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doti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산 둥근전복속 (고복족상목: 전복과) 의 분류 및 기재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of Genus Nordotis (Gastropoda: Vestigastropoda) from Korea)

  • 이준상;원승환;김수강;임한규;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9-86
    • /
    • 2014
  • 한국 연안에 서식하는 둥근전복속 2종 및 2아종 (Nordotis madaka, N. gigantea, N. discus discus, N. discus hannai) 에 대한 형태학적 기재와 검색표를 제시하였고, 몇몇 혼용되어 사용된 우리말 이름을 정리하여 제언하였다.

β-glucan 첨가물 (이뮨글루®) 급이를 통한 북방전복 (Nordotis discus hannai) 의 비특이 면역력과 생존율 증대 효과 (Effects of β-glucan (Immuneglu®) on the modulation of non-specific immune parameters and survival rates of cultured abalone Nordotis discus hannai)

  • 김승현;박경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9-125
    • /
    • 2016
  • 본 연구는 ${\beta}$-glucan이 첨가된 사료첨가제 (이뮨글루$^{TM}$) 급이시 전복의 비특이 면역력의 증강 효과와 전염성 질병 감염 시 생존율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참전복 치패와 성패를 대상으로 이뮨글루$^{TM}$ 0, 0.1, 1%가 함유된 사료를 14일간 급이 하면서 면역력, 정균력, 생존율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이뮨글루$^{TM}$가 함유된 사료를 급이한 전복의 치패와 성패의 식세포작용이 증가하였으며 전복폐사 원인균인 Vibrio alginolyticus에 대한 정균력과 생존율이 상승하였다. 반면 염증량을 나타내는 NO량 역시 증가하였다. 따라서 ${\beta}$-glucan이 첨가된 사료첨가제 이뮨글루$^{TM}$는 전복 사육 시 전복의 면역력을 높이고 폐사율을 낮추는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복, Nordotis discus 의 호흡과 폐사에 미치는 부니의영향 (Effects of Silt and Clay on Respiration and Mortality of the Abalone, Nordotis discus)

  • 정의영;신윤경;이주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29
    • /
    • 1993
  • 전복, Nordotis discus의 1$0^{\circ}C$와 2$0^{\circ}C$의 수온구에서 개체크기별 대사와 폐사에 미치는 부니의 영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수온 -염분별 산소소비율의 일반적 경향은 고온-고염분에서 큰개체보다는 작은개체에서 그 비율리 높게 나타났다.2. 염분별 두 수온간의 온도계수 (Q $_{10)}$ 는 작은 개체에서 1.2-2.9의 병위를 큰개체의 경우 1.5-3.4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나 개체크기에 관계없이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3. 부니의 농도별 사망율은 작은 개체의 경우 처리 96시간후 2$0^{\circ}C$수온에서 부니 농도1000ppm에서 가장 높았고. 큰 개체의 경우 50ppm에서 가장 낮았다.4. 96시간-반치사농도(LC$_{50}$)는 1$0^{\circ}C$의 경우, 큰개체에서 1076.58 ppm, 작은 개체에서 812.55 ppm이었으며, 2$0^{\circ}C$의 경우는 큰개체에서 698.28 ppm, 작은 개체에서 546.74ppm으로 나타났다.5. 부니의 영향으로 인한 호흡산소소비량은 개체크기에 관계없이 1$0^{\circ}C$에서 보다 2$0^{\circ}C$에서 더욱 높았으며, 1000ppm에서 70% 이상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 PDF

한국산 전복과 6종의 치설 연구 (Comparative radula structure of six Haliotid ablones from Korea)

  • 임한규;정태혁;이준상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9-305
    • /
    • 2015
  • 한국산 전복과 2속 2종 및 4아종 (N. gigantea, N. madaka, N. discus discus, N. discus hannai, S. diversicolor diversicolor, S. diversicolor supertexta)을 대상으로 주사전자현미경 (SEM)을 이용하여 치설 관찰을 하였다. 그 결과 전복과 패류의 치설형은 비대칭적인 선설형 (Rhipidoglossate form)이며, 치식 (Radular formula)은 >50-5-1-5-50< 으로 중앙에 1열의 중치와 3열의 측치 그리고 50열 이상의 연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치설 구조는 실험 대상종 모두 공통적인 결과로 종 또는 속 간 치설 구조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각 종별 세부적인 치설 형태의 차이점은 인지되어, 이를 규명하기 위한 정밀하고 세밀한 관찰이 요구되었다.

국내연안에 분포하는 둥근전복속 4종의 형태적 특징 고찰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ur Korean Abalone species in Nordotis)

  • 원승환;김수강;김순찬;양병규;임봉수;이제희;임한규;이정식;이준상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7-93
    • /
    • 2014
  •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둥근전복속에 속하는 북방전복, 둥근전복, 말전복 및 왕전복의 형태적 비교를 하였다. 2013년과 1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경남 삼천포에서 채집한 북방전복 69개체, 제주도 연안에 서 채집한 둥근전복 180개체, 말전복 72개체, 왕전복 54개체를 대상으로 형태비교를 한 결과, 품종별로 각장에 대한 각폭, 각고, 전중량의 상대성장식은 북방전복은 SB = 0.6346SL + 3.9082 ($R^2$ = 0.8956), SH = 0.2399SL + 3.2609 ($R^2$ = 0.8024), $TW=0.0009SL^{2.5622}$ ($R^2$ = 0.8088) 이었고 둥근전복은 SB = 0.7249SL + 1.8035 ($R^2$ = 0.9634), SH = 0.3115SL - 11.223 ($R^2$ = 0.8593), $TW=0.0001SL^{2.9696}$ ($R^2$ = 0.8956) 이었고 말전복은 SB = 0.7730SL - 1.1931 ($R^2$ = 0.933), SH = 0.2082SL + 3.2627 ($R^2$ = 0.6927), $TW=0.0002SL^{2.8330}$ ($R^2$ = 0.8431) 이었고 왕전복은 SB = 0.7513SL - 1.0951 ($R^2$ = 0.913), SH = 0.2618SL - 6.1538 ($R^2$ = 0.6927), $TW=0.0001SL^{2.9614}$ ($R^2$ = 0.9353) 로 나타났다.

연체동물 유전체 연구현황 (Current Status of Genome Research in Phylum Mollusks)

  • 방인석;한연수;이준상;이용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7-326
    • /
    • 2010
  • The availability of fast and inexpensive sequencing technology has enabled researchers around the world to conduct many genome sequencing and expressed sequence tag (EST) projects of diverse organisms. In recent years, whole genome projects have been undertaken to sequence ten species from the phylum Mollusca. These include Aplysia californica, Lottia gigantea, Crassostrea virginica, Spisula solidissima, Mytilus californianus, Biomphalaria glabrata, Crepidula fornicata, Elysia chlorotica, Lottia scutum and Radix balthica. Additionally,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s of 91 mollusk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EST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in nine mollusk species that include Nesiohelix samarangae,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Physa acuta, Incilaria fruhstorferi, Meretrix lusoria, Ruditapes philippinarum, Nordotis gigantea, Crassostrea gigas and Laternula elliptica. Finally, the mitochondrial genome projects from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the rock shell (Thais clavigera) have been conducted and reported. However, no systemic mollusk genome project has so far been conducted in Korea. In this report, the current status and research trends in mollusk genome study in Korea will b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