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clear polyhedrosis virus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19초

Baculovirus-곤충세포 상호반응에 대한 생화학적 연구 -I. AcNPV의 곤충세포 감염시 배지 첨가물을 이용한 재조합 ${\beta}-galactosidase$ 생산 향상- (Biochemical Analysis of Baculovirus-insect Cell Interaction: I. Improved Recombinant ${\beta}-Galactosidase$ Production Using Medium Additives at AcNPV Infection of Insect Cells)

  • 이기웅;김태용;정인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485-489
    • /
    • 1995
  • T-flask와 air-lift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Autographa californica nuclear polyhedrosis virus (AcNPV)의 Tn5B1-4 세포에의 감염시 fatty acid 및 lipid, mannose, folic acid, $CaCl_2$등의 배지 첨가물이 재조합 ${\beta}-galactosidase\;({\beta}-gal)$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holesterol, tocopherol, tricaprylin 또는 mannose를 첨가하거나 folic acid를 보강첨가 했을 때 AcNPV의 재조합 ${\beta}-gal$ 생산은 향상되었으나 $CaCl_2$의 보강 첨가는 ${\beta}-gal$ 생산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지 못했다. Air-lift 생물반응기에서 0.34 mM cholesterol, 2.2 mM mannose 및 0.045 M folic acid를 보강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였을 때 재조합 ${\beta}-gal$ 생산은 basal medium에 비해 약 2배 정도의 증진 효과가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a Robust Polyvoltine Breed $'NP_1'$ of the Mulberry Silkworm, Bombyx mori L.

  • Singh Ravindra;Rao D. Raghavendra;Sharma S.D.;Chandrashekaran K.;Basavaraja H.K.;Kariappa B.K.;Dandin S.B.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2권1호
    • /
    • pp.29-34
    • /
    • 2006
  • A breeding programme was initiated during 2001 utilizing two polyvoltine silkworm breeds viz. $BL_{69}$, an evolved breed tolerant to high temperature and MAR, comparatively resistant to Bombyx mori nuclear polyhedrosis virus (BmNPV) with the objective to develop robust polyvoltine breeds and hybrids. The breed $NP_1$ was developed by exposing the fifth instar larvae to high temperature $(36{\pm}1^{\circ}C)$, high Relative Humidity ($85{\pm}5%$ R.H.) and inoculating third instar larvae with BmNPV inoculum. At $F_{12}$, the breed was tested for hybrid forming ability utilizing six bivoltine silkworm breeds viz. $CSR_2,\;CSR_4,\;CSR_{17},\;CSR_{18},\;CSR_{19}\;and\;NB_4D_2$. The hybrid $'NP_1{\times}CSR_{17}'$ exhibited its superiority by recording 97.2% survival, 1.892 g cocoon weight, 0.406 g cocoon shell weight, 21.5% cocoon shell ratio, 16.6% raw silk percentage and 890 m filament length whereas the control $(PM{\times}CSR_2)$ has recorded 90.2% survival, 1.599 g cocoon weight, 0.304 g cocoon shell weight, 18.9% cocoon shell ratio, 13.1 % raw silk percentage and 768 m filament length. Commercial exploitation of the new $polyvoltine{\times}bivoltine$ hybrid in sericulture industry has been discussed.

누에 배양세포(Bm5) 및 생체에서 베큘로바이러스 발현계를 이용한 누에신 단백질 발현 특성 (Expression of Antibacterial Protein, Nuecin, Using Baculorivus Expression Vector System in Bm5 Insect Cell and Bombyx mori)

  • 윤은영;구태원;황재삼;김상현;강석우;김근영;진병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69-73
    • /
    • 2002
  • 본 연구는 누에신 단백질의 대량발현을 통해 농업용 소재로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누에 핵다각체병 바이러스 유래의 pBm10po1-Xa 벡터에 누에신 유전자를 도입하여 누에 배양세포(Bm5) 및 누에 생체에서 발현한 결과 누에신 전사체는 바이러스 접종 후 1일째부터 발현되기 시작하여 5일째에 최대로 발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누에신 단백질은 3일째부터 발현량이 증가하여 5일째까지 계속 지속적으로 발현되었으나 그 발현량은 전사체에서 처럼 많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누에신 단백질의 발현량은 누에 세포에 비해 누에 생체에서 기대만큼 그 발현량이 많지 않았다. 또한 누에신의 베큘로바이러스 발현계 (baculovirus expression vector system, BEVS)를 이용하여 세포내 및 번역후 변형과정을 통하여 세포외로 분비된 누에신의 발현양상을 확인한 결과 세포내에 비해 세포외로 분비시 그 발현량이 현저히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베큘로바이러스 발현계를 이용하여 외래 단백질을 생산할 경우 정확한 메카니즘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강력한 프로모터에 의해 세포내 단백질 생산량은 많은데 비해 정확한 단백질 고차구조 형성을 도와주는 foldase 및 chaperon의 양은 한정되어져 있으므로 정확한 고차구조를 형성하여 세포외로 분비되는 생물학적 활성을 띠는 단백질은 매우 적은 양간이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추후 누에 신 단백질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분비 프로세싱의 해명 및 번역 후 변형과정의 개선을 통한 발현계의 개량이 시급히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