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tification system

검색결과 364건 처리시간 0.031초

IDC환경에서 공공부문 홈페이지 장애상황공지 시스템 구축방안 (Implementaion Mechanism of Homepage Failure Notification System in Public Sector in IDC Environment)

  • 김용태;조인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26-433
    • /
    • 2021
  • 최근 들어 공공부문 정보화에 대한 투자가 기존보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초고속 인터넷과 스마트폰 보급이 일반화되었으며 그에 따라 공공부문 대국민에게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의 안정성은 무엇보다 중요한 관리요소가 되었다. 즉, 공공기관의 민원 처리와 증명서 발급, 은행의 금융 거래, 통관 업무, 개인 또는 기관의 전자상거래 등과 같은 업무가 대부분 온라인 처리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 민원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정보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장애를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매우 중요한 쟁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즉, 짧은 시간이라도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장애의 경우 민원에게 재정상 큰 손해를 유발 등과 더불어 해당 업무처리 지연 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공공기관 신뢰도 하락과 민원 제기 등의 여러 가지 피해를 동반할 수 있다. 정보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는 이유들은 매우 다양하고 현실적으로 발생 시기를 예측하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장애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 방안 중에서 민원인 입장에서 홈페이지 장애 발생 시 민원인이 장애로 인한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애상황공지 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장애상황공지 시스템을 공공 IDC환경에 구축하여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국토이용정보체계 용도지역지구 데이터 정비방안 (A Study on Korea Land Use Information System Zoning Data Maintenance Plan)

  • 이세원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1권2호
    • /
    • pp.51-72
    • /
    • 2021
  • 본 연구는 지형도면 고시 및 등재 절차에서 발생하는 용도지역지구 데이터의 오류 유형과 원인을 밝힘으로써 데이터 정비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같은 규정중심의 토지이용규제방식이 지배적이다. 즉 법령 내 토지이용규제방식에 따라 정부는 전국의 모든 필지에 용도지역지구 지정과 행위제한 사항을 두고 있으며, 토지소유자들은 국토이용정보체계를 통해 내 토지의 토지이용규제사항을 확인하게 된다. 더 나아가 토지이용계획확인서는 개인 간의 토지거래나 개발행위허가와 같은 행정처분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토지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지형도면고시를 통해 토지이용규제정보가 생산되는 절차와 데이터의 구축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오류들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여건을 고려해 유형별로 데이터 실증 가능한 4개 지자체를 선정하였고, 분석을 위한 데이터를 수급하고 오류 검정 방법을 수립하여 수행한 결과 어떤 유형의 데이터 오류가 많고, 발생 원인이 무엇인지를 진단하였다. 다수의 오류는 첫째, 분산된 시스템 환경에서 실제 지형도면 고시 결과와 시스템의 데이터가 다르게 표기되는 등 국토이용정보체계 내 데이터 구축 및 관리상의 오류이고, 둘째, 지형도면고시 작성 지침 내 검수 기준과 절차가 마련되어 있지 못하고 민간업체 위탁으로 데이터 정비를 하면서 발생하는 전문성 부족의 오류, 셋째, 베이스 맵으로 사용되고 있는 연속지적도와 용도지역지구DB와의 관계성에서 오는 오류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데이터 정비방안들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결과들이 「제3차 국토이용정보체계 구축계획」 수립 이후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토이용정보플랫폼(KLIP)의 구축과 법제도 개편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SIP 기반 CCMP 제어 메시지를 사용한 다중 서버 프레즌스 서비스 시스템 (A Multiple Servers Presence Service System using SIP based CCMP Control Messages)

  • 장춘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547-553
    • /
    • 2019
  • 프레즌스 서버는 사용자들로 부터의 다량의 SIP 등록 요청 메시지와 프레즌스 리소스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프레즌스 이벤트 통지를 실시간으로 처리해야 하므로 프레즌스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다중 서버 구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각 프레즌스 서버의 부하 레벨을 낮추기 위하여 SIP 기반 CCMP 제어 메시지를 사용한 다중 서버 프레즌스 서비스 시스템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에서 각 프레즌스 서버들은 CCMP 제어 메시지를 사용하여 현재 부하 상태를 서로 교환하며, 사용자 및 프레즌스 리소스 양의 변화에 따른 전체 시스템 부하를 각 서버들이 효율적으로 분산 처리 할 수 있도록 한다. CCMP 제어 메시지들은 이와 같은 프레즌스 서버의 부하 제어에 최적화 되도록 설계되었고, 이들 제어 메시지를 이용한 프레즌스 서버 사이의 제어 메시지를 서로 교환하는 절차도 함께 제시 되었고 제안된 다중 서버 프레즌스 서비스 시스템의 성능은 실험으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구조의 경우 평균 프레즌스 등록 처리 시간이 40.8%에서 69.2%까지 감소함을 보여주었고 평균 프레즌스 통지 처리 시간은 29.4%에서 62.7%까지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교통약자를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버스 알림 서비스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Bus Notification Systems Based on IoT for Vulnerable Pedestrians)

  • 장원창;박지상;이명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88-594
    • /
    • 2016
  • 고령화 사회가 다가옴에 따라 교통약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대중교통에 대한 문제점은 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발생하는 대부분의 문제점은 버스 운전기사가 탑승할 승객을 인지 못하고 정류장을 지나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IoT기반의 버스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버스 노선을 확보한 뒤 GPS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류장 위치를 알려주고 버스 운전기사에게 탑승해야하는 손님의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Application을 만들어 각 지역별로 실외에서 실제 움직이는 차량의 위치를 GPS로 수신한 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사람이 많은 경기지역에서도 승객의 위치를 제대로 판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평균오차거리는 31m 이며, 오류로 처리해야 할 데이터를 제외할 경우 19m 로 높은 신뢰성을 제공한다.

동영상 분석을 통한 실시간 포장 손상 탐지 및 알림 서비스 (Real-Time Pavement Damage Detection Based on Video Analysis and Notification Service)

  • 박주영;이희순;강경태;김병회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59-6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주행 중 가속도 센서와 카메라로부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하여 자동으로 도로 포장의 다양한 손상을 탐지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도로의 포장 손상을 탐지하는 즉시 해당 이미지와 가속도 신호, GPS좌표를 도로관리자에게 전송하며 이를 서버에도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이력화한다. 이를 통해, 도로 포장 손상 탐지 시스템은 도로관리자로 하여금 1) 신속, 정확, 편리하게 도로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게 하며, 2) 다양한 종류의 도로 포장 손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3) 도로의 포장 손상을 추적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제안하는 시스템은 10번의 고속도로 주행 실증 평가에서 평균 100 km/h로 주행 중 74%의 민감도와 84%의 정밀도로 도로 포장의 손상을 탐지하여 그 유효성이 입증되었다.

Presence 서비스를 포함한 SIP 기반의 다자간 컨퍼런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IP-based Multi-party Conference System Including Presence Service)

  • 정영면;고세령;장춘서;조현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257-266
    • /
    • 2005
  • 인터넷과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다자간에 실시간 회의를 진행할 수 있는 컨퍼런스(Conference)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기반으로 하여 presence 서비스를 포함한 음성과 영상 회의가 가능한 컨퍼런스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구성한 시스템의 요소는 컨퍼런스 UA(User Agent)의 기능을 가진 사용자 시스템과 Presence 서버 및 컨퍼런스 서버이다. Presence 서비스는 SIP PUBLISH 메시지를 이용한 Publication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들 간의 다양한 상태 정보 파악과 컨퍼런스로의 초청 및 참여가 쉽도록 구현하였다. 다자간의 연결 설정 및 관리를 담당하는 컨퍼런스 서버에는 컨퍼런스 이벤트 패키지(Conference Event Package)를 포함시켜 동적으로 변화하는 컨퍼런스 정보 및 참여자의 정보를 SIP의 등록(Subscription)과 알림(Notification) 기능을 통해 제공하도록 하였다.

  • PDF

효율적인 감염병 검사 예약을 위해 클라우드에 기반한 예약 및 알림 시스템 (Cloud-Based Reservation and Notification System for Efficient Testing of Infectious Diseases)

  • 황보제성;김호윤;신승수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67-76
    • /
    • 2023
  • 2019년 발생한 코로나는 전파력이 강하고 감염 증상, 후유증 등이 심각하며 기저질환 및 증상에 따라 심한 경우 사망한다. 코로나는 전파력이 강한 만큼 국내에서는 코로나 확산세를 막기 위해 코로나 양성 여부를 판별하고 감염자를 격리하기 위해 전국에 선별 진료소를 설치했다. 그러나 코로나 검사 희망자들이 선별 진료소로 몰려 검사 대기시간이 길어져 검사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했으며 대기 중에 2차 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별 진료 시스템에 예약 및 알림 시스템을 적용하여 공간적 제약 문제를 해결하여 선별 진료 예약으로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선별 진료소로의 인구 병목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코로나 팬데믹 사태를 삼아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팬데믹 사태에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Google의 Firebase를 활용하여 클라우드 환경의 Realtime Database를 사용한다. 실시간 Database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앱을 통해서 선별 진료소의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및 예약을 할 수 있고 검사 예약에 대한 알림을 받을 수 있다.

Implementation of A Vibration Notification System to Support Driving for Drivers with Cognitive Delay Impairment

  • Gyu-Seok Lee;Tae-Sung Kim;Myeong-Chul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115-123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교통약자의 운행지원을 위하여 내비게이션 정보와 웨어러블 밴드를 융합한 진동 알림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정상인을 기준으로 길 안내와 위치정보 제공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표준시력 및 자극의 인지 지연의 장애가 있는 교통약자에게는 안전 및 편 Stick PC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변환된 신호를 웨어러블 밴드로 전달한다. 웨어러블 밴드 의성 저하로 인한 교통사고 유발의 위험성을 가진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내비게이션 운행 정보를 에 전달된 신호는 유형에 따라 좌회전, 우회전, 과속 및 이벤트 등의 구분된 진동 신호를 통하여 운전자의 운행가이드 정보로 제공된다. 구현된 시스템의 성능평가 결과, 메시지의 송수신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였고 내비게이션 정보 수신에 따른 진동 신호의 반응속도는 평균 1.875ms로 유효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일자리 안정부 장애우를 대상으로 1개월간의 현장 적응 평가에서도 편리성, 오작동, 추가 및 개선 사항과 접근용이성 측면에서 평균 9.16점으로 매우 긍정적인 사용자 평가를 받았다. 향후 카메라와 차량의 센서를 추가하여 차량 접근이나 객체 인식 등에 대한 알림 기능을 추가하여 차량 내부와 외부의 안전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시력 및 인지 지연 장애가 있는 운전자의 안전한 주행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다.

새로운 국가결핵감시체계 시행 후 한 민간종합병원에서 작성된 결핵정보관리보고서의 정확도 조사 (The Accuracy of Tuberculosis Notification Reports at a Private General Hospital after Enforcement of New Korean Tuberculosis Surveillance System)

  • 김철홍;고원중;권오정;안영미;임성용;안창혁;윤종욱;황정혜;서지영;정만표;김호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2호
    • /
    • pp.178-190
    • /
    • 2003
  • 연구배경 : 효율적인 결핵관리체계를 위해, 보건복지부는 2000년 6월 1일부터 결핵정보관리보고서에 의한 새로운 국가결핵감시체계를 출범시키게 되었다. 보건소의 결핵환자에 대한 결핵감시체계는 이미 1962년부터 운영 중에 있었으므로 이번의 감시체계는 민간의료부문의 결핵 환자들을 비로소 국가결핵감시체계에 포함시켰다는데 의미가 있다. 의사들의 일상적인 신고에 의한 결핵규모의 정확한 파악을 위해서는, 결핵정보관리보고서의 정확한 작성과 성실한 신고가 필수조건이다. 본 연구는 서울소재 한 민간종합병원에서 관할보건소로 신고된 결핵정보관리보고서가 얼마나 정확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향후 개선할 점이 없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8월 1일부터 2001년 1월 31일까지 6개월간 삼성서울병원에서 관할보건소로 신고된 291명의 성인 폐결핵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핵정보관리보고서 항목인 인적사항, 과거 치료력, 검사결과, 질병코드 및 환자치료 사항을, 의무기록 및 병원 전산화 시스템의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검사 기록들과 비교하여 얼마나 정확한가를 알아보았다. 결 과 : 291명의 성인 결핵 환자는 폐결핵 222명, 폐외 결핵이 69명이었다. 성별은 남자 164명(56%), 여자가 127명(44%)였으며, 평균연령은 46세였다. 직업이 미기재된 경우가 132명(45%)이었다. 결핵과거 치료력은 83%, 치료기간은 93%, 과거 결핵치료 받은 횟수는 83%에서 보고서와 의무기록간에 일치하였다. 폐결핵 환자 222명 중 객담도말검사는 보고서의 76%가 의무기록과 일치하였으나 배양검사는 23%만이 실제 검사기록과 일치하였다. 객담배양 미검 표기 198명 중, 실제 객담 배양 미검은 43명(21.7%)이었다. 폐외 결핵환자 진단에 이용되었던 객담이외의 검체 도말검사는 54%, 배양 검사48%, 조직검사는 68%, 그리고, PCR 등의 기타검사는 67%에서 실제 검사결과와 일치하였다. 질병코드는 A15에서 A19의 3단계 분류를 적용했을 때는 85%, A15.0에서 A19.9의 4단계 분류에서는 66%가 의무기록과 일치하였다. 환자구분에서 신환으로 보고된 246명 중 실제 신환이었던 경우는 217명(88%)였으며, 나머지는 재발 13명, 치료실패자 2명, 중단 후 재등록 1명, 전입 12명 및 기타 1명으로 판명되었다. 재발로 신고된 23명 중 실제 재발은 18명(78%)으로 보고서 내용과 실제 의무기록 간에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치료시작 또는 진단일자는 264명(91%)이 일치하였으며, 보고서에는 HREZ 처방이 204명이었지만, 의무기록에는 HREZ 처방이 172명(84.3%)이었으며, 나머지는 HRE 9명(4.4%), 기타 처방 21명(10.3%)이었으며, HRE 처방으로 보고된 34명 중 실제 HRE 처방은 19명(55.9%)이었다. 결 론 :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결핵관리를 위해서는 민간의료기관에서 작성되는 결핵정보관리보고서의 정확한 기재와 성실한 작성이 중요하며, 결핵과거치료력, 객담 배양 검사 항목 등의 보완과 민간부문 결핵환자들에 추후 관리하는 제도마련도 고안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Beacon을 이용한 지하철 도착 알림 시스템 (A Subway Arrival Notification System Using iBeacon)

  • 정현희;남춘성;신동렬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2호
    • /
    • pp.272-279
    • /
    • 2015
  • 현재 스마트 디바이스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는 점점 복잡하게 되어가고 있다. 대부분의 IT 전문가들은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추가적인 기능들이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주장한다. 모바일 서비스 형태의 대부분이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를 고려하기 때문에 이는 특히 중요한 연구로서 집중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Wi-Fi 기술은 위치 즉, 네트워크 존(Network Zone)이 변경됨에 따라 새로운 연결을 요구하기 때문에 위치 파악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GPS는 부정확한 실내 데이터를 가지기 때문에 실내 환경에서 LB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여전한 시스템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iBeacon 기술이 설계되고 Wi-Fi 혹은 GPS 대신에 LBS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Bluetooth 4.0 LE 기술 기반 iBeacon을 사용하여 우리는 현재의 사용자 위치와 지하철 도착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mLBS(micro LBS) 서비스를 정확하고 알맞게 제공하기 위한 M-SAS(Mobile-Subway Alarm Service System)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