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theast Asian Countries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5초

과학기술분야 국제협력 증진을 위한 아시아 국가 간 공동연구 현황 분석 (A Study on Research Collaboration Among Asian Countries in Science and Technology)

  • 김원진;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03-123
    • /
    • 2010
  • 과학기술분야 국제협력은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필수적이다. 한국은 과학기술의 인적 물적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연구의 국제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 아시아 국가와 연구협력에서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한국과의 공동연구가 크게 증가한 아시아 국가 간 공동연구 현황을 공저논문 수와 주제범주로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 최근 5년간 아시아 국가 간 공저논문 수 기반 네트워크를 살펴보면, 일본, 중국, 한국 등 동북아시아 국가들이 네트워크 중심부에 있었으며 국가 상호 간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아시아 지역별로 공동연구의 주제범주를 분석한 결과, 동북아시아 지역은 기초과학 분야에서, 남부아시아,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 지역은 의학 분야에서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중국 및 러시아 화물철도 차량 상호운영을 위한 연결기 연구 (A Study on the Coupler for Interoperability of Freight Railway Car between Korea, China and Russia)

  • 천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1-46
    • /
    • 2018
  • 최근 러시아를 포함한 동북아 경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정책에 따르면 동북 아시아의 운송, 물류 및 연결성 향상은 미래 성장 동력의 과제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각국의 차량 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에 국가 간 철도 차량은 원활하게 운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서로 다른 시스템의 차량을 안전하게 연계 운행하려는 시도는 유럽-러시아간에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나, 동북아-러시아간에는 근래에 들어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화차의 연결기는 국내 및 중국은 미국의 AAR(Association of American Railroads) 규격을 기본으로 한 연결기를, 러시아는 국가 표준인 GOST(USSR State Standards)를 적용한 연결기를 사용하고 있어, 헤드 형상이 서로 상이하여 상호간 연결이 불가능한 실정일 뿐 아니라, 요구하고 있는 재료의 화학적 성질과 기계적 성질이 상이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철도용품 기술기준과 러시아의 GOST 규정을 만족하는 연결기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가변형 연결기 및 연결기 어댑터를 개발하는데 있어, 각 국가에서 제시하고 있는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특히, 연결기에 대하여 요구하는 기계적 성질을 만족하는 재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시험을 통한 그 가능성을 분석하여, 향후 각 국가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연결기 어댑터 제작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Studies on the Restitution of the Imaginary Environment through the Comparison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 Park, Kyung-Bok;Sim, Woo-Kyung
    • 한국조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경학회 2007년도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Asia Vol.3
    • /
    • pp.107-112
    • /
    • 2007
  • This study had the purpose to restore imaginary environment involved to symbolic thinking system of Eastern culture discontinued by scientific and reasonable rationalism of Western. To restore imaginary environment, this study selected example places such as Seoul, Beijing, Kyoto which were ancient cities of Korea, China, Japan each and used hermeneutics and phenomenological access method to draw out the element of imaginary environment by analyzing historical and cultural view of example cities. Through comparison and re-interpret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view of three countries[Korea, China, Japan] in Northeast Asia, as the result of drawing imaginary environment involved within it, it was structured that the spirit and the factor of natural environment of places involved to each cities were reflected as the factor of civilized environment, organized that each element was united, and more sanctified the spirit of place step by step. This study has the meaning as first trial which comparatively analyzed city spaces of existent place of human life by new concept called imaginary environment. It may has the meaning that verifying the universality of imaginary environment involved to historical and cultural view of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however, there was limitation to examine specificity up to detailed elements of each city.

  • PDF

초국가적 동아시아정체성에 대한 연령 및 세대코호트, 국가정체성의 효과분석 (Analysing the Effects of Age, Generational Cohorts, National Identity on Supranational Regional Identity)

  • 지은주;권혁용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1호
    • /
    • pp.309-330
    • /
    • 2010
  • 이 논문은 동아시아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연령 및 세대코호트(cohort)효과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이 논문은 동아시아 지역정체성이 한국인이라는 국가정체성(national identity)의 정도와 어떠한 방식으로 연관되는가를 분석한다. 2008년 시카고국제문제협의회-동아시아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인 여론조사 데이터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은 흥미로운 경험적 발견을 제시한다. 연령이 높을수록 동아시아정체성의 정도가 더 강하게 나타나며, 국가정체성이 강할수록 강한 동아시아정체성을 지니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험적 발견은 서구를 대상으로 한 기존연구들의 발견과는 다른 패턴을 보이는 것이다. 첫째, 한국의 경우 젊은 층이 아니라 경제적 자원이 어느 정도 있는 연령층이 더 초국가정체성을 지닌다. 둘째, 일반적인 동북아공동체에 관한 연구의 논의와 다르게, 이 연구는 강한 국가정체성이 동아시아 지역정체성과 상보적(complementary)이라는 점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동아시아지역통합의 이론적, 정책적 모색과 동아시아 지역 내 강한 민족주의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미시적 기초를 밝혀준다.

남북한 신재생에너지기술 협력방안 (Cooperation of New & Renewable Energy Technolog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김상현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8-173
    • /
    • 2004
  • From the present geographical environment of Korean peninsular the Republic of Korea is worser than the an island country of Japan In the point of Northeastern Asia energy network. Therefore the energy cooperation with South and North Korea is direct connect to the Northeast Asian Energy Network. It is most important that North Korea promotes the economics by themselves through the solving of their energy Problem with South Korea. Therefore, at the moment it is necessary to support North Korea with the cooperation of energy technologies that could be useful to set up the Northeast Asia Energy Network and which is important to form the energy system of Korean peninsular. In this paper to importance of cooperation for energy technology and the present of economics and energy demand/supply in North Korea and energy technology of North Korea & the comparison energy technology level of the both countries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described.

  • PDF

중심항만 개발전략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Hub Port Development Strategy)

  • 한철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1-178
    • /
    • 2003
  • 세계적으로 항만간 경쟁이 전방위로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아시아 각국은 자국 항만을 중심항만으로 육성하려고 대대적인 항만개발에 나서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중심항 개발전략의 유효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는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i) 대형항만에 물동량이 집중되는 항만집중화 현상이 일어나는가 ii) 과연 대형항만은 소형항만에 비해 물동량 증가속도가 빠른가를 검토함으로써 중심항만 개발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허쉬만-허핀달지수를 적용하여 아시아 항만의 항만집중도를 분석하였고, 또한 글로벌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컨테이너 항만규모와 성장간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항만집중도에 있어서 아시아 특히 동북아지역은 항만물동량의 분산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항만규모와 성장간 관계의 경우 글로벌 차원에서는 대형항만일수록 물동랑 증가율이 소형항만에 비해 높게 나타난 반면, 아시아지역은 소형항만일수록 물동량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중심항만 개발전략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Hub Port Development Strategy)

  • 한철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107-114
    • /
    • 2003
  • 세계적으로 항만간 경쟁이 전방위로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아시아 각국은 자국 항만을 중심항만으로 육성하려고 대대적인 항만개발에 나서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중심항 개발전략의 유효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는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i) 대형항만에 물동량이 집중되는 항만집중화 현상이 일어나는가 ii) 과연 대형항만은 소형항만에 비해 물동량 증가속도가 빠른가를 검토함으로써 중심항만 개발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허쉬만-허핀달지수론 적용하여 아시아 항만의 항만집중도론 분석하였고, 또한 글로벌 차원과 지역적 차원에서 컨테이너 항만규모와 성장간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항만집중도에 있어서 아시아 특히 동북아지역은 항만물동량의 분산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항만규모와 성장간 관계의 경우 글로벌 차원에서는 대형항만일수록 물동량 증가율이 소형항만에 비해 높게 나타난 반면, 아시아지역은 소형항만일수록 물동량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동북아시아 지역 전통복식 디자인을 응용한 셔츠디자인 개발 -글로벌 패션문화상품- (Development of Shirt Design Applying Traditional Clothing Design in Northeast Asia Region - Global Fashion Cultural Products -)

  • 최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46-455
    • /
    • 2020
  • In order to develop high value fashion culture products capable of reaching the global market, this study developed the original traditional clothing design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according to a global perspective. This study applied the structural formality of traditional clothing to fashion cultural products. This study developed designs using Deel of Mongolia, Makap of China Korean Dang-ui / Dan-ryung, and Haori of Japan. The research methods are theoretically examined using literature on traditional clothing in Northeast Asia. First, it designed a shirt design using Adobe Illustrator CS6 and created a pattern with the Yuka program as well as applied CLO 5.0 (a 3D virtual dressing system from CLO Virtual Fashion Co.). A survey was also conducted on individual interest for the developed fashion cultural products. The design method obtained various design effects by applying the method of adding point detail parts of the clothes to the shirt that represented each country among their traditional clothes.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global fashion cultural products market that can contribute to maintaining the originality of each country in the global era, expanding tourism income to succeed and develop culture and tra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