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loss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28초

체질량지수 $23\;kg/m^2$ 이상 남녀에서 8 주간의 의학 영양 치료에 의한 저열량 식이 섭취가 체격지수 및 혈액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8 Weeks of Low Calorie Diet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Parameters in the People with BMI Greater than $23\;kg/m^2$)

  • 김윤영;이인회;이인석;조여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25-731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low-calorie diets(LCD) for 8 week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in individuals with BMI in excess of $23\;kg/m^2$. 41 over-weight or obese individuals (male=14, female=27, age $28.6{\pm}8.9\;yrs$), none of whom were diagnosed with a medical disease, were administered MNT 4 times over the study period. Approximately $1,100{\sim}1,300\;kcal/day$ were prescribed by a dietitian, via individualized counseling. Anthropometric parameters, daily nutrient intake, and blood levels of leptin, insulin, and lipid profiles were measured prior to and after the 8 weeks of the intervention period. We noted significant reductions in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fat mass (FM), visceral adipose tissue (VAT), abdominal skin-fold thickness, and waist circumference in both men and women. The mean body weight losses in men and women were $3.2{\pm}0.6\;kg$/8 weeks and $2.8{\pm}0.6\;kg$/8 weeks, respectively. However, the % of lean body mass (LBM) in men and women was shown to increase significantly (p<0.05). The daily intake of calorie, fat, protein, vitamin E, folate, and ir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during the LCD period. Blood levels of lipids and glucose were in normal range, and evidenced no changes after LCD. However, the serum levels of leptin in femal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p<0.00l) from $8.9{\pm}4.8\;ng/mL$ to $6.9{\pm}4.8\;ng/mL$. In conclusion, 8 weeks of LCD with individualized counseling by a dietitian effectively reduced body fat and visceral fat in both men and women with BMI in excess of $23\;kg/m^2$.

  • PDF

취청오이, 백다다기오이, 노각의 조리방법에 따른 영양 성분 및 잔존율 연구 (Comparison of Nutrient Content and Retention Rate among Chuichung Cucumber, White Dadagi Cucumber, and Yellowish Overripe Cucumber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 김홍균;정혜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350-1357
    • /
    • 2017
  • 본 연구는 오이의 종류와 조리방법에 따라 일반성분 및 무기질 함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오이는 취청오이, 백다다기오이, 노각 3종류를 생재료와 삶기, 찌기, 굽기, 로스팅, 볶기, 튀기기, 전자레인지 7가지 조리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성분과 무기성분의 잔존율과 각각의 함량에 대한 종류 및 조리방법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오이는 모두 조리과정에서 중량이 감소하였다. 대부분의 일반성분과 무기질은 종류와 조리방법의 영향을 모두 받았지만 단백질은 영향을 받지 않았고, 철 함량은 조리방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구리 함량은 종류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성분 중 단백질, 지방, 회분은 튀기기 했을 때 함량이 높았고 수분은 원재료, 삶기, 찌기를 했을 때 높았다. 무기질은 로스팅과 전자레인지 조리를 한취청오이의 함량이 높았고, 백다다기오이와 노각은 튀기기를 했을 때 전반적인 함량이 높았다. 단백질, 지방, 수분, 회분의 잔존율은 각각 30~100%, 10~100%, 35~90%, 30~100% 범위로 나타났다. 무기질은 로스팅, 전자레인지, 삶기를 한 취청오이가 높은 잔존율을 보였고, 백다다기오이와 노각은 튀기기를 했을 때 높은 잔존율을 보였다. 취청오이는 찌기를 했을 때, 백다다기오이와 노각은 삶기와 찌기를 했을 때 잔존율이 낮았으며, 특히 노각의 경우 20~45%로 낮은 잔존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오이에 대한 조리 전후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다양한 오이 종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동종동맥판 혈관내피세포의 생육성 평가에 관한 연구 (Flow Cytometric Analysis of Endothelial Cell Viability in Arterial Allograft)

  • 임창영;홍은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553-558
    • /
    • 1997
  • 동종동맥판은 심장판막질환, 선천성 심기형 및 대동맥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판막도관으로 사용 되고 있다. 이 때 동종동맥 판의 장기성적을 좌우하는데 있어서 혈관내피세포의 생육성이 중요한 역활을 할 것이다. 혈관내피세포의 생육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보존방법으로 보존처리된 성돈의 대동맥판 및 대동맥 벽을 collagenase로 분해시켜서 순수한 내퍼세포군을 획득한 뒤, 혈관내피세포에 특이한 친화성을 갖는 GSA-FTTC(Criffonia simplicifolia agglutininfluorescein isothiocyanate)와 반응시켰다. 이 내피세포군을 세척한 다음, 살아있는 세포에는 침착되지 않는 Pl(Ropidium iodide)와 반응시켰다. 이렇게 처리된 내피세포군을 Row Cytometry 로 분석하여 GSA-FTIC(+), Pl(-) 인 세포를 생육성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동종동맥판은 $4^{\circ}C의$ 멸균용액에 24시간 담궈 멸균처리를 한 후, 2개군으로 나누어 (1군)은 $4^{\circ}C$ RPM 1640 with HEPES buffer cultlue medium with 10% fetal bovine uTm 용액에 1~14일간 보존하였고 (2군)은 냉동보존을 하였다. 조직의 획득과정과 멸균과정에서 각각 22.8%와 24.4%의 생육성이 소\ulcorner되었다. (1군) 에서는 14일의 보존기간 동안 11.9%의 생육성감소가 일어났고 (2군) 에서는 13.7%의 생육성감소가 일어났다. 이 실험의 결과로 동종동맥 판의 보존처리과정 초기에 대부분의 생육성소실이 일어나며, 14일간의 냉장보존이나 냉동보존 후에도 약 40%의 생육성이 보존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혈관내피세포가 판막에서 얻어진 경우나 동맥벽에서 얻어진 경우에서 생육성의 차이는 없었다.

  • PDF

열처리방법에 따른 한지형 및 난지형 마늘의 영양성분 변화 (Changes in Nutritional Component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Types Garlic by Different Heat Treatments)

  • 이주혜;이지윤;황진봉;남진식;이준수;김소민;한혜경;최용민;김세나;김행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5-252
    • /
    • 2016
  • Purpose: To provide the public with nutritional information on consumption types of garlic, we evaluated the influence of heat treatment method on the nutritional contents of different species of garlic. Methods: We determined the content of general components, minerals, vitamins, and fatty acids in each species of garlic produced in Seosan and Goheung by heating with blanching or microwave roasting. Results: The results of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indicated that the species in particular, as well as method of heat treatment and interaction, had an influence on nutritional content. The moisture and crude fat content was higher in Southern type garlic than in Northern type garlic, while crude proteins, crude ash, and dietary fibers were more abundant in Northern type garlic than in Southern type garlic. With regard to the total mineral content, K, P, Mg, and Ca were the main components in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Moreover, unsaturated fatty acids showed high levels in both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with more abundant linoleic acid. Overall, Northern type garlic showed a higher content of minerals and fatty acids, while more vitamin B was present in Southern type garlic.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tent of general components (dietary fiber excluded) was increased in both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upon heat treatment. Blanching resulted in increased mineral and fatty acid content in Southern type garlic and decreased content in Northern type garlic, indicative of species differences; conversely, microwave roasting contributed to an increase in the content in both Northern type garlic and Southern type garlic. Conclusion: The nutritional content of garlic is more dependent on species than the cooking method, and grilling is associated with less nutrient loss than blanching.

Blanching에 따른 세발나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by Blanching)

  • 이재준;정해옥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66-872
    • /
    • 2012
  • 본 연구는 주로 blanching하여 나물로 섭취되고 있는 염생식물인 세발나물을 가지고 데침 과정에 의하여 일반성분, 유리당, 구성 아미노산, 유기산,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의 주요 성분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Blanching에 의해 탄수화물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의 함량은 감소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세발나물의 총 유리당 함량은 blanching에 의해 62.50% 감소되었고, 유리당 중 galactose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생 세발나물에 비하여 데친 세발나물의 총 구성 아미노산 및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의 함량은 각각 12.17%와 11.78% 감소되었고, 검출된 모든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 모두 blanching에 의해 감소되었으나, 생 세발나물과 데친 세발나물의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 아미노산의 비율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총 유기산 함량은 blanching에 의해 15.75% 감소되었고, 검출된 유기산 중 acetic acid를 제외한 4종의 유기산 함량 모두 blanching에 의해 감소되었다. 비타민 C와 E의 함량은 각각 17.84%와 27.12% 감소되었고, 총 무기질 함량은 21.18% 감소되었으며 생 세발나물에 가장 많이 함유된 Na 함량의 손실이 가장 컸다. 본 연구 결과 세발나물은 다량의 유용한 영양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식품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아 앞으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blanching에 의해 유리당, 구성 아미노산, 유기산,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의 성분들이 감소되어 앞으로 이러한 성분들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blanching 조건이 연구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랭지배추 재배지 토양보전을 위한 동반작물 지면패랭이 (Phlox subulata, Cover Plant for Soil Conservation in Chinese Cabbage-Cultivated Highland)

  • 김기덕;안재훈;이정태;홍순춘;황선웅;김충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65-470
    • /
    • 2007
  • 고랭지 경사밭에서 동반작물의 토양보전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랭지 배추재배지에 지면패랭이, 긴병꽃풀 등 지피성 동반작물을 배추와 동반정식, 상시피복정식, 배추단독정식 시, 이들에 의한 피복률 변화, 토양 및 양분유실, 잡초억제 정도를 조사하였다. 지면패랭이의 상시피복구는 배추 정식기에서 종료기까지 100%의 피복률을 보였다. 긴병꽃풀은 정식초기 10%의 피복률이 수확기에는 100%에 이르렀으나, 배추와 동시에 정식한 피복구는 약 60%로 배추에 의한 피복률을 크게 상회하지 못하였다. 토양 및 질소유실이 무지피에서는 $20.8ton\;ha^{-1}$, $2.1kg\;NO_3{^-}-N\;ha^{-1}$, 배추단독으로 재배되거나 배추와 동시에 정식된 동반정식처리구에서는 $8.9{\sim}10.5ton\;ha^{-1}$, $1.5{\sim}2.2kg\;NO_3{^-}-N\;ha^{-1}$이었으나 긴병꽃풀이나 지면패랭이 상시피복구에서는 $0.1{\sim}0.2ton\;ha^{-1}$, $0.2{\sim}0.4kg\;NO_3{^-}-N\;ha^{-1}$로 낮아져, 지피작물에 의한 토양 및 비료 유실저감 효과가 매우 높았다. 이들의 피복은 잡초발생을 약 70% 억제하였다. 따라서 지면패랭이의 이용은 잡초발생억제는 물론 토양유실 및 비료유실을 줄일 수 있어 고랭지배추 재배지에서 환경보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storage time and the level of formic acid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epiphytic microflora, carbohydrate components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rice straw silage

  • Zhao, Jie;Wang, Siran;Dong, Zhihao;Li, Junfeng;Jia, Yushan;Shao, Tao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6호
    • /
    • pp.1038-1048
    • /
    • 2021
  •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torage time and formic acid (FA)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epiphytic microflora, carbohydrate components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rice straw silage. Methods: Fresh rice straw was ensiled with four levels of FA (0%, 0.2%, 0.4%, and 0.6% of fresh weight) for 3, 6, 9, 15, 30, and 60 d. At each time point, the silos were opened and sampled for chemical and microbial analyses. Meanwhile, the fresh and 60-d ensiled rice straw were further subjected to in vitro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0.2% and 0.6% FA both produced well-preserved silages with low pH value and undetected butyric acid, whereas it was converse for 0.4% FA. The populations of enterobacteria, yeasts, moulds and aerobic bacteria were suppressed by 0.2% and 0.6% FA, resulting in lower dry matter loss, ammonia nitrogen and ethanol content (p<0.05). The increase of FA linearly (p<0.001) decreased neutral detergent fibre and hemicellulose, linearly (p<0.001) increased residual water soluble carbohydrate, glucose, fructose and xylose. The in vitro gas production of rice straw was decreased by ensilage but the initial gas production rate was increased, and further improved by FA application (p<0.05). No obvious difference of FA application on in vitro digestibility of dry matter, neutral detergent fibre, and acid detergent fibre was observed (p>0.05). Conclusion: The 0.2% FA application level promoted lactic acid fermentation while 0.6% FA restricted all microbial fermentation of rice straw silages. Rice straw ensiled with 0.2% FA or 0.6% FA improved its nutrient preservation without affecting digestion, with the 0.6% FA level best.

시비 처리가 백합나무 용기묘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ertilization on Growth Performance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riodendron tulipifera in a Container Nursery System)

  • 조민석;이수원;박병배;박관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305-313
    • /
    • 2011
  • 시비는 시설양묘과정에서 반드시 실시되어야 하지만, 토양 및 계류수 오염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설양묘과정에서 시비량 조절에 따른 친환경적 경제적 시비방법 구명을 위해 Constant rate, Three stage rate 및 Exponential rate 등의 3 가지 시비 처리를 실시하였으며, 시비 처리에 따른 생장 특성 및 광합성, 엽록소 형광반응,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근원경, 간장 및 물질생산량은 Constant 처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묘목품질지수 또한 같은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Exponential 처리구에서도 50%의 시비량으로 규격묘 생산이 가능했다. 광합성 능력은 세 처리구 모두 우수하였으며, 광화학 효율과 엽록소 함량은 Exponential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Exponential 시비 방법으로 생리 및 생장에 문제없는 규격묘를 생산할 수 있었다. 즉, 최소 비용의 최대 생장 효과와 함께 친환경적 시비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한국 노인의 식사 섭취와 노쇠와의 연관성 연구: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 between frailty and dietary intake amongst the Korean elderly: based on the 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양수현;장원;김양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6호
    • /
    • pp.631-643
    • /
    • 2021
  • 본 연구는 제7기 3차년도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노쇠에 따른 영양소와 식품섭취의 차이를 분석하고 식품섭취와 노쇠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성별에 따른 노쇠 유병률은 남성은 9.7%, 여성은 21.9%로 여성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성별에 관계없이 남녀 노쇠군은 평균영양소 적정섭취비 (MAR)와 18가지 식품군에 대한 총 식품 섭취량이 유의하게 적었다. 식품 섭취수준에 따른 노쇠와의 연관성은 남성의 경우 과일류 (OR [95% CI] = 0.34 [0.13-0.93])의 상위 3삼분위 섭취군이 하위 1삼분위 섭취군에 비해 노쇠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다. 여성의 경우 어패류 (OR [95% CI] = 0.55 [0.30-0.99])의 상위 3삼분위 섭취군이 하위 1삼분위 섭취군에 비해 노쇠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식이섭취와 노쇠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남성의 경우 과일류 섭취가, 여성의 경우 어패류 섭취가 낮은 노쇠 위험과 관련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Hot-melt extruded copper sulfate affects the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copper bioavailability of broiler chickens

  • Kim, Min Ju;Hosseindoust, Abdolreza;Lee, Jun Hyung;Kim, Kwang Yeoul;Kim, Tae Gyun;Chae, Byung Jo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3호
    • /
    • pp.484-493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upplementation of diets of broiler chickens with hot-melt extruded CuSO4 (HME-Cu) on their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gut microbiota, small intestinal morphology, meat quality, and copper (Cu) bioavailability. Methods: A total of 225 broilers (Ross 308), one-day old and initial weight 39.14 g, were weighed and distributed between 15 cages (15 birds per cage) in a completely randomized experimental design with 3 treatments (diets) and 5 replicates per treatment. Cages were allotted to three treatments including control (without supplemental Cu), IN-Cu (16 mg/kg of CuSO4), and HME-Cu (16 mg/kg of HME processed CuSO4). Results: The HME-Cu treatment tended to increase the overall body weight gain (p<0.10).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Cu was increased by supplementation of HME-Cu at phase 2 (p<0.05). The Escherichia coli count in cecum tended to decrease with the supplementation with Cu (p<0.10). In addition, the HME-Cu treatment had a higher pH of breast meat than the control and IN-Cu treatments (p<0.05).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cooking loss, water-holding capacity, and lightness in the breast were observed in the HME-Cu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The Cu content of excreta increased with the Cu supplementation (p<0.05). The concentration of excreta Cu in broilers was decreased in the HME-Cu compared to the IN-Cu in phase 2 (p<0.05). The Cu concentration in the liver was increased with the HME-Cu supplement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diets (p<0.05).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HME-Cu supplementation at the requirement level (16 mg/kg diets) in broiler diets did not affect the growth performance and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Cu in broilers. However, supplementation of Cu in HME form improved the meat quality and the bioavailability of C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