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salt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5초

상향류식 혐기성 생물막 여상(UBF)의 운전 특성 -침칠수 처리를 중심으로-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UBF -Anaerobic Digestion of Landfill Leachate-)

  • 김형석;김철;성낙창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54
    • /
    • 1996
  • The anaerobic landfill leachate treatment can surmount dilution problem of high concentration landfill leachate, collect methane gas as byproduct, and treat low phosphate concentration leachate because of low nutrient salt requirement.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anaerobic treatment that are requirement of large reactor because of low microbial growth rate(HRT=20-30 days) and low volumetric loading rate(VLR=0.5-2.0 kg $COD/m^3\cdot day$) are able to surmount by introduction of high rate anaerobic treatment. In this study, the upflow blanket filter(UBF) which is high rate anaerobic process was applyed to the landfill leachate treatment. The acceptable volumetric loading rate and HRT were 18.23 kg $SCOD/m^3\cdot day$ and 13 hrs. SCOD removal rate was over 90% at VLR 18.23 kg $SCOD/m^3\cdot day$. The methane gas yield was $0.15 lCH_4/g$ SCOD added(at STP) at VLR 18.23 kg $SCOD/m^3\cdot day$. The solids accumulation yield was 0.40 g VSS/g COD removed.

  • PDF

고령자를 위한 영양강화 유제품 개발: I. 고령자 영양실태 및 고령자용 식품 현황 (Application of Dairy Food Processing Technology Supplemented with Enriched Nutrients for the Elderly: I. Nutritional Conditions and Care-foods for the Elderly)

  • 김범근;박동준;오세종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69-80
    • /
    • 2019
  • The elderly often experience difficulty while eating; this can include physical problems, such as chewing and swallowing. Furthermore, their salt intake can be high due to a diminished sense of taste and smell. This can result in a reduction in calorie intake and subsequent malnourishment. Currently, the number of food products available in the market that are targeted specifically at the older population is very low. Development of nutritional supplement-based foods for the elderly is expected to reduce these dietary problems and therefore prevent nutritional deficiencies within this population. Milk and other dairy products are excellent sources of nutrition in terms of both nutrient content and absorption rates. Dairy products have been consumed around the world for centuries, and therefore represent an excellent food source for the elderly. In addition, use of milk-derived ingredients, such as casein and calcium, will enable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food products and supplements targeted at this specific age group.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ilk and other dairy products will be used to develop a variety of nutritious food items for the elderly in the domestic food market.

Sodium Chloride가 치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저염치즈 개발 기술: 총설 (The Effect of Sodium Chloride on the Quality of Cheese and Upcoming Technologies for Manufacturing Reduced-Sodium Cheeses: A Review)

  • 천정환;김현숙;김동현;김홍석;송광영;정동관;김수기;서건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47-57
    • /
    • 2015
  •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식료품에 함유된 NaCl을 낮출 것을 권하고 있으며, 식품 내 NaCl 수치 감소시키는 것은 중요한 연구분야가 되었다.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의 과다 섭취는 고혈압, 골다공증, 뇌졸증, 신장결석, 심혈관계 질환 등의 다양한 질병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많은 연관되어 있다. 산업국가에서는 치즈등의 가공식품을 통해 많은 양의 소금을 섭취하고 있기 때문에, 치즈 내 NaCl의 함유량 감소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따라서 최근에 치즈 내 NaCl의 함유량을 감축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이용되고 있다. NaCl은 치즈 내에서 방부제 역할을 하며, 식품의 풍미를 높이고, 치즈의 주요 기능적 특성을 담당하기 때문에, 치즈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치즈에 함유된 NaCl을 감소하는 것은 쉽지 않다. 대체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치즈에 함유된 NaCl을 감축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NaCl 감소 시에 발생하는 식품의 관능적 특성, 유동학 및 안정성 문제들이 보고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식품 내 NaCl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NaCl 대체(NaCl substitution)라고 불리는 방법이 있으며, 이 방법은 NaCl을 부분적으로 다른 염분(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으로 대체함으로써 식품에 함유된 NaCl 수치를 감소시킨다. 실례로 자연치즈에 함유된 NaCl을 KCl로 대체하였을 때 치즈의 특성, 특히 맛에 변화와 안정선에 문제가 야기되었다. 반면, 가공치즈에 함유된 NaCl을 KCl로 대체하였을 때, 치즈의 특성이 큰 영향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이 방법을 사용하여 치즈에 함유된 NaCl의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연치즈 내의 NaCl 함량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치즈에 함유된 NaCl의 역할, NaCl과 건강문제, NaCl 감소 방법, 다른 염분(특히 염화칼륨으로 NaCl 대체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방법 등에 관한 더 많은 향후 연구가 많이 필요하며, 적극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통계분석을 이용한 새만금호의 수질특성 평가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emangeum Lake Using Statistical Analysis)

  • 김종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97-306
    • /
    • 2023
  • 새만금호는 우리나라 최대의 인공호수로 호수의 수질은 갈수록 악화되어 가고 있어 호수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수질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새만금호의 국가수질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 기법에 의한 새만금호의 시공간적 수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질항목간의 상관성에서 수온과 TP는 상관성이 있고, 염분과 TN, 그리고 pH와 COD가 상관성이 높았다. 그 외 항목들 간에는 낮은 상관성을 나타내어 관련성이 낮았다.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새만금호의 공간적 수질특성을 보면, 크게 4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는데, 담수 영향구역과 해수 영향구역,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중간 수역이 2개 그룹으로 구분되어 각각 다른 수질특성을 나타내었다.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시간적 수질특성은 계절적으로 4가지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그룹I은 늦봄과 초여름에 해당되는 5, 6월이고, 그룹 II는 계절적으로 초봄(3, 4월)과 늦가을(11, 12월)에 해당되는 시기로 나타났으며, 그룹 III은 낮은 수온에 의한 용존산소의 증가가 나타나는 계절인 겨울철(1, 2월)의 수질 특성을 보였고, 그룹 IV는 하계(7, 8, 9, 10월) 성층의 발달로 저층 퇴적물의 높은 인농도와 하계 고수온의 상관성을 가지는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이는 새만금호가 인위적으로 조성된 호수로써 상류 만경강과 동진강의 유입 영향을 받는 것과 동시에 새만금 방조제에 설치된 가력과 신시갑문을 통한 외해수 유입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수질의 변동요소가 달라진 것으로 평가된다. 새만금호의 목표수질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류 유역의 오염원 관리 대책과 함께 새만금호의 수질관리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인공사료를 이용한 네눈쑥가지나방(Ascotis selenaria)(나비목: 자나방과) 실내 사육법 (Rearing Method for Ascotis selenaria (Lepidoptera: Geometridae) using an Artificial Diet)

  • 최경산;박영미;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55-63
    • /
    • 2011
  • 본 연구는 감귤에 발생하는 해충인 네눈쑥가지나방의 실내 사육용 인공사료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인공사료의 주 재료로 옥수수와 메주콩을 조합한 사료에서만 정상적으로 발육하였으며, 옥수수와 메주콩의 전체 함량이 높은 사료에서 유충 생존성이 높았다. 효모와 콜레스테롤을 인공사료에 첨가하였을 때, 유충 발육기간은 짧아지고, 생존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육기간, 누적 생존율, 산란량에 차이는 인공사료와 감귤 잎을 먹은 개체들 간에 없었다. 최종적으로 네눈쑥가지나방 사육에 최적인 인공사료 조성은 물 1 L당 한천 25 g, 옥수수 100 g, 메주콩 100 g, 효모 30 g, 콜레스테롤 0.5 g, 비타민혼합물(Vanderzant vitamin mix.) 2 g, 염혼합물(Wesson's salt mix.) 2 g, 소르브산 2 g, 메틸파라벤(methyl-4-hydroxybenzoate) 2.5 g, 아스코르브산 2 g이었다. 사육법으로 유충은 플라스틱 원형용기(${\varphi}90{\times}40$ mm) 안에서, 갓 부화 유충부터 4령까지는 40마리씩 집단으로, 5령과 6령은 개체별 사육하였다. 성충들에는 10% 설탕물을 먹이로 하여 플라스틱 상자 안($25{\times}25{\times}25$ cm)에서 암컷 3마리와 수컷 5~6마리가 교미하도록 했고, 난괴는 거즈(눈 크기 1 mm)를 붙인 기름종이에 받았다. 기타 인공사료로 사육한 네눈쑥가지나방의 발육단계별 형태적 특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혈당 수준에 따른 영양섭취 및 음식섭취 상태 (Nutrients and Dish Intake by Fasting Blood Glucose Level)

  • 최지현;문현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5호
    • /
    • pp.463-474
    • /
    • 2010
  • The nutrient intake and association between dish group intake and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level (TG, cholesterol, LDL and HDL) was analyzed among 3 groups: 452 subjects in normal blood glucose group (NG: fasting blood glucose < 100 mg/dL and 2 hours postprandial blood glucose < 140 mg/dL), 258 subjects in impaired fasting glucose group (IFG: fasting blood glucose 100~125 mg/dL and 2 hours postprandial blood glucose ${\geq}$ 140 mg/dL) and 101 subjects in diabetic group (DG: fasting blood glucose $\geq$ 126 mg/dL and 2 hours postprandial blood glucose ${\geq}$ 140 mg/dL).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f Korea. The 811 subjects were adults aged 40~64 without dietary treatment. In nutrients intake, IFG was the highest and DG the lowest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DG, especially, had the lowest intake in carbohydrates, fiber, proteins, Ca, P, K, vitamins B1 and C, and consumed the highest amount of alcohol. In macronutrients distribution ratio, the DG diet showed a lower energy intake from carbohydrates but higher from fat than the NG diet, while IFG showed a higher energy intake from carbohydrates and lower intake from fat in supper out of 3 meals and snacks. IFG preferred salt-fermented foods and DG preferred soups, braised foods and kimchi compared to other groups. NG preferred multi-grain cooked rice and both IFG and DG preferred plain white cooked rice.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dish group intake and blood glucose, cooked rice, soups, salt-fermented foods and kimchi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blood glucose. In blood lipids, steamed-foods, beverages and fruits were inversely related to the risk of developing type 2 diabetes, whereas cooked rice, stews, saltfer-mented foods, seasoned-fermented foods and seasoned vegetables wer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risk of developing type 2 diabetes and related diseases. Therefore, it is beneficial to avoid rich, salty and fatty foods and heavy alcohol consumption for controlling blood glucose and blood lipids, while steamed foods, foods rich in fiber (like multigrain rice) as a staple, and fruits and teas are recommended for preventing or managing type 2 diabetes risks.

Molecular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of a Novel Trehalose-6-phosphate Synthase Homologue from Ginkgo biloba

  • Wu, Weisheng;Pang, Yongzhen;Shen, Guo-An;Lu, Jie;Lin, Juan;Wang, Jin;Sun, Xiaofen;Tang, Kexuan
    • BMB Reports
    • /
    • 제39권2호
    • /
    • pp.158-166
    • /
    • 2006
  • In many organisms, trehalose acts as protective metabolite against harsh environmental stresses, such as freezing, drought, nutrient starvation, heat and salt. Herein a cDNA (designated as GbTPS, GenBank Accession Number AY884150) encoding a trehalose-6-phosphate synthase homologue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from the living fossil plant, Ginkgo biloba, which is highly tolerant to drought and cold. GbTPS encoded an 868-amino-acid polypeptide with a predicted isoelectric point of 5.83 and molecular mass of 97.9 kD. Amino acid sequence alignment revealed that GbTPS shared high identity with class II trehalose-6-phosphate synthase homologues (67% identical to AtTPS7), but had only 17% and 23% of identity with OstA from Escherichia coli and ScTPS1 from S. cerevisiae, respectively. DNA gel blot analysis indicated that GbTPS belonged to a small multi-gene family. The expression analysis by RT-PCR showed that GbTPS expressed in a tissue-specific manner in G biloba and might involve in leaf development. GbTPS was also found to be induced by a variety of stresses including cold, salt, drought and mannitol.

식이조성(食餌組成)에 따른 식염섭취량(食鹽攝取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Sodium Chloride Intake Related to the Composition of the Diet)

  • 김갑영;이기열;신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6권4호
    • /
    • pp.15-22
    • /
    • 1973
  • Sodium chloride plays an important role as the main condiment at daily meal. It is well known that humans require sodium chloride as an essential nutrient to keep the homeostasis of electrolytes. The amounts of salt intake may be a reflection of geography, culture and food habit rather than necessity. Lee has reported (1962) that Koreans ingest high amounts of sodium chloride in their meals, with an intake of excess carbohydrate (80-90% of total Calories) and low protein in their diet. This includes large amounts of rice, Kimchi and other fermented soybean products common in the Korean diet. This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study the dietary relations of sodium chloride to other nutrients in the Korean diet. Twenty four albino male rats, weighing from 290-300g, were divided into four dietary groups according to the amounts of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in the basal diet. Each diet contained a rice powder as a carbohydrate source. Diet I was a control diet, Diet II, low protein, Diet III, low protein and low fat diet and Diet IV, low fat diet. All rats were provided with 3% sodium chloride solution. Diet and salt solution were given ad libitum.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9 weeks during which time the body weight, the food intake, and 3% sodium chloride solution consumption were determined. At the 9th week, the urine was collected the blood sample from the artery of each rat for the analysis of sodium and potassium and other chemical studies. The rats were sacrificed and the kidney, adrenal, liver and spleen were measured, and observed changes of the pathological tissue in the kidney and adrenal.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rowth rate was higher in Diet I than in the other experimental diets (II, III and IV) after 4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Diets II, III and IV. 2) The daily food intake was greater in the experimental diets II, III and IV than in the control die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high carbohydrate diets Diet II, III and IV. 3) The daily water (3% sodium chloride solution) intake was also greater in the Diets II, III and IV, than in the control die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Diets II, III and IV. 4) The concentration of sodium and potassium in the blood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in all diets. 5) The amount of sodium chloride in the urin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Diets II, III and IV than in the control diet. Diets II, III, IV had a larger amount of sodium solution consumption. 6) Observation of pathological tissue in the experimental diets found a cell proliferation in the glomerlulus of the kidney, while such change was not found in the control diet.

  • PDF

시비방법이 무기염의 토양집적과 딸기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Yield of Strawberry $(Fragaria\;\times\;ananassa\;Duchesne)$ 'Nyoho' and Salt Accumulation in PE Film House Soil as Affected by Fertilization Program)

  • 정석기;최종명;이영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8-45
    • /
    • 2005
  • 본 연구는 딸기 시설재배에서 시비방법이 작물의 생육, 무기원소 흡수 및 토양 중 무기염 집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1차 년도의 시비방법에 따른 딸기 생육에서 초장, 엽장, 관부직경, 엽병장 및 엽폭은 대조구를 제외한 시비구들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10a당 수량에서 (D)가 가장 많았고, (A), 농촌진흥청 추천시비(B), 일본의 도치기시험장 추천시비(C) 및 대조구(E)순으로 수확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D)와 (E) 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2차년도 정식 80일 후에 조사한 생육 또한 (E)를 제외한 시비구들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2차년도의 수량 및 평균 과중 등은 1차년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2차년도 토양분석에서 pH는 모두 수용 가능한 범위에 포함되었으나 (A)와 (D)에서 EC가 2.36 및 2.19%$dS{\cdot}m^{-1}$로 측정되었다. (A)와 (D)는 토양 $NO_{3-}N$ 농도가 각각 74.6 및 65.%$mg{\cdot}L^{-1}$, 그리고 Na가 3.71 및 3.53$cmol+kg^{-1}$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A) 및 (D)는 수량 증가를 위해 바람직 하나 토양의 $NO_{3-}N$ 및 Na 농도를 높여 염류집적을 심화시키는 시비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연작장해 경감을 위한 시설 고추의 왕겨 혼합 소토양 재배기술 (Green Pepper Cultivation in Mixture Bed of Soil and Rice Hull for Alleviation of Salinity Problems in Plastic Film House)

  • 김진원;정종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40-344
    • /
    • 2005
  • 수년간 고추를 연작한 비닐하우스에서는 연작 또는 염류집적에 따른 수량감소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고추의 수량감소를 줄이면서 설치한 비닐하우스의 사용연한을 연장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기존 토양에 왕겨를 혼합한 소토양관비재배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는 관행재배 시험구에 비하여 토양 EC가 $4dS\;m^{-1}$ 이하로 낮아졌으며 두 재배방법 사이에 지상부 생육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뿌리의 발달은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 현저히 좋았다. 특히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는 잔뿌리의 발달이 많았으며 관행재배 시험구에서는 뿌리 양이 적을 뿐만 아니라 굵은 뿌리가 많이 발생되었다. 풋고추 수량은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 43% 정도 증가되었는데, 이는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의 양호한 뿌리 발달이 양분흡수에 기여하였고 결과적으로 수량 증대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초기 단계의 연구결과이며, 소토양관비재배방법이 연작 토양 시설물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을 뿐이다. 소토양관비재배방법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