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thern Blot

검색결과 533건 처리시간 0.027초

mRNA differential display를 이용한 철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들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enes Regulated by Iron Using mRNA Differential Display)

  • 이중림;박종환;김해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23-127
    • /
    • 1999
  • 철은 사람에게 필수적인 영양소일 뿐 아니라 해로운 요소로도 작용한다. 이러한 철에 의해 진핵생물체에서 발현이 조절되는 유전자들을 밝히기 위해 철이 첨가되거나, 제거된 조건에서 배양된 HeLa세포로부터 RNA differential display 방법을 이용하여 발현 또는 억제되는 유전자들을 선별하였다. 모두 24개의 유전자가 선별되었으며, 염기배열 확인과 northern blot의 발현 확인과정을 거쳐 4개의 유전자들이 철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 게놈에 대한 cDNA의 클로닝 (Molecular Coning of cDNA for Garlic Mosaic Virus Genome)

  • 최연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53-257
    • /
    • 1992
  • Potyvirus group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진 마늘 모자이크 바이러스 (GMV)가 식물에서 병을 유도하는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마늘에 존재하는 GMV에 대한 cDNA clone인 clone 29-6을 분리하였다. Northern blot 분석에 의해 이 바이러스의 genome size는 약 9 kb이고, 또한 clone 29-6은 GLV genome과 유사성이 없었으며, 마늘잎으로부터 분리된 $poly(A)^{+}$ RNA와 강하게 hybridization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이 cDNA clone이 마늘에 감염하여 모자이크 병반을 유도하는 GMV에 대한 cDNA clone 중의 하나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Clone 29-6을 probe으로 사용하여 마늘 바이러스의 cDNA 은행을 탐색하여 이와 중첩되는 clone을 선별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이들의 염기서열이 중첩부위에서 서로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마늘은 여러 형태의 GMV에 의해 감염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 PDF

Expression of Low Temperature Regulated Gene H28 in Solanum tuberosum L.

  • 최경화;전재흥;김현순;정영희;정혁;양덕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00-304
    • /
    • 1997
  • 저온관련 유전자인 H28 유전자를 갖고 있는 Agrobacterium MP90균주를 Desiree와 Atlantie 감자 품종의 잎절편과 공동배양한 후 약 6-8주 후에 항생제가 첨가된 선발배지에서 multiple shoots를 얻을수 있었다. 선발된 형질전환체를 대상으로 PCR 방법을 이용한 NPT II 유전자와 H28를 확인한 결과 내한성유전자가 식물체의 genome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었음을 확인하였고 northern blot 확인에 의하여 내한성 유전자가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 PDF

Efficient Isolation of Intact RNA from the Soft Coral Scleronephthya gracillimum $(K\ddot{u}kenthal)$ for Gene Expression Analyses

  • Woo, Seo-Nock;Yum, Seung-Shic;Yoon, Moon-Geun;Kim, Sa-Heung;Lee, Jong-Rak;Kim, Jeong-Ha;Lee, Taek-Kyu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9권4호
    • /
    • pp.205-209
    • /
    • 2005
  • A rapid, simple and efficient method to extract RNA from the adult polyps of a soft coral, marine cnidarian, Scleronephthya gracillimum $(K\ddot{u}kenthal)$;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highest yield and purity of RNA was obtained with the lysis solution containing 35 mM EDTA, 0.7 M LiCl, 7.0% SDS, and 200 mM Tris-Cl (pH 9.0). Approximately $40{\mu}g$ of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200 mg of liquid nitrogen-pulverized polyp tissue. The ratio of absorbance at 260 nm and 280 nm ranged from 1.8 to 2.0. The results of th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ith ${\beta}-actin$ gene specific primers and Northern blot analysis using the same gene probe revealed that the RNA extracted by our method had high quality, and was sufficient for subsequent molecular biological analyses. This method was effective for RNA extraction from other soft coral species which belong to the genus Dendronephthya.

Analysis of Transcripts Expressed from the UL47 Gene of Human Cytomegalovirus

  • Hyun, Jong-Jun;Park, Hyo-Soon;Kim, Ki-Ho;Kim, Hung-J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542-548
    • /
    • 1999
  • The UL47 gene (b 60390-b 60388) located in the unique long region of the human cytomegalovirus (HCMV) AD169 strain genome was analyzed RNA mapping. North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the UL47 gene was expressed at late times after infection (72 h postinfection). The 9.7-kb transcript was expressed in the infected cells but not in phosphonoformate-treated cells at 72 hpi, indicating that the UL47 gene was only expressed at late times after infection. To map the 5'-end and 3'-end of UL47 transcripts, primer at late times after infection. To map the 5'-end and 3'-end of UL47 transcripts, primer extension and RNase protection analysis were performed. Primer exten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anscription initiation site of UL47 was located in 27 bp downstream (b 60323) of the TATA box motif. The sizes of UL47 ORF (approximately 2.9-kb) and UL48 ORF (approximately 6.7-kb) deduced from computer sequence analysis suggest that the expressed 9.7-kb transcript of UL47 uses the 3'-end polyadenylation signal of Ul48. The result of RNase protection determined that the 3'-end of UL47 RNA utilized the 3'-end polyadenylation signal of UL48, which is located in HCMV genome b 70082.

  • PDF

물곰팡이 Allomyces macrogynus에서 Tetrahydrobiopterin의 생합성 (Biosynthesis of Tetrahydrobiopterin in an Aquatic Fungus, Allomyces macrogynus)

  • 이수웅;박영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43-247
    • /
    • 1998
  • Allomyces macrogynus를 대상으로 꼬리홀씨와 팡이실에서 tetrahydrobiopterin의 세포내 농도와 그 생합성 효소들의 활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습윤중량의 세포를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biopterin은 홀씨에 비해 팡이실에서 14배 정도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그 생합성에 관여하는 GTP cyclohydrolase I(GTPCH), 6-pyruboyltetrahydropterin synthase(PTPS), sepiapterin reductase(SR)의 효소활성을 ammonium sulfate 단백질 농축액에서 분석한 결과 GTPCH와 PTPS의 활성은 팡이실에서 꼬리홀씨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반면 SR의 활성은 오히려 꼬리홀씨에서 10배 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Northern blot 분석 결과 SR의 전사물도 꼬리홀씨에서 훨씬 많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tetrahydrobiopterin이 Allomyces macrogynus의 팡이실 분화단계에 관여하고 있음을 추정케하는 한편 SR의 생리활성과 관련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 PDF

형질전환 연초(Nicotiana tabacum L.)의 Mouse Adenosine Deaminase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Mouse Adenosine Deaminase Gene in Transgenic Tobacco (Nicotiana tabacum L.))

  • 양덕춘;박지창;최광태;이정명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95-200
    • /
    • 1995
  • 동물유전자인 mouse adenosine deaminase (ADA)유전자가 안정적으로 연초 형질전환체에서 발현되었다. ADA cDNA 을 연초에서 강력히 발현시키기 위해서 35S/35S/AMV promoter을 부착시켰으며 식물세포에 도입을 위해서 binary vector인 pRD400을 이용하였다. 연초의 형질전환은 Tri- parental mating에 의해서 도입된 ADA 유전자 함유 binary vector와 disarmed Ti-plasmid을 함유하고 있는 Agrobacterium tmefacience MP9O을 사용하였다. 동시배양은 연초의 잎 disc을 이용해서 kanamycin이 첨가된 배지로부터 직접 shoots을 선발하여 형질전환체로 유도하였다. 형질전환 체에 ADA 유전자의 삽입여부는 PCR을 이용하였으며, 실험결과 ADA 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입된 mouse ADA 유전자로부터 mRNA 및 단백질 합성여부를 각각 northern blot 및 immunoblot 분석한 결과 형질전환체 에서는 공히 확인되었다.

  • PDF

MS2 Labeling of Endogenous Beta-Actin mRNA Does Not Result in Stabilization of Degradation Intermediates

  • Kim, Songhee H.;Vieira, Melissa;Kim, Hye-Jin;Kesawat, Mahipal Singh;Park, Hye Yo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2권4호
    • /
    • pp.356-362
    • /
    • 2019
  • The binding of MS2 bacteriophage coat protein (MCP) to MS2 binding site (MBS) RNA stem-loop sequences has been widely used to label mRNA for live-cell imaging at single-molecule resolution. Howe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recently from studies with budding yeast showing aberrant mRNA metabolism following the MS2-GFP labeling. To investigate the degradation pattern of MS2-GFP-labeled mRNA in mammalian cells and tissues, we used Northern blot analysis of ${\beta}$-actin mRNA extracted from the Actb-MBS knock-in and $MBS{\times}MCP$ hybrid mouse models. In the immortalized mouse embryonic cell lines and various organ tissues derived from the mouse models, we found no noticeable accumulation of decay products of ${\beta}$-actin mRNA compared with the wild-type mice. Our results suggest that accumulation of MBS RNA decay fragments does not always happen depending on the mRNA species and the model organisms used.

Stock(Matthiola incana R. Br.)으로부터 색소유전자의 분리 및 분석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Dihydroflavonol 4-reductase (DFR) from Matthiola incana R. Br.)

  • 민병환;김석원;오승철;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41-346
    • /
    • 1998
  • 색소유전자의 전이를 통하여 새로운 색소발현체계를 가진 품종을 육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stock (Matthiola incana R. Br.)의 꽃봉오리로부터 cDNA-library를 합성하였고 screening을 통하여 anthocyanin 합성경로의 중요효소의 하나인 DFR (dihydroflavonol 4-reductase)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여 분리유전자의 크기가 1450bp 이며 이중 coding region은 1029 bp 임을 확인하였다. 이미 밝혀진 다른 식물체의 DFR 유전자와 서로 염기서열의 일치성을 비교해 본 결과 외자엽식물인 옥수수와 보리와는 각각 61%를 보였으며, 쌍자엽식물인 페튜니아, 금어초, 거베라, 과꽃 그리고 카네이션 등 과는 66%-67%의 일치성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염기서열의 G/C 함량분석을 통하여 쌍자엽식물의 G/C 함량은 외자엽식물의 그것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분리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기내에서의 전사와 해석을 수행한 결과 42-44 kd 크기의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Southern blot 분석의 결과 DFR 유전자는 stock의 genome에 다른 대부분의 식물체와 유사하게 한 개가 존재하며 야생종과 돌연변이종의 stock을 분리 DFR 유전자를 probe 로 Northern blot 분석을 수행하여 돌연변이종인 lineK17b가 DFR 돌연변이임을 확인하였다.

  • PDF

Bacillus subtilis dgk (diacylglycerol kinase) 유전자의 생리적 자극에 의한 유도발현 (Expression Patterns of Bacillus subtilis Diacylglycerol Kinase Gene Induced by Physiological Stimuli)

  • Lee, Mi-Young;Suh, Seok-Jong;Lee, Jin-Hyung;Song, Bang-Ho;Kim, Jong-Cu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0
    • /
    • 2002
  • Diacylglycerol Kinase (DGK)는 E. coli 및 진핵세포에서의 신호전달에 관여하며, 또한 미생물에서 생리적 자극에 따라 다른 발현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Bacillus subtilis에서 이 유전자에 대한 환경에서의 자극 신호들, 즉 pH 변화, 삼투압의 변화 및 온도의 변화에 따른 발현양상을 연구하였다. 이미 동정된 dgk locus의 KpnI-HindIII의 0.45 kb의 DNA fragment를 probe로 하여 Dot blot, Northern blot analysis를 통해 발현량을 조사해 본 결과 dgk 유전자는 pH변화, 삼투압의 변화 및 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발현되는 유전자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낮은 pH, 고 삼투압, 및 저온에서 dgk 유전자의 발현량이 많아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Northern hybridization에서 약 2.5kb의 mRNA가 관찰되었다. dgk gene의 ORF size는 약 0.4 kb로 관찰된 transcript size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Streptococcus mutans의 dgk gene과 마찬가지로 B. subtilis의 dgk 유전자도 polycistronic mRNA로 발현되는 것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염색체상의 dgk gene에서 상류의 ORF2까지의 크기가 약 2.5 kb로 관찰된 mRNA size와 동일하였다. dgk gene 상류의 ORF2영역의 0.6 kb의 DNA fragment를 probe로 하여 northern blot hybridization을 수행한 결과, 2.5 kb의 mRNA가 관찰되었으며 발현되는 형태도 dgk probe를 이용한 결과와 동일하였다. 따라서 dgk gene은 상류부위의 ORF2 gene과 operon을 형성하여 polycistronic mRNA로 전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