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mal condition of transport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초

KSC-7 사용후핵연료 수송용기 핵임계해석 (Analysis of the criticality of the shipping cask(KSC-7))

  • 윤정현;최종락;곽은호;이흥영;정성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47-59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사용후핵 연료를 안전하게 수송할 수 있는 수송용기의 여러 가지 설계 항목중에 수송용기 내부에 장전한 핵연료에 의한 핵임계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핵임계해석을 수행하였다. 핵임계 해석에 사용한 HANSEN-ROACH-KENO-Va 전산시스템에 대한 검증계산을 수행하였고 수송용기의 핵임계측면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능한 보수적인 가정을 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수송용기에 장전된 핵연료가 임계상태에 도달하지 않도록 수송용기 내부의 구조 및 적절한 핵임계 방지제를 선택하였고 정상수송 및 가상사고 조건 등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KSC-7 수송용기 의 설계조건을 만족하고 핵임계측면에서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재료 및 구조에 대한 결론을 해석적으로 도출하였다.

  • PDF

B형 삼중수소 운반용기 안정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type B transport container for tritium storage vessel)

  • 이민수;백승우;김광락;안도희;임성팔;정홍석;최희주;최종원;손순환;송규민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5-169
    • /
    • 2007
  • 월성 원자력 발전소의 TRF 시설에서 수집된 트리튬을 metal hydride 형태로 보관하고 있는 500 kCi급 트리튬 1차 저장용기를 발전소 밖의 폐기물 저장고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하여 트리튬 운반용기를 개발하였다. B형 운반용기의 기술기준을 적용하여 구조평가, 열평가, 방사선차폐평가, 격납평가 등을 수행하여 운반용기의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트리튬 운반용기는 정상운반조건 및 사고운반조건에서도 격납 경계가 손상되지 않는다고 평가되었다. 붕괴열로 인한 운반용기 내부 저장용기의 온도상승은 수치해석 결과, 원통형 모델에서는 $134.8^{\circ}C$로 나타났다. 운반사고 조건에 대한 열 평가로서 $800^{\circ}C$ 외부환경에 30분간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단열재만의 열차폐를 고려하여 계산한 결과, 약 $405^{\circ}C$로 나타났으며, 내부 온도 상승은 1차 격납 경계인 1차 저장용기의 허용 온도인 $550^{\circ}C$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격납 차폐 평가에서도 사고조건인 $800^{\circ}C$의 외부 환경에 노출된 경우에서도 충분히 운반용기의 격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방사선에 대한 차폐 특성을 조사한 결과, 트리튬에서 발생된 ${\beta}-ray$ 선량은 1차 저장용기 외부 표면에서 0으로 계산되었다. 이상과 같이 500 kCi 급 트리튬 운반용기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운반사고조건에서도 트리튬 운반용기는 전혀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CR 기법을 사용한 옥수수 미토콘드리아 변이체 (NADH-dehydrogenase)의 선별과 재분화 (Identification of mitochondrial mutant (NADH-dehydrogenase) using PCR method and regeneration of mutants from Zea mays)

  • 설인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13
    • /
    • 1998
  • 옥수수의 미토콘드리아 변이체(NGS2)는 전자전달계 내의 NADH dehydrogenase를 구성하고 있는 subunit 4와 7 유전자의 재조합에 의해서 생성된 변이체이다. 이들의 변이체들은 식물의 성장과 발육에 절대적인 영양을 미치며, 또한 기내에서의 callus line들의 생성과 발달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들의 미토콘드리아 mutant 들은 3개의 primer를 사용하는 PCR 방법에 의해서 쉽게 선별이 가능하며, 세포 내의 키토콘드리아 변이 정도를 간접적으로 추측케 하며, 체시포 분열시 세포질 내의 기관들이 random으로 분리되는 현상을 간법적으로 알 수 있다. NGS2 mutant들에서 유기된callus line들은 식물체 재문화에도 영향을 미쳐 murant 미토콘드리아가 많은 call line들에슨 실질적인 부정 줄기의 유기를 방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NADH-dehydrogenase는 식물체가 재분화 또는 성장하는데 있엇 필요한 요소라고 생각된다.

  • PDF

차량 주행 시 타이어와 도로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조대입자, 미세입자 및 초미세입자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Coarse, Fine, and Ultrafine Particles Generated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ire and the Road Pavement)

  • 곽지현;이선엽;이석화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56-667
    • /
    • 2013
  • The non-exhaust coarse, fine, and ultrafine particles were characterized by on-road driving measurements using a mobile sampling system. The on-road driving measurements under constant speed driving revealed that mass concentrations of roadway particles (RWPs) were distributed mainly in a size range of 2~3 ${\mu}m$ and sligh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vehicle speed. Under braking conditions, the mode diameters of the particles were generally similar with those obtained under constant speed conditions. However, the PM concentrations emitted during braking condi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produced under normal driving conditions. Higher number concentrations of ultrafine particles smaller than 70 nm were observed during braking conditions, and the number concentration of particles sampled 90 mm above the pavement was 6 times higher than that obtained 40 mm above the pavement. Under cornering conditions, the number concentrations of RWPs sampled 40 mm above the pavement surface were higher than those sampled 90 mm above the pavement. This might be explained that a nucleation burst of a lot of vapor evaporated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ire and the road pavement under braking conditions continuously occurred by cooling during the transport to the sampling height 90 mm, while, for the case of cornering situations, the ultrafine particle formation was completed before the transport to the sampling height of 40 mm.

선박용 Ejector의 직관부와 디퓨저 길이 변화에 따른 성능비교 및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and flow characteristics due to the length of throat and diffuser for ship's ejector)

  • 이영호;김문오;김창구;김유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1호
    • /
    • pp.31-38
    • /
    • 2014
  • 이젝터는 고압의 주유동을 통해 저압의 부유동을 이동시키는 단순한 장치이다. 이젝터의 효율은 주방향으로 작동하는 다른 이송 장치에 비해 매우 낮다. 그러나 구동장치가 없어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낮은 구동에너지로 많은 양의 유체를 이송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side-type 액체용 이젝터에 작동유체의 유량을 변화시키면서 정상, 비압축성 유동에 대해 실험 및 CFD 분석을 통하여 직관부 및 디퓨저의 길이변화에 따른 이젝터의 유동 패턴과 흡입 현상을 분석하였다.

錦江 鹽河口에서의 潮流와 浮游堆積物 이동 (Tidal Current and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the Keum Estuary,West Coast of Korea)

  • 오임상;나태경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47-162
    • /
    • 1995
  • 큰 潮差 지역인 금강 鹽河口의 潮流과 江水流入에 의한 순환과 이에 따른 부유물질의 이동을 알아보기 위해 1990년부터 1992년까지 세 정점에서 潮流 및 浮游퇴적물질 농도를 관측하였다. 이 염하구의 가장 외해쪽 관측점에서는 漲潮流 와 落潮流의 수직 구조는 거의 대칭형을 나타내고 있다. 또, 남측 수로에서는 漲 潮流가 全水層을 통해서 우세하나 북측 수로에서는 상층과 저층에서는 落潮流가 우세하고 중층에서는 漲潮流가 우세하였다. 남측 수로에서의 최대유속은 漲潮流 시에 중층에서 174 cm/s이었으며, 북측 수로의 최대 유속도 漲潮流시 중층에서 148 cm/s로 기록되었다. 반면에 표층과 저층에서는 최대유속 110.6 cm/s의 강한 유속이 落潮時에, 92.1 cm/s이 漲潮시에 각각 기록되었다. Hansen and Rattray 의 scheme에 의하면 금강 鹽河口는 Type 3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이 鹽河口의 수층은 漲潮流에 의해서 成層化하고 高潮後의 落潮流는 수층간의 밀도차를 줄여 서 亂流化한다. 이곳의 저층 흐름은 일반적으로 난류성이다. 한 조석 週期당 부유 물질의 이동량은 潮差와 하천유량에 달려있다고 생각된다. 관측기간중 최대의 부 유물질 이동은 하천유량이 최소였던 1991년 5월중 남측 수로에서의 측정치에서 초당 20.61톤으로 나타났으며, 최소 이동은 최소 潮差 기간인 1992년 7월에 북측 수로에서 초당 0.65톤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해역의 강한 해저전단속도는 창조류 기간 동안에 해저퇴적물을 침식시키며, 상대적으로 긴 落潮 기간은 이들 부유퇴적 물을 외해쪽으로 운반시키고 있다. 정상적인 강수 유입 조건하에서는 대부분의 부유물질이 남측 수로를 통해서 운반되나 강수의 유입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오히 려 북측 수로를 통한 부유물질의 이동이 더 크다.

  • PDF

Lipoid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Diagnosed in an Infant with Hyperpigmentation Only by Targeted Exome Sequencing

  • Kim, Jinsup;Yang, Aram;Jang, Ja-Hyun;Cho, Sung Yoon;Jin, Dong-Kyu
    • Journal of mucopolysaccharidosis and rare diseases
    • /
    • 제3권1호
    • /
    • pp.28-32
    • /
    • 2017
  • Lipoid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LCAH) is the severe form of 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and is characterized by adrenal insufficiency with hyperpigmentation and female external genitalia irrespective of genetic sex. The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StAR) is required for the transport of cholesterol into the mitochondria for steroidogenesis, and defects in the StAR gene account for the majority of LCAH cases. In this report, we present a two-day-old hyperpigmented infant with phenotypical female genitalia. With consideration of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the infant was suspected of having adrenal insufficiency due to LCAH and treated with glucocorticoid, mineralocorticoid, and sodium chloride. Karyotyping revealed 46, XY. Upon pelvis ultrasonography, adrenal hyperplasia with abdominal masses (thought to be the testicles) was reported. Molecular analysis with targeted exome sequencing revealed the homozygote mutation of c.772C>T ($p.Q258^*$) in exon 7 of the StAR gene. The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adrenal insufficiency in infants with hyperpigmentation can prevent clinically apparent adrenal crises. During follow-up, the patient had a good clinical condition and maintained normal electrolyte and adrenocorticotropic hormone levels with medication.

Completeness of Patient Care Report (PCR) by Paramedics

  • Lee, HyoJu;Kim, JongHo;Yun, Seong Woo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0권3호
    • /
    • pp.204-211
    • /
    • 2022
  • This study evaluated the completeness of patient care report (PCR). A retrospective qualit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aw data of 122,140 EMS activity reports prepared by paramedics in Gyeonggi-do from April 1 to May 31, 2021. In all, 67,830 cases of normal transfer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2,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5. The 119EMT_2 certificate was omitted in 50,037 (73.8%) cases, followed by time-related items in 1,227 (1.8%) cases. In the primary assessment of vital signs, systolic blood pressure was omitted and erroneous in 1,218 (1.9%) and 1,129 (1.8%) cases, respectively. In the secondary assessment, the completeness of all vital sign items was approximately 70%. Advanced emergency care and online medical control (OLMC) reporting showed discrepancies in all items. As the severity of the patient's condition increased, the errors in the Patient care report (PCR) also increased, at a significant level (p= .00). Paramedics must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mpleting the activity report.

사고전류 제한형 초전도케이블 제작을 위한 초전도 선재 선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Selection of HTS Wire for Fabrication of Fault Current-limiting Type HTS Cables)

  • 허성욱;김태민;한병성;두호익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904-908
    • /
    • 2013
  • When an abnormal condition occurs due to a fault current at a consumer location where electricity is supplied through a high-capacity and high-$T_c$ superconducting(HTS) cable, the HTS cable would be damaged if there is no appropriate measure to protect it. Therefore, appropriate measures are needed to protect HTS cables. The fault-current-limiting HTS cable that was suggested in this study performs an ideal transport current function in normal operations and plays a role in limiting a fault current in abnormal operation (i.e., when a fault current is applied). It has a structure that facilitated its self-current-limiting ability through device change and reconfiguration in the existing HTS cable without extra switching equipment. To complete this structure, it is essential to investigate about the selection of the superconducting wire. Therefore, in this paper, HTS wire using two types of different stabilization layer is compared and examined the stability and current limiting properties under the existence of a fault current.

Probability-Based Durability Design for Concrete Structure with Crack: Bimodal Distribution of Chloride Diffusion

  • Na, Ung-Jin;Kwon, Seung-Jun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22-33
    • /
    • 2015
  • Chloride ions in RC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can cause very severe corrosion in reinforcement steel. It is generally informed that chloride penetration can be considerably accelerated by enlarged chloride diffusion due to cracks. These cracks play a role in main routes through which chloride ions penetrate into the concrete, and also lead to steel corrosion in RC structures exposed to chloride attack, such as port and ocean structures. In this paper, field survey including evaluation of crack and chloride concentration distribution in concrete is performed to investigate an effect of crack on chloride diffusion. The service life of cracked concrete exposed to the marine environmental condition is estimated considering the crack effect on chloride diffusion. For this purpose, diffusion coefficients in cracked concrete are obtained based on the field survey.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usion coefficients in the cracked concrete and the crack widths, service life of the cracked concrete is predicted in a probabilistic framework. A bimodal distribution with two peaks, consisting of a weighted sum of two normal distributions is introduced to describe chloride diffusion of the concrete wharf with cr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