕겨에서 16.44개로, 수량은 필라이트+피트모스에서 1,394g으로 많았다. 8:2의 모든 배지에서 10:0에 비하여 과수, 수량, 평균과종, 과경, 과장 및 상품과율 등이 증가하였다. 5. 무기성분은 8:2와 10:0의 경우 $K^{+}$는 잎과 줄기에서, $Ca^{2+}$ 는 뿌리에서, $Mg^{2+}$ 는 잎에서 많았으며, $PO_4$$^{-}$ 는 과실과 줄기에서 많았다. 배지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K^{+}$, $Ca^{2+}$$Mg^{2+}$ 는10:0에서, $PO_4$$^{-}$ 는 8:2에서 각각 많았다.

  • PDF

Establishment of Mass Propagation System of Virus-Free Sweetpotato Plants and Conservation

  • Lee, Joon-Seol;Chung, Mi-Nam;Jeong, Byeong-Choon;Ahn, Young-Sup;Kim, Hag-Sin;Park, Jong-Suk;Bang, Jin-K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20-227
    • /
    • 2007
  • Sweetpotato fields in Korea are highly infected with virus and virus like diseases that greatly diminish both yield and quality as indicated by field observations and laboratory tes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n urgent need to produce and mass propagate virus-free planting materials for distribution to the farmers.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irstly,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culture media, nutrient solution, and cutting intervals to maintain growth and vigor of tissue cultured plantleta as mother plants for propagation in insect-proof greenhouse. And as a labor saving method,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plug trays for rapid propagation of stem cuttings as a source of planting materials was likewise evaluated. Results showed that plants grown in medium B supplied with 0.5 and 1.0 strength of MS nutrients had high growth rate, and 20-day cutting interval was the best. 72-plug tray was better than 128-plug. Secondly, it was to develop a technique for the production of first-generation seed roots using hydroponics cultivation system. The yield of virus-free plants propagated in the non-insect proof and open-field cultivation was 2,402 kg/10a, 6% higher than those in the insect-proof cultivation, and the rate of virus re-infection was 18% higher compared to 3.3% with insect-proof cultivation. Lastly, it was to investigate the growth performance of virus free plants in farmers' field. Differences were existed in the yield depending on the variety used, but virus free plants showed an increase of $6{\sim}24%$ over virus infected plants.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시 배액전극제어법 적용시점 구명 (Application Time of Irrigation Management by Drainage Level Sensor in Tomato Perlite Bag Culture)

  • 김성은;심상연;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4
    • /
    • 2010
  •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 기존에 알려진 배액 전극제어법 적용시기를 가능한 앞당기고, 배양액을 절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처리는 정식후 15일차(T-15), 19일차(T-19), 22일차(T-22)에 배액전극제어법을 적용하는 3개 처리와 타이머법 1개 처리를 실시하였다. 기존의 정식후 1개월 이후에 배액전극제어법 적용하는 관행보다 2주 앞당긴 15일차 처리부터 작물이 배액전극제어법에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장 및 수확량은 배액전극법에서 높았다. 용수이용효율과 비료이용효율은 T-15 처리에서 가장 경제적이었고, 타이머법 처리는 경제성이 낮았다. 따라서 배액전극제어법 처리시기를 빨리 적용할수록 경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건해태(김)의 아연 및 마그네숨 함양과 품질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QUALITY AND CONTENT OF ZINC AND MAGNESIUM IN DRIED LAVER, PORPHYRA TENERA KJELLMAN)

  • 이연우;한성빈;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3-68
    • /
    • 1974
  • The growth of sea weeds is greatly affected by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ambient water. Especially nutrient salts in sea water function as a major factor to the growth of lavers, so that the content of inorganic substances in lavers could he a criterion for quality evaluation of lavers. In this experiment, the relation between the quality and the content of Zinc and Magnesium which are not only physiologically active and closely related with pigments such as chlorophll and phycobilins but also important in quantify is discussed if such a measurement to be an index for quality evaluation. Sixteen samples of layers were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culture farms, 7 from Jangrim-Busan, 6 from Wando-Jeon Nam, 3 from Hadong-Gyeong Nam, and classified into 3 quality grades to each farm and to whole samples by organoleptic test. Zinc and Magnesium were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For pigment analysis, chlorphyll was extracted with 85 percent acetone, filtered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660 nm and the residue was further extracted with phosphoric buffer solution to determine the optical density for phycobilins at 560 nm. The result showed that the total content of Zinc and Magnesium varied between the farms, but kept consistent with quality grades from the same farm. The Zinc content was correlated proportion- ally with the content of phycobilins, and Magnesium content in total ash could roughly represent the content of chlorophll except some examples in which the Magnesium content of chlorophyll-ext ractresiduewasexceptionallyhigher. In conclusion the contents of these metals provide an applicable index for quality judgment of lavers.

  • PDF

Ginsenoside 전환이 가능한 인삼 발효 미생물의 선별 (Screening for Ginseng-Fermenting Microorganisms Capable of Biotransforming Ginsenosides)

  • 김희규;김기연;차창준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2-146
    • /
    • 2007
  • 오래전부터 약재로서 이용되어온 인삼(Panax ginseng)은 그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지면서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서양삼에 비해 점차 뒤처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인삼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인삼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발효인삼은 유용한 미생물을 probiotic으로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생물에 의해 인삼의 ginsenoside 성분이 특이적으로 전환되어 기능적으로 우수한 제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분말만을 영양분으로 한 액체 배지에서 청국장에서 분리된 Bacillus 균주와 유산균의 생장능 및 인삼의 주요 ginsenoside의 전환능력을 알아보았다. 인삼 2.5% (w/v), 1% (w/v)의 인삼분말만을 영양분으로 한 액체배지에서 생장능과 발효 후 ginsenoside의 전환 여부를 확인하였다. 사용한 Bacillus 균주와 유산균 모두 인삼배지에서 $10^{7}\;CFU/ml$을 초과하는 생장능을 보였고, Bacillmus의 경우 ginsenoside $Rg_{1},\;Rb_{1},\;Rb_{2},\;Rc,\;Rd$간에 각 균주마다 특이적인 ginsenoside 전환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이 균주들은 발효인삼의 제조를 위한 접종균주로서 이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시설원예 배출 배액의 수질환경 평가 및 정화 부하량 산정 (The Water Quality and Purification Load Assessment of Drain Water of Facility Horticulture Areas)

  • 손진관;최덕규;공민재;윤성욱;박민정;강동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199-1208
    • /
    • 2019
  • Korea's protected horticulture is rapidly increasing in scale due to various advantages such as year-round harvesting, labor savings through automation and shortened culture period, and greater income gene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rotected horticulture on water 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contributing to improvements towards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co-friendly design of protected horticulture complex. The average T-N and T-P loads from vinyl greenhouses were 286.55± 143.98 mg/L and 59.14±13.77 mg/L, respectively and those from glass greenhouses 380.68 ± 150.41 mg/L and 61.85±20.72 mg/L. The annual discharge of wastewater derived from the monthly discharge from the horticulture greenhouses were estimated at 2597 ton/ha, with the annual phosphorus load amounting to 155.3 kg/ha. The average T-N and T-P loads in the tested greenhouse effluents were in excess of 8.3- and 13.5-fold the standards for the Korean wastewater plant effluent. The waste nutrient solution discharged from a protected horticulture complex can cause water contamin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using a water purification system or a trench method to develop a eco-friendly protected horticulture complex for sustainable agriculture.

돌토끼고사리 포자체의 대량생산을 위한 몇 가지 요인 (Several Factors Affecting Mass Production of Microlepia strigosa (Thunb.) C. Presl Sporophytes)

  • 조주성;이철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1호
    • /
    • pp.46-58
    • /
    • 2017
  • 본 연구는 돌토끼고사리의 포자발아, 전엽체 증식, 포자체 형성 및 육묘의 조건을 구명하여 대량증식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포자 발아는 영양물질의 함량이 낮은 배지에서 촉진되었으며, 특히 Knop배지에서 최종 발아율(100%)과 전엽체의 발달이 우수하였다. MS배지를 기본으로 하여 배지구성물질을 1 / 8-2배로 조절한 배지와 Knop배지에서 전엽체를 배양한 결과, 2XMS배지에서 전엽체의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다수의 장정기가 발달하였다. 또한 배지에 sucrose의 첨가량은 3%가 적절하였으며, 전엽체의 정상적인 증식을 위해 활성탄은 첨가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원예용 상토, 피트모스, 펄라이트 및 마사토 등을 이용하여 포자체 형성에 적합한 배양토와 육묘용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생육이 우수한 다수의 포자체를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상토 : 피트모스 : 마사토를 1 : 1 : 1(v : v : v)로 혼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또한 형성된 포자체들은 50공 플러그 트레이에 상토 : 마사토를 2 : 1(v : v)로 혼합한 토양을 충진하여 육묘하였을 때 지상부의 생육이 왕성하고 뿌리의 발생량도 가장 많았다.

인삼의 엽록형 황증에 관한 연구 제1보 Mn의 과잉흡수가 엽록형 황증발생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Marginal leaf chlorosis of Ginseng Plant (1) The Effect of Excess Manganese uptake on the occurrence of marginal leaf chlorosis)

  • 이태수;김명수;홍순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105-113
    • /
    • 198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occurence of marginal leaf chlorosis in ginseng plants (Panax ginseng C.A. Meyer), and to determine its emersion in fields (practically) and in pots (experiment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ginseng plants raised in acidic soil containing a high a moue t of Mn showed marginal leaf chlorosis. Henre it Ivas suggested that the shoot growth and root weights became grad gractually lower. The leaves having marginal leaf chlorosis contained low amounts of N, P,. Ca, Mg, and Na and the Fe/Mn ratios were low. There was a corresponding increase in Mn uptake. It was founrl that in soils where marginal leaf chlorisis occured the pH urar brlolv 4.2 to 4.9 and the Ca, Mg and Na content was decreased thus effectively increasing the available manganese in the soil. The Mn/Fe ratios in the yellow leaf margins of ginseng Plants affected by the Mn toxicity was over 2.0 compared to the general Mn/Fe ratio of 0.50 for healthily leaves, stems and roots. Typically when ginseng plants grow fields having soil with a pH below about 5.0, there tenor to be an uptake of excess Mn. When ginseng plants are grown in a nutrient sand culture solution It with an increased Mn concentration, they accumulate large amounts of Mn in the roots and in the shoots. In both casts marginal leaf chlorosis appeared in the emersions.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ginseng plants raised in acidic soil and containing a high amount of Mn showed marginal leaf chloro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