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th-Han river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8초

팔당호 상류 유입하천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분포 패턴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Distribution Pattern in Upper Inflow Rivers of Lake Paldang)

  • 박혜경;변명섭;김은경;이현주;전명진;정동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15-624
    • /
    • 2004
  • The distribution pattern of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biomass in upper inflow rivers of lake Paldang had surveyed. In North-Han river system, nutrient concentrations and algal biomass was below the standard of mesoand oligotrophy from lake Soyang to lake Paldang, maintaining good water quality, except the N5 site located near the Chuncheon-Si, showing high nutrients concentrations and algal biomass. The algal biomass of the South-Han river system showed oligotrophic level in the upstream near the lake Chungju, and increased along the flow direction showing eutrophic level in the downstream within the lake Paldang area.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nutrients were detected in the middle stream near the Yeoju-Si and Yangpyung-Gun rather than in the downstream suggesting algal biomass in lake Paldang would not come from the upper river area but come from the growth within the lake area using nutrients from the upper inflow river.

남(南)·북한강(北漢江) 담수산(淡水産) 패류(貝類)의 분포상(分布相)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a Distribution of the Freshwater Snails and Mussels in the North-South Han River)

  • 권오길;조동현;박갑만;이준상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4
    • /
    • 1985
  • The investigation of freshwater molluscs in the South Han River was carried out from 1984 and in 1985. The authors selected 12 stations and collected freshwater snails and mussels. We here publish the catalogue of molluscs in South and North Han River. The catalogue of molluscs in the South Han River is as follows; two classes, four orders, six families including twenty species(Semisulcospira coreana, Semisulcospira globus, Semisulcospira gottschei, Semisulcospira forticosta, Parafossarulus manchouricus, Gabbia misella, Radix auricularia coreana, Austroppepleaollura, Limnoperma lucustris, Lamprotula gottschei, Lanceolariaacrorhyncha, Unio douglasiae, Unio sp, Solenaia triangulalis, Anodonta fukudai, Anodonta woodiana, Corbicula felnouilliana, Corbiculafluminea, Corbicula sp).

  • PDF

한강수계의 주요 오염원별 부하량 비교분석 (Comparative Study on Loading Rate of Main Pollution Sources in Han-River)

  • 강성환;구본수;임재명
    • 산업기술연구
    • /
    • 제18권
    • /
    • pp.399-404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constructed the database, based on graphing the present water pollution in Han-river due to livestock wastewater(LSW). The LSW was below 1% in respect to quantity but about 7% in respect to pollutants loading in overall Han-river. The ratio of untreated LSW is 18% to 28%, which was higher compared to the municipal and industrial wastewater. In other words, LSW was about 0.05 times of municipal wastewater in respects to quantity but 2 times in respect to the ratio of untreated wastewater. So, it was necessary for treating LSW. The pollutants loading due to livestock wastewater of the South Han-river, North Han-river and main stream were 19.7%, 19.4% and 4.0%, respectively. This was about 7% in overall Han-river. We separated the Han-river into upper, mid and down stream.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livestock wastewater is the main water pollution source of upper Han-river.

  • PDF

북한강 수계에 출현한 남조류와 이취미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a Dense Population of Cyanobacteria and Odorous Compounds in the North Han River System in 2014 and 2015)

  • 변정환;황순진;김백호;박진락;이재관;임병진
    • 생태와환경
    • /
    • 제48권4호
    • /
    • pp.263-271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5년 3월까지 북한강 수계 3개의 연속댐 (의암호, 청평호, 팔당호)의 환경요인 및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등을 매월 1회씩 조사하였다. 3개 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규조류-남조류-규조류의 순서로 우점하는 계절성을 보였으며, 가을철 북한강 수계에서 남조 Pseudanabaena limnetica가 우점종으로 처음 출현하였다. 이취미 물질을 발생하는 남조 Anabaena circinalis, Pseudanabaena limnetica의 종이 우점종으로 출현한 시기에 이취미 물질인 Geosmin과 2-MIB 역시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환경요인과 남조류의 현존량과의 관계를 보면, A. circinalis의 경우 이취미 물질인 Geosmin (r=0.983, p<0.01)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P. limnetica의 경우 영양염류 중 총질소 (r=0.685, p<0.01), 질산성질소 (r=0.723, p<0.01)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고, 이취미 물질인 2-MIB (r=0.717, p<0.01)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북한강 수계에서 나타나는 이취미 물질은 남조류 출현과 직, 간접적인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상수원 저수지 이취미 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습지 유형 분류 체계별 습지 분류 특성 -두만강과 한강을 사례로- (Wetlands Classifying Characteristics by Wetland Classifying Systems - Cases on the Tu-men River and Han River -)

  • 주위홍;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52-161
    • /
    • 2006
  • This study is the primary study for analyzing the classifying characteristics of river wetlands in Korea and China. It is the first step for constructing the wetlands inventories and establishing the wetland conservation strategies in North-Eastern Asia. The case study sites are Han-river which is the representative river of Korea and Tu-men river which is flowing on the borderline of 3 nations, China, North Korea and Russ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types of wetlands of Han-river in Korea and Tumen-river in China were classified by the methods of Koo(2002) which is focused on the topography and hydrology and Zhu(2002) which is emphasized the vegetation and habitats. 2. There are three features which are hydrology, topography and soil cover, and vegetation to classify the wetlands into each types. 3. According to the two wetland types by Koo and Zhu, classification system, wetlands in the case study area(Han river and Duman river) were classified by types. 4. In Koo's classifying system(2002), lots of Riverine, Lacustrins and Flat wetlands are found because the topographical and hydrological features are emphasized. On the contrary in Zhu's system(2002), there are lots of Palustrine wetlands because of emphasizing the vegetation. 5. By the topographic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ites, there are more wetland types in the lower Tumen river.

북한강 유역 춘천지역의 논 농업용수 회귀율 산정 (Return Flow Rate Estimation of Irrigation for Paddy Culture in Chuncheon Region of the North Han River Basin)

  • 최중대;최예환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68-77
    • /
    • 2002
  • Return flow rate of agricultural irrigation for rice culture was investigated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Two small paddy watersheds were chosen and irrigation, drainage, infiltration and evapotranspiration were monitored and estimated during the irriga

  • PDF

북한강 수계 충적평야 지역 토지이용과 지하수 수질간의 관계 (Agricultural Land Use and Groundwater Quality of an Alluvial Watershed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 최중대;류순호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57-65
    • /
    • 2000
  • The effect of land use of an alluvial watershed in the upper North Han river basin on ground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Existing 20 farm wells were selected as monitoring wells representing different land uses of residential, arable(paddy and field),

  • PDF

Spectral 해석(解析)에 의한 한강수계(漢江水系)의 사행분석(蛇行分析) (Spectral Analysis of Meanders in the Han River System)

  • 송재우;김진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87-196
    • /
    • 1988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유로(流路)의 방향각(方向角)과 방향편각(方向偏角)의 자료(資料)를 가지고, 자기상관계수(自己相關係數)와 variance spectrum을 이용(利用)하여 한강유역(漢江流域) 하천(河川)들에 대한 사행특성(蛇行特性)을 분석(分析)하였다. 사행파장(蛇行波長) 산정(算定)에는 방향각(方向角) spectra 보다는 방향편각(方向偏角) spectra의 이용(利用)이 더 좋음을 알 수 있었으며, 방향편각(方向偏角) spectra로부터 산정(算定)된 지배사행파장(支配蛇行波長)은 북한강수계(北漢江水系), 남한강수계(南漢江水系), 한강하류수계(漢江下流水系) 하천(河川)들 순(順)으로 점차(漸次) 크게 나타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또한, 유로(流路)의 방향각(方向角) 및 방향편각(方向偏角)의 spectra로부터 북한강수계(北漢江水系), 남한강수계(南漢江水系), 한강하류수계(漢江下流水系) 하천(河川)들의 사행성향(蛇行性向)을 알 수 있었다. 방향각(方向角) 및 방향편각(方向偏角)에 대한 autocorrelogram들은 일반적(一般的)으로 진동(振動)하면서 감쇠(減衰)하는 모양을 보였으며, 방향편각(方向偏角)의 자료(資料)를 가지고 자기상관계수(自己相關係數)와 spectra로 구한 사행파장간(蛇行波長間)에는 상관성(相關性)이 높은 선형관계(線形關係)를 보였다.

  • PDF

L-모멘트법을 이용한 한강유역 일강우량자료의 지역빈도해석 (Frequency Analysis of Daily Rainfall in Han River Basin Based on Regional L-moments Algorithm)

  • 이동진;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119-13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의 1일, 2일, 3일 연최대강우자료를 대상으로 L-모멘트법을 이용한 지점 빈도해석과 지역 빈도해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지역빈도해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한강유역을 남한강, 북한강, 한강하류부 유역의 3개 소유역으로 분할하고, 각 유역에 대한 자료의 이산도 및 동질성을 검토하였으며, 각 소유역에 대하여 여러 분포형을 적용한 결과, 남한강유역과 한강하류부 유역은 lognormal 분포형, 북한강 유역은 gamma-3 분포형이 적정분포형으로 선정되었다. 지역빈도해석과 지점빈도해석을 통하여 선정된 확률분포형을 이용, Monte Carlo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재현기간에 따른 상대편의와 상대제곱근 오차를 산정하였다. 지역빈도해석과 지점빈도해석을 비교한 결과 상대제곱근오차에 있어서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한 경우가 지점빈도해석에 비해 그 결과가 우수하였으며, 재현기간이 커질수록 그 차이는 현저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한강유역의 강우량에 대해서 지역빈도해석 수행함이 지점빈도해석에 비해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 PDF

북한강 수역에 분포하는 Pseudanabaena 균주의 동정 및 2-MIB 생산 잠재성 분석 (Molecular Identification of Pseudanabaena Strains and Analysis of 2-MIB Production Potential in the North Han River System)

  • 김건희;이세진;서경화;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53권4호
    • /
    • pp.344-354
    • /
    • 2020
  • 이취미 물질인 2-MIB를 합성하는 원인종에 대한 정보는 담수생태계에서 이와 관련된 환경 및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북한강 수계에서 출현하는 Pseudanabaena strain을 분리·배양하고,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종 수준의 동정과 2-MIB 합성 유전자 탐색을 통해 이취미 물질 발생 잠재성을 분석하였다. 북한강 본류 지역(삼봉리, 조암면, 의암호 지역)에서 분리한 Pseudanabaena strain은 총 11개로서 NHUA201911과 NHPD201909 strain을 제외하고 단일세포의 크기는 서로 유사하였다. 그러나 16S rDNA 계통분석을 통한 유전자 염기서열의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분리된 strain들은 총 5개 종(P. cinerea, P. yagii, P. mucicola, P. galeata, P. redekei)으로 분류되었다(40~55% 유사도). 2-MIB를 합성하는 mibC 유전자는 P. cinerea 07 strain (NHUA202007-07)와 P. yagii (NHUA202007-08), P. redekei (NHUA201911)에서만 발견되었으며,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따라 실질적인 2-MIB 합성은 P. cinerea와 P. redekei 종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북한강 수역에서 발생하는 Pseudanabaena속 남조류의 다양도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는 연구로서 북한강 수계에서 2-MIB 생산 원인종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