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thern Korean peninsula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9초

남극반도 북부해역의 가스하이드레이트 분포 (Distribution of gas hydrates off northern Antarctic Peninsula)

  • 홍종국;진영근;이주한;박민규;남상헌;구경모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24-527
    • /
    • 2007
  • 남극 반도 북부해역은 남극대륙 주변부에 존재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매장 유망지역중의 하나이다. 남극반도 북부해역내에서 BSR이 가장 뚜렷이 나타나는 남셰틀랜드 군도의 대륙주변부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 특성 및 분포를 연구하기 위한 탄성파 탐사가 1992년, 2005년도 수행되었다. 이 지역에 나타나는 BSR은 대륙사면에서 광범위하게 발달되어있다. 이 지역 BSR에 대한 AVO 분석결과에 의하면 BSR상부지층은 높은 탄성파 속도를 갖으며 하부지층은 가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탄성파 단면에 나타난 BSR의 발견지역을 대상으로 분포도를 작성하였으며, 이 지역에 대한 추가적인 탄성파 탐사 완료 후에는 정확한 매장량과 분포가 밝혀질 것이다.

  • PDF

대류권계면 접힘에 의한 영동지방 집중호우사례의 특성분석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Heavy Rainfall Events over Yeongdong Region Associated with Tropopause Folding)

  • 이혜영;고혜영;김경익;윤일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4-369
    • /
    • 2010
  • 2006년 10월 22일에서 24일에 걸쳐 한반도 강릉지역에서 강한 집중호우가 발생했다. 이 기간에 대해서 집중호우가 발생하기 전과 강우강도가 가장 강했을 때 나타나는 종관적, 운동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상일기도, 상층일기도, 적외위성영상, 자동기상관측장비(AWS) 자료, NCEP(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 전구분석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기간 동안 강릉에서 관측된 총 강수량은 316.5 mm이고, 최대 순간풍속은 $63.7m\;s^{-1}$이다. 일기도를 분석해보면 집중호우가 시작하기 전 온대저기압이 한반도 중부에서 발달하였으며 한반도 북부에 역전기압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300 hPa 상층일기도에서는 서해와 한반도 남부에 제트기류가 위치하며, 위치 소용돌이도 이상과 관련된 절리 저기압이 한반도 북서부에서 발달하고 있다. 강우강도가 가장 강했을 때의 특성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강릉지역의 위치 소용돌이도 이상과 바람, 위치 소용돌이도의 시간-연직 단면도, 연직운동, 발산장과 수렴장, 역학적 온위의 연직분포에 대해 조사하였다. 종관적, 운동학적 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대류권계면 접힘이 집중호우 발생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사료된다.

남북한 학자의 국어 계통 연구의 제문제 (On the Problems of North and South Korean Scholars′ Studies on the Genealogy of Korean Language)

  • 정광
    • 인문언어
    • /
    • 제6권
    • /
    • pp.169-183
    • /
    • 2004
  • So far I have reviewed the two controversial opinions of the North Korean and the South Korean linguists concerning the position of the Koguryeo language in the formation of Korean. Many South Korean scholars in favor of the Altaic Language Family Hypothesis argue that the ancient Korean language consisted of two different languages, one of which was the northern dialect including four languages such as the Koguryeo language (the largest one within the area), the Puyo language, the Okche language, the Yemaek language, and the other was the southern dialect, the largest language of which is the Shinla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 linguists of North Korea claim that in Koguryeo and Shinla the same language was spoken and that modern Korean is formed based on the Koguryeo language. Before evaluating which of these claims is correct I would like to turn to the scarcity of the linguistic data of the Koguryeo language. Compared with the pragmatic methodology of the South Korean linguists in the studies on the Altaic affinity of Korean, the North Korean scholars need to present still more evidences in order to support their argument. In Chung (1993) I argued that studies on the genealogy of the Korean language or history had to be performed regardless of tile political purpose or for the purposes. We should admit the historical fact that there had been many tribal states in the Korean peninsula before the ancient Korean stage, those of which had been emerged to become three kingdoms. Those kingdoms were unified by Shinla, which was connected to Koryeo Dynasty. We cannot disregard the fact that the Korean language has been developed hand in hand with these historical process with those steps related with each age. The first thing we should do right now is to collect the remaining data of the Koguryeo language recorded in the old written materials, which have been found in North Korea as many as possible. Also, 1 hope that the linguists of South Korea achieve more academic success in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Paekjae language, the Shinla language, and other adjacent Altaic languages.

  • PDF

계룡산국립공원 동월계곡일원의 식물상 조사연구 (Flora of Dongwol Valley in Mt. Gyeryongsan, National Park)

  • 고성철;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3-239
    • /
    • 2005
  • 동월계곡의 소산관속식물은 재배종을 포함하여 1문 4강 3아강 34목 84과 178속 210종 1아종 33변종 4품종으로 총 248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본 지역과 우리나라의 남부${\cdot}$중부${\cdot}$북부${\cdot}$울릉도${\cdot}$제주도의 식물대와 공통분포 하는 분류군의 수를 비교하여 보면 남부와는 $90.3\%$, 중부와는 $98.0\%$, 북부와는 $79.0\%$ 울릉도와는 $62.1\%$, 제주도와는 $73.8\%$로 각각 나타났다. 한반도의 북부고유분자식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중부고유분자식물은 3 분류군. 남부고유분자식물 1 분류군, 중북부고유분자식물 5 분류군. 남중부고유분자로는 23 분류군이 각각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자원식물은 식용 118 분류군, 약용 78 분류군, 공업용 46 분류군, 관상용 39 분류군, 목재용 14 분류군 그리고 섬유용 9 분류군과 한국특산식물 4분류군이 분포하였다. 전반적인 식생은 참나무류와 철쭉류가 혼생하는 혼효림이라 할 수 있고, 한반도의 식물구계로 볼 때 온대 중부와 남부의 경계지역으로 생각된다.

진하-일광 지역의 해안 단구 (Marine Terrace of the Jinha-Ilgwang Area, Southeast Korea)

  • 최성자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3호
    • /
    • pp.233-242
    • /
    • 2003
  • 우리나라 남동해안의 최남단 지역에서는 지금까지 안정된 지괴로 알려져 왔으며 4기단층이나 지진 발생 보고가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로 시행된 디지털(digital) 기법에 의한 단구조사와 단열조사를 통하여 이 지역에 대한 제 4기 지구조운동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지역의 기반암은 백악기의 퇴적암류와 화산암류 및 불국사 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역에는 매우 협소하고 간헐적인 분포를 하는 해안단구가 발달하고 있으며 타지역과는 달리 단구 퇴적물이 거의 발달하지 않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지역에는 최하위의 홀로세 단구를 포함하여 4개의 단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최하위의 것부터 1, 2, 3, 4 단구로 분류된다. 1단구의 구정선은 1m 이하, 2단구의 구정선은 8∼11m, 3단구의 구정선은 17∼22m, 4단구의 구정선은 약 44m이다. 2단구의 형성시기는 MIS 5a이고 이 곳의 3단구 형성시기는 MIS 5c이다. 단구 형성시기와 융기된 단구 고도간의 상관관계 그래프와 고해 수면 변동곡선과 단구고도간의 대비에 의하여 산출된 융기율은 0.19m/ky이다. 이와 같은 값은 판 경계부보다 활동성이 적은 판 내부에서 나타나는 값으로 우리나라의 남동해안의 지각은 대체로 안정된 지괴로 판명된다. 그러나, 각 단구의 구정선 고도는 매우 미약하지만 점이적으로 남쪽으로 가면서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어 우리나라의 남동해안의 남단부에는 침강운동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양산단층계 지진활동의 통계적 분석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eismicity of the Yangsan Fault System)

  • 이기화;이전희;경재복
    • 지질공학
    • /
    • 제8권2호
    • /
    • pp.99-114
    • /
    • 1998
  • 양산단층계는 한반도의 동남부에 위치한 백악기 경상분지내의 주요한 구조대로서 지금까지 많은 역사지진의 기록이 남아있으며 최근에 북부, 중부, 남부의 세 구역으로 나뉘어질 가능성이 시사된 바도 있다. 서기 2년부터 1997년까지 양산단층의 주변에서 발생한 지진자료를 조선시대 이전의 불완전한 자료와 그 이후의 완전한 자료로 구분하여 최우도 방법을 적용하여 단층 전체와 각 지진구역에 대하여 지진발생률, 규모-빈도 관계의 b값, 최대가능규모 등의 지진활동 매개변수들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양산단층의 지진활동은 각각의 구역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단층 전체에 대한 b값은 대략 0.85로 나타났다. 북부, 중부 및 남부구역에 대한 최대 가능규모는 각각 5.2, 6.8 6.0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재래주기는 1000년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각의 지진구역 및 전 단층대에 대하여 지진자료의 규모-빈도 관계식을 분석하여 지진 발생모델 중 Gutenberg-Richter 모델과 특성지진모델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이 결과 양산단층의 지진활동은 Gutenberg-Richter 모델보다 특성지진모델에 적합한 모양임을 알 수 있었으나 각각의 구역에 대한 검증은 자료가 부족한 관계로 의미있는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 PDF

한국 고대 금속관의 발생과 그 교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ccurrence and Alternating Current of a Matal Kwan in Korean Ancient Times)

  • 진미희;권영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7-316
    • /
    • 1995
  • The system and symbolizing ideologic meanings of the metallic Kwon in period of the Three-Kingdoms were comsidered by comparing to their cultural path and structal styles throughout the tree and the deer worship ide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ly, the beginning of the Korean, mostly northern style was originated from metal tools of the Bronze age in BC 6c-7c. The maJ;lufature of the metallic adornment brought the pr-evailing use of metallic objects of craftwork after the supply of ironmongery. Secondly, the cultmal characteristics of the metallic Kwan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influenced f-rom the northern chinese tribes, Momg Go, Hung No, and Sien-pi who were transmitted from the scythian of the southern Russia having a prefenence for gold. Thir-dly, the metallic Kwon of the Kogmgo and the Baekje era was ideologically based on the ar-t of Buddism of the pattern of blazing flame, the carved pattern of flower- of herb, and the honey. sukle which were tramsmitted to china thr-ough the silk noad. Fourthly, the metallic K wam of the silla era consisted of the tree and the antler types in closely nelated to the tree and the deer ideology which were based on the background of shamanism. It should be raid that the metallic Kwan of the silla esa are connected to the type of nor-them ancient K wan. Lasthy, the metallic Kwan-Mo of the Kaja esa was mosthy original type of flower of herb even if kome of these ar-e similiar to the tree adornment type of silla. This type of flower of herb in based on the scythian type with a statue im silveer founded at Alexandnopol in the southern russia.

  • PDF

2DVD와 Parsivel 이용한 김해지역 강수사례일의 종관기상학적 분류 및 강수 특성 분석 (Synoptic Meteorological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in Gimhae Region Using 2DVD and Parsivel)

  • 천은지;박종길;정우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9-302
    • /
    • 2017
  • During the research period, error analysis of the amount of daily precipitation was performed with data obtained from 2DVD, Parsivel, and AWS, and from the results, 79 days were selected as research day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ynoptic meteorological analysis, these days were classified into 'LP type, CF type, HE type, and TY type'. The dates showing the maximum daily precipitation amount and precipitation intensity were 'HE type and CF type', which were found to be attributed to atmospheric instability causing strong ascending flow, and leading to strong precipitation events. Of the 79 days, most days were found to be of the LP type. On July 27, 2011 the daily precipitation amount in the Korean Peninsula reached over 80 mm (HE type). The leading edge of the Northern Pacific high pressure was located over the Korean Peninsula with unstable atmospheric conditions and inflow of air with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aused ascending flow, 120 mm/h with an average precipitation intensity of over 9.57 mm/h.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precipitation in these sample dates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convective rain type. The results of a precipitation scale distribution analysis showed that most precipitation were between 0.4-5.0 mm, and 'Rain' size precipitation was observed in most areas. On July 9, 2011, the daily precipitation amount was recorded to be over 80 mm (CF type) at the rainy season front (Jangma front) spreading across the middle Korean Peninsular. Inflow of air with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reated unstable atmospheric conditions under which strong ascending air currents formed and led to convective rain type precipitation.

Numerical Simulation of the Effects of Moisture on the Reinforcement of a Tropopause Fold

  • Lee, Hong-Ran;Kim, Kyung-Eak;Lee, Yong-Hee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30-645
    • /
    • 2009
  • The tropopause fold event that took place on January 1, 1997 over mid-region on the Korean Peninsula is examined by means of a numerical simulation based on a Mesoscale Model (MM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isture in reinforcing a tropopause fold linked to an explosive cyclone. Two types of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1) simulations for moist conditions in which full physical and dynamic processes are considered and 2) simulations for dry conditions in which cumulus parameterization and cloud microphysics process are excluded. The results of the moist condition simulations demonstrate that the intensity of the central pressure of the cyclone was overestimated compared with the observed values and that the location of the center and the pressure deepening rates (-17 hPa/12 hr) complied with the observed values. The potential vorticity (PV) anomaly on the isentropic surface at 305 K continued to move in a southeast direction on January 1, 1997 and thus created a single tube of tropopause fold covering the northern and the middle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and reaching the ground surface at 0300 UTC and 0600 UTC. The results of the dry condition simulations show that the tropopause descended to 500 and 670 hPa in 0300 and 0600 UTC, respectively at the same location for the moist condition simulation; however, there was no deep tropopause fold observed. A comparison of the simulated data between the moist and the dry conditions suggests that a deep tropopause fold should happen when there is sufficient moist in the atmosphere and significantly large PV in the lower atmosphere pulls down the upper atmosphere rather than when the tropopause descends itself due to dynamic causes. Thus, it is estimated that moisture in the atmosphere should have played a crucial role in a deep tropopause fold process.

장마철 우리나라 강수의 지속성에 따른 종관 특성의 차이 (Difference of Synop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ersistence of Rainfall in Korea during the Changma Season)

  • 박병익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48-76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장마철 우리나라의 지역 평균 강수량을 이용하여 강수의 지속성에 따른 종관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강수량 10mm 이상이 4일 이상 지속되는 강수(장기 강수)와 1~2일에 그치는 강수(단기 강수) 사이에는 종관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았다. 장기 강수의 경우 우리나라 동쪽에 기압능이 발달, 저기압과 전선의 정체를 유도하였고, 또 강수 1일 전에 찬 공기가 화중지방으로 남하, 전선이 활발해져 강수의 지속성에 기여하였다. 단기 강수의 경우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정체 없이 통과하였다. 또한 장기 강수와 단기 강수의 경우에 우리나라 부근의 전선이 대류권 전체에 미치는 경압성이 큰 구조를 보였다. 장기 강수의 전선 구조가 일본 남서부 지역 장기 강수의 경우와 다르며, 단기 강수의 경우는 양 지역에서 같다. 이는 장마가 반드시 일본 바이우(Baiu)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은 아님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