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th America

검색결과 706건 처리시간 0.041초

생산성 향상을 위한 북미 최첨단 사무공간 계획 방향 분석 (Analyzing the State-of-the-Art Office Planning Directions in North America for Better Productivity)

  • 윤혜경;박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200-20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ariables of the state-of-the-art office planning for the productive workplaces of the North America and to predict the adaptability in Korea. Knowledge workers have been considered as the decisive factors for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organizations. So, open workplaces have been considered appropriate for the workplace to stimulate their informal knowledge sharing. However, the low individual productivity due to low privacy and distraction in the open workplace has been the key problem. To solve the dilemma, this study suggests that closed individual offices are best for the individual productivity and open conference area and meeting places are essential for the informal knowledge sharing. Some state-of-the-art workplaces such as just-in-time offices and hotelings can provide more space for the individual workplaces and open meeting places without excessive cost burden of organizations.

New record of an alien plant, Verbena bracteata (Verbenaceae) in Korea

  • KIM, Jung-Hyun;SHIM, Sang Deog;CHO, Kyu Tae;KIM, Hyun Sik;HYUN, Chang Woo;PARK, Jin Hee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96-200
    • /
    • 2022
  • Verbena bracteata Cav. ex Lag. & Rodr. (Verbenaceae), native to North America and an alien plant in China and Japan, was newly found in central and southern areas of Korea. This species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Verbena taxa in Korea by having larger floral bracts and stems that are prostrate or procumbent to decumbent-ascending. Verbena bracteata grows in dry and sunny grasslands or along roadsides. A precise description, illustration, photographs, and a key to related taxa are provided.

Pushing the Boundaries of Mass Timber Construction and Building Codes

  • Dubois, Jean-Marc;Frappier, Julie;Gallagher, Simon;Structures, Nordic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61-271
    • /
    • 2020
  • The 2020 National Building Code of Canada (NBC) and the 2021 International Building Code (IBC) both include Tall Wood Buildings (TWB) and are hailed as documents responsible for the proliferation of Mass Timber construction. Mass Timber construction is critical to reduc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 sector acknowledged as being one of the greatest contributors of global annual CO2 emissions. Origine, a 13-storey multi-residential building erected in 2017 in a previously unsuitable site, is currently the tallest all-wood building in North America. This article describes the challenges overcome by the designers and client as they engaged with code officials, building authorities, and fire-service representatives to demonstrate the life-safety performance of this innovative building. It also traces the development of the "Guide for Mass Timber Buildings of up to 12 Storeys" published in Quebec and how it has enabled other significant Tall Wood projects across North America.

북미 천연가스 현물시장간의 가격발견과 동태적 상호의존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ice Discovery and Interactions Among Natural Gas Spot Markets in North America)

  • 박해선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5권5호
    • /
    • pp.799-82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분석기법과 그래프 이론을 활용하여 8개의 북미천연가스 현물시장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벡터오차수정모형과 탐욕동급검색 알고리즘(Greedy Equivalence Search Algorithm)을 활용한 그래프 이론을 통해 시장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격발견과정은 초과수요지역에서 발생하여 초과공급지역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 천연가스 현물시장 중에서 시카고로 대표되는 미국의 중서부지역이 가격발견과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장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국 동부지역에 있어 펜실바니아의 Ellisburg-Leidy Hub이, 그리고 미국서부지역에 있어서는 Malin Hub이 가격발견과정에 있어 중요한 시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북미대학의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 사례 분석 I - 교과 영역별 개설현황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in North America: Focusing on Subject Modules)

  • 최상기;안인자;노영희;김주섭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5-167
    • /
    • 2011
  • 본 연구는 선진국 대학에서 교육하고 있는 교과목 운영상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북미 대학의 문헌정보학 교과목 운영 사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북미 대학 홈페이지의 내용 분석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연구내용은 전통적인 문헌정보학대학과 정보학대학의 교과목비교, 북미 대학에서 개설되고 있는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 및 교과목 운영 현황, 영역별 개설 교과목의 종류와 수, 주요교과목들의 분석이다.

Archivaria 리뷰를 통한 국외 기록관리학 연구의 동향 분석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 Management in North America through the Review of Archivaria)

  • 박희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99-125
    • /
    • 2014
  • 본 연구는 기록관리학 전문학술지인 "Archivaria" 학회지에 발간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북미를 중심으로한 국외 기록관리학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최근 5년간 "Archivaria" 학술지에 실린 7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정량분석을 통해 연구자별 분포, 주제영역별 키워드 분포를 조사하였다. 내용분석을 통해서는 연구논문의 핵심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리학의 주요 주제영역에 대한 국외 기록관리학 연구의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의 유형별 UX 만족도 지표 연구 (Study on UX Satisfaction Index According to Types of Mobile Commerce Services)

  • 김소현;하현남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53-59
    • /
    • 2014
  •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인지하는 UX 만족도는 구매하는 상품과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다를 것으로 예측된다. 이 연구에서는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에서 판매하는 상품 유형에 따라 한국과 북미 사용자의 UX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각 서비스 유형에 필요한 UX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UX 만족도 지표(INDEX)를 구성하는 4개의 차원(UI 편의성, 유용성, 신뢰도, 네트워크 효과)과 세부 UX 디자인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실제 모바일 서비스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UX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판매하는 상품에 따른 비교에서는 신뢰도에서 차이가 나타났지만 한국과 북미 사용자에 따른 비교에서는 유용성과 신뢰도 모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UX 만족도 지표를 구성하는 4개의 차원과 세부 UX 디자인 요소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서비스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요소가 전반적으로 높은 관계성을 보였고 문제해결, 도움말과 같은 고객 지원 요소는 한국 사용자보다 북미 사용자에게서 더 높은 관계성을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할 때보다 실물 상품을 구매할 때 사용자는 신뢰도 요소를 더 필요로 하며, 한국 사용자는 콘텐츠의 유용성에 높은 가치를 두고 북미 사용자는 신뢰도에 높은 가치를 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북미지역 iSchool 대학과 L-School의 교육과정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Curriculum of iSchools and L-School in North America)

  • 김희섭;남권희;강보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95-314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북미의 iSchool 대학들의 교육과정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해당지역 17개 iSchool 대학 집단과 동일한 수의 L-School 대학 집단을 선정하였다. 해당 대학의 대학원 개설 교과목 정보는 주로 해당 대학 공식 웹사이트와 전자메일 문의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교과목은 8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아울러 L-School 대학 집단과 비교분석도 실시하였다. 분석도구로는 SPSS 19.0을 사용하였고, 두 집단 차이분석을 위해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iSchool 대학 집단의 개설 교과목 비율을 분석한 결과 '정보학', '실습연구', '도서관정보센터경영' 영역이 높은 순위를 보였고, L-School 대학 집단의 개설 교과목 영역과 차이분석을 한 결과에서는 '문헌정보학일반' 영역은 더 낮게, '정보학',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 '실습연구' 영역은 더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