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mber of Hours of Relative Humidity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잎도열병(稻熱病) 발생(發生)에 미치는 온도(溫度), 상대습도(相對濕度) 및 잎표면상(表面上)의 수분존재시간(水分存在時間)의 영향(影響) (Effects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Leaf Wetness Period on the Development of Rice Leaf Blast)

  • 최우정;박은우;이은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21-228
    • /
    • 1987
  • 도열병균(稻熱病菌)(Pyricularia oryzae)의 포자발아(胞子發芽)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26{\sim}30^{\circ}C$였으며, 발아(發芽)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분존재시간(水分存在時間)은 4시간으로 나타났고, $34^{\circ}C$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1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포자발아(胞子發芽)에 대한 상대습도의 영향은 고온(高溫)인 $34^{\circ}C$에서만 차이가 있었고 나머지 처리에서는 유의적(有意的)인 차이가 없었다(P>0.05). 발병효율(發病效率)은 $26^{\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8^{\circ}C$$22^{\circ}C,\;30^{\circ}C$에서는 $26^{\circ}C$에 비해 약 20% 정도였다. 주당(株當) 1개 이상의 병반(病斑)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평균수분존재시간(平均水分存在時間)은 $18^{\circ}C$에서 22시간, $22^{\circ}C$에서 16시간, $26^{\circ}C$에서 10시간, $30^{\circ}C$에서는 8시간이었으며, $34^{\circ}C$에서는 주당(株當) 1개 이상의 병반(病斑)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접종(接種)후 병반(病斑) 발현시(發現時)까지의 잠복기간(潛伏其間)은 $18^{\circ}C$에서 $7{\sim}8$일(日), $22{\sim}26^{\circ}C$에서는 약 $4{\sim}5$일(日), $30^{\circ}C$에서는 $3{\sim}4$일(日)이었다. 병반(病斑) 크기 증가율(增加率)은 온도 및 습도조건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1일당(日當) 평균(平均) 병반(病斑) 크기 증분(增分)은 상대습도 90% 이상인 경우, $18^{\circ}C$$22^{\circ}C$에서 0.7mm, $26^{\circ}C$에서 1mm, $30^{\circ}C$에서는 0.8mm 였고, 상대습도 85% 이하에서는 $30^{\circ}C$를 제외한 온도 조건에서 90% 이상에서의 증분(增分)의 $50{\sim}60%$ 밖에 되지 않았다.

  • PDF

A Statistical Approach to Examine the Impact of Various Meteorological Parameters on Pan Evaporation

  • Pandey, Swati;Kumar, Manoj;Chakraborty, Soubhik;Mahanti, N.C.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3호
    • /
    • pp.515-530
    • /
    • 2009
  • Evaporation from surface water bodies is influenced by a number of meteorological parameters. The rate of evaporation is primarily controlled by incoming solar radiation, air and water temperature and wind speed and relative humidity. In the present study, influence of weekly meteorological variables such as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bright sunshine hours, wind speed, wind velocity, rainfall on rate of evaporation has been examined using 35 years(1971-2005) of meteorological data.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employing linear regression models. The developed regression models were tested for goodness of fit, multicollinearity along with normality test and constant variance test. These regression models were subsequently validated using the observed and predicted parameter estimates with the meteorological data of the year 2005. Further these models were checked with time order sequence of residual plots to identify the trend of the scatter plot and then new standardized regression models were developed using standardized equations. The highe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an evaporation and maximum air temperature. Mean air temperature and wind velocity have highly significant influence on pan evaporation whereas minimum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wind direction have no such significant influence.

Population Dynamics of Mustard Aphid, Lipaphis erysimi (Kaltenbach) as Influenced by Abiotic Factors and Different Rapeseed Mustard Genotypes

  • Roy, Santosh-Kumar;Kanchan Bara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권1호
    • /
    • pp.69-76
    • /
    • 2002
  • Mustard aphid, Lipaphis erysimi(Kalt.) plays a key role in determining the productivity of rapeseed-mustard. This pest alone attributes 30-70% losses in yield potential in different agro climatic zones with a mean loss of 54.2% in India. Considering the extent of damage caused by the pest, the present experiment was conducted at Pulses and Oilseeds Research Station during 1992-93 to 1994-95 to study the migratory nature of mustard aphid by trapping them in yellow colour pan tray and their simultaneous growth and development on three different genotypes. The temperature during noon hours is the predominant factor to govern the appearance of alate mustard aphid in rapeseed-mustard fiel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its development. The variety RW white flower glossy stem harboured minimum number of aphid in comparison to other two varieties B 9 and T6342. The population reached a peak of 61.28 aphids/10 cm central twig during $6^{th}$ standard week irrespective of varieties.

양파검은무늬병균의 포자발아에 마치는 물리적 요인 (Physical Factors in Relation to Conidial Germination in Alternaria porri, the Incitant of Purple Blotch of Onion)

  • R.B.L. 굽타;V.N. 파닥;O.P. 베르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5-139
    • /
    • 1985
  • Influence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spore washing and spore drying on conidial germination of Alternaria porri(Ell.) Cif. was studied. Maximum conidial germination occurred at 100% relative humidity prevailing for 6 hours or more at $25^{\circ}C$. Conidial germination decreased with increase in number of spore washings. Drying of conidia for more than half an hour caused significant decrease in germination. In all the experiments, conidial germinatio increased with increase in incubation period.

  • PDF

춘천지역의 기상요소가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해석 (Analyzing the Effect of Climatic Variable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in Chuncheon Region)

  • 이안수;김재록;조윤상;김용복;함진관;정정수;사종구;신진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99-106
    • /
    • 2011
  • 1988년부터 2009 년까지 강원도 춘천지역에서 수행된 벼 작황조사시혐의 오대벼와 일품벼 관련 기상요소 및 조사성적을 바탕으로 각 기상요소가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벼 출수기, 간장, $m^2$당 수수 및 수당립수는 품종 및 생육 단계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대제로 총수기 까지의 일평균 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기온일교차, 풍속 및 상대습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출수기는 일평균 기온과 상대습도의 영향을, 간장, $m^2$당 수수 및 수당립수는 일교차 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벼 등숙율, 천립중 및 쌀 수량은 벼 출수기 부터 40 일간의 일평균 기온, 기온일교차, 강수량, 일조시간에 대하여 오대벼와 일품벼가 전혀 다른 반용을 보였으나, 풍속 및 상대습도에 대해서는 대체로 비슷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 쌀 수량은 풍속이 높을수록,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풍속과 상대습도는 기온, 기온일교차, 일조량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국내 벼 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 상대습도가 낮고 바람이 충분한 환경에서 벼는 활발한 증산 작용과 광합성을 통해 수량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온고습 시험을 이용한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의 수명 예측 연구 (A study of lifetime prediction of PV module using damp heat test)

  • 오원욱;강병준;박노창;탁성주;김영도;김동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63.1-63.1
    • /
    • 2011
  •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corrosion in the PV module, we experimented damp heat test at $85^{\circ}C$/85% relative humidity(RH) and $65^{\circ}C$/85% RH for 2,000 hours, respectively. We used 30 mini-modules designed of 6inch one cell. Despite of 2,000 hours test, measured $P_{max}$ is not reached failure which is defined less than 80% compared to initial $P_{max}$. Therefore, we calculate proper curve fitting over 2,000 hours. Data less than 80% $P_{max}$ is found and B10 lifetime is calculated by the number of failure specimens and weibull distribution. Using B10 lifetime that the point of failure rate 10% and Peck's model, the predictable equation of lifetime was derived unde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

  • PDF

제주 감귤 과수원에서의 이슬지속시간 예측 모델 평가 (Evaluating the prediction models of leaf wetness duration for citrus orchards in Jeju, South Korea)

  • 박준상;서윤암;김규랑;하종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2-276
    • /
    • 2018
  •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제주 감귤과수원 11개 지점에서 관측한 기상 및 이슬 자료를 이용하여 이슬지속시간 예측 모델을 평가하였다. 이슬지속시간 모델의 민감도와 예측 정확도 평가에는 4 가지 모델(Number of Hours of Relative Humidity,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tepwise Linear Discriminant, Penman-Monteith, Deep-learning Neural Network)이 사용되었다. 모델의 민감도는 강우와 계절 변화에 따라 평가하였다. 전체 자료에서 강우일 자료를 제외하면 이슬지속시간 모델들은 평균 오차(평균제곱근오차 약 1.5 hours)가 적게 나타났다. 기계학습 모델은 겨울을 제외한 계절별 오차가 비슷한 크기(평균제곱근오차 약 3 hours)로 나타났다. 나머지 모델들은 여름에 오차(평균제곱근오차 약 9.6 hours)가 가장 크고 겨울에 가장 작은 것(평균제곱근오차 약 3.3 hours)으로 나타났다. 모델 예측 정확도 평가 방법은 통계적 오차 분석 방법과 평균 제곱 편차 회귀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통계오차를 통한 모델 성능은 DNN 모델이 가장 우수한 반면에 CART/SLD 모델은 예측 정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평균제곱 편차(MSD)는 모델의 선형성을 세 가지(제곱 바이어스(SB), 비균일성 기울기(NU), 상관관계 부족(LC))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모델 성능이 우수할수록 SB와 LC는 감소하였고 NU는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MSD 분석 결과 DNN 모델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다음으로 PM, NHRH, CART/SLD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기계학습 모델은 기상 정보를 이용한 다른 농업정보 생산의 정확도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 안개 특성 분석 및 예보 기법 연구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Korea Fog and Forecast Guidance)

  • 김준식;김재환;박상환;김영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8-73
    • /
    • 2013
  • This study is to make a protype of forecast guidance for forecasters from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Fog. The trend of Korea fog showed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foggy days and the duration time, the gradient is -1.24days/year under 3 miles and -0.98days/year under 1 mile and -1.64hours/year under 3 miles and -3.18hours/year under 1 mile in duration time in 27 ROKAF base. To find the protype of inland and coastal forecast guidance, Daegu base as a representation of the inland base and Gangneung base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coastal base were chosen. For Daegu base, the mixture of relative humidity, sky condition, and the position of high pressure were selected for the forecast guidance. For Gangneung base, pressure pattern, sea surface temperature, sea currents, and 850hPa temperature patterns were selected for the forecast guidance.

국내에서 분리한 Cronobacter spp.(Enterobacter sakazakii)의 건조내성 특성 (Tolerance of Korean Cronobacter spp. (Enterobacter sakazakii) Isolates to Dessication)

  • 이은진;류태화;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81-686
    • /
    • 2009
  • Cronobacter spp.(Enterbacter sakazakii)의 건조저항성은 다른 장내 세균들보다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식품으로부터 분리한 110개의 Cronobacter균주로부터 건조내성 특성을 분석하고 여러 상대습도에서의 생존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국내 식품에서 분리한 Cronobacter 110균주중 8시간 금속표면 건조노출에 대하여 초기균수의 약 절반정도 생존하는 고내성그룹이 30%, 대부분이 사멸하는 저내성그룹이 약 10%를 차지하여 전체 균주 중 중간정도 이상의 내성을 가지는 균주가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15일간 장기 건조노출에 경우도 비슷한 경향을 보여 주었다. 조제분유에서 Cronobacter 건조 노출의 경우 고내성그룹과 중간내성그룹은 30일 이후에도 5 log CFU/mL에서 3 log CFU/mL 이상의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오히려 금속 표면건조 때보다 더 생존율이 높아 조제분유에서는 더 내성이 증가함을 할 수가 있었다. 따라서 국내 식품에서 분리한 대부분의 Cronobacter도 건조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건조환경에서의 biofilm 형성능력은 고내성과 중간 내성그룹 균주는 노출초기에서부터 biofilm 생성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저내성그룹 균주의 경우에는 biofilm의 형성이 증가하지 않다가 7일 후 biofilm 생성이 많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Cronobacter의 biofilm 형성능은 각 그룹간 biofilm 생성의 시간적인 차이만 존재하고 대부분의 Cronobacter는 건조스트레스에서 biofilm 형성능이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Cronobacter는 건조금속표면의 75%의 상대습도에서 24-48시간 내에 모두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0% 상대습도에서는 초기균수의 60% 생균수를 유지하여 낮은 상대습도에 강한 저항특성을 보여주었다. 대부분의 Cronobacter는 건조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어 조제분유등의 건조식품에서 오랫동안 살아 있을 수 있으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사멸이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식품생산현장에서 습도를 조절하여 Cronobacter를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식품보장과 수분활성에 관한 연구 1. 조절기류에 의한 건조말쥐치육의 등온흡습곡선의 측정 (Studies on Food Preservation by Controlling Water Activity 1. Measurement of Sorption Isotherm of Dried Filefish Muscle by Equilibration in Dynamic Stream of Conditioned Air)

  • 한봉호;최수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89-193
    • /
    • 1981
  • 등온흡습곡선측정시의 건제품이 주어진 대상습도에서 평형에 이르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조절기류를 이용하는 장치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25^{\circ}C$에서 말쥐치 건제품의 등온흡습곡선을 측정하였다. 1. 조절기류를 이용함으로써 주어진 수분활성에서보다 높은 수분활성에 이르는 시간을 평균 45 시간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다. 2. 단분자의 수분함양은 고형물 1kg당 0.092kg이었으며, 건조말쥐치의 제품에 대하여 $8.42\%$였다. Symbols used in the text A : surface, $m^2$ $a_w$: water activity $A_s$ : specific surface, $m^2/kg$ dry matter C : constant related to the heat of adsorption $K_g$ : gas film coefficient of mass transfer, $kg water/hr{\cdot}Pa{\cdot}m^2$ n : number of molecular layers $n_s$ : moisture content, kg water /kg dry matter $n_{sa}$ : mean moisture content, kg water/kg dry matter $n_{se}$ :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kg water/kg dry matter $n_{sm}$ : moisture content for monolayer, kg water/kg dry matter $P_g$ : saturated vapor pressure at wet-bulb temperature, Pa $P_a$ : partial vapor pressure of water in air, Pa $R_d$ : resistance factor against diffusion, $m^2{\cdot}hr/kg$ dry matter $R_s$ : resistance factor against drying, $m^2{\cdot}hr/kg$ dry matter R.H. : relative humidity, $\%$ $\varphi$ : R.H./10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