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odle

검색결과 619건 처리시간 0.024초

삼백초 건근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Dried Saururus chinensis Baill. Root Powder)

  • 박정은;김민정;박소해;이희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764-176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삼백초 건근 분말을 새로운 식품소재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밀가루에 삼백초 건근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국수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삼백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도의 L값과 b값은 감소하였으며, a값은 증가하였다. 조리특성에 있어서 무게와 부피가 증가하였으며, 또한 국물의 탁도도 증가하여 조리중 고형분의 손실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조직감은 생면의 경우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조리면에 있어서는 경도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 및 향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맛, 조직감은 삼백초 건근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종합적 기호도에서 삼백초 건근 분말을 3%까지 첨가할 경우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 따라서 삼백초 건근 분말을 첨가하여 국수를 제조할 경우 3% 첨가가 적절한 함량으로 판단된다.

1600년대~1960년대 조리서에 수록된 잡채의 문헌고찰 (Review on Japchae in Cook Books Published during 1600s-1960s)

  • 이경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7-385
    • /
    • 2013
  • The changes in ingredients, seasonings and cooking methods of Japchae in Korean cook books published from the 1600s to the 1960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Japchae was a royal dish enjoyed by Kwanhaegun of Joseon Dynasty and interesting historical story is contained in it. Kwanghaegun Ilgi in 1608 showed that Japchae was Kwanghaegun's favorite dish. Therefore, it has been thought that Japchae was created in the 17th century. Wonhaengeulmyojeongrieugye in 1796 described bellflower Japchae and mungbean sprout Japchae. The traditional Japchae was made without glass noodle called dangmyeon. Eumsikdimibang in 1670 first introduced traditional Japchae, which was made with 20 different ingredients and then served with topping sauce made of pheasant broth, strained soybean paste and wheat flour. Japchae in Kyugonyoram(1896) was prepared by mixing mungbean sprout, watercress, gonjasoni, tripe and yukhwe with mustard. The current style Japchae with glass noodle first appeared in the 1920s and became popular in the 1950s because the traditional Japchae was described in cook books until the 1940s. There were two ways of preparing current style Japchae. Yijogungjeongyoritonggo in 1957 described Japchae was made by mixing the boiled glass noodle with other ingredients and seasonings together. On the other hand, Japchae in Urinaraeumsikmandeuneunbeob(1960) was prepared by seasoning first with other ingredients, and then mixing boiled glass noodle. A variety of ingredients - vegetables, mushrooms, meat, fish, pheasant, beef tong, sea cucumber, gonjasoni and pear - has been used to prepare Japchae. Japchae has been seasoned with ginger, soy sauce, black pepper, sesame salt, sesame oil, oil, leek, garlic, salt, sugar, vinegar and mustard. Egg strips, pine nut, thin strips of Shiitake and stone mushroom, red pepper threads, Chinese pepper(cheoncho), black pepper and ginger were used for garnishing.

키토산 처리에 의한 흰떡과 생면의 저장성 연장 (Shelf Life Extension of White Rice Cake and Wet Noodle by the Treatment with Chitosan)

  • 이장욱;이향희;임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28-833
    • /
    • 2000
  • 흰떡과 생면의 저장성을 연장 시키기 위하여 주정 처리와 키토산 처리 및 주정과 키토산의 병용처리를 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흰떡의 경우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는 6일, 주정처리는 27일에 총세균수의 기준치인 $1{\times}10^{6}\;CFU/g$을 넘어섰으며 젖산 1% 용액을 사용한 경우는 20일에 $1{\times}10^{6}\;CFU/g$ 이상이 되었다. 그러나 키토산으로 처리했을 때에는 저장 76일 까지도 총세균수가 기준치 이하를 나타내어 주정처리를 한 경우보다 약 3배 정도의 저장성 연장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면의 경우 대조구와 주정처리구는 7일 만에 총세균수가 기준치를 넘었으며 키토산처리의 경우는 82일이 경과해도 $1{\times}10^{6}\;CFU/g$ 이하의 값을 나타내어 키토산 처리에 의한 저장성 연장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가루녹차 첨가가 제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Noodle Properties)

  • 박장현;김영옥;국용인;조덕봉;최형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21-1025
    • /
    • 2003
  • 녹차를 이용한 기능성 면류를 제조하기 위해서 가루녹차를 밀가루에 1, 2, 3, 5, 7.5 및 10%첨가하여 제조한 생면의 품질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루녹차의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밀로그래프상의 호화개시 온도는 증가하였고, 최고 점도와 최종 점도는 감소하였다. 조리면의 성질도 가루녹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무게와 부피는 상대적으로 감소함을 보였고, 탁도는 증가하였다. 표면색의 측정 결과 L값과 a값은 감소하였고, b값은 증가하였다. 조리면에 대한 TPA(texture profile analysis) 결과 가루녹차 2% 첨가까지는 견고성, 부착성, 탄력성, 씹힘성이 증가하였으나 3% 첨가부터 감소하였으며, 응집성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조리면의 관능검사 결과 가루녹차 1% 첨가시에 가장 좋은 품질로 평가되었다.

생면의 알코올 첨가에 따른 유통기한 연장 연구 (Extending Shelf-life with Addition of Ethanol of Wet Noodles)

  • 이지영;임찬원;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8-351
    • /
    • 2009
  • 본 연구는 생면산업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주정(ethanol)의 첨가에 따른 미생물의 증식변화와 유통기한 연장 효과를 과학적으로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ethanol을 0, 1, 2% 첨가하였으며, $10^{\circ}C$ 에서 저장하는 동안에 생면의 총균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생면의 품질 기준인 6 log cfu/g을 적용하여 유통기한을 추산하였다. 그 결과 ethanol 첨가 생면의 유통 가능기한은 무첨가군의 경우 9.17일, 1% 첨가군의 경우 15.02일, 2% 첨가군의 경우 27.03일로 추정되어 무첨가군과 비교하여 63.8%, 194.8%의 유통기한을 연장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생면에 주정(ethanol)의 첨가는 유통기한 연장에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기산이 숙면의 저장성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Organic Acids on Shelf Life and Textural Properties of Cooked Noodle)

  • 차욱진;김공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66-174
    • /
    • 1998
  • 저장성이 좋지 않은 숙면(熟麵)을 식초, 젖산, 구연산, 사과산과 같은 유기산에 침지하여 총균수와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하여 유기산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면가닥을 각각의 유기산 수용액에서 30초간 침유(沈遺)시켜 $pH\;4.7{\pm}0.25$로 맞추어 포장 후 $15^{\circ}C$에서 4일간 저장하는 동안 총균수와 혼탁도를 비교 측정했다. 총균수에서는 식초, 젖산, 구연산, 사과산, 대조구 순으로 총균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혼탁도에서는 대조구, 젖산, 사과산, 구연산, 식초 순으로 높았다. 또한 $35^{\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Rheometer를 이용하여 물성을 측정한 결과 견고성과 부착성은 대조구보다 유기산처리구가 높게 나타났고, 응집성과 탄성은 다소 감소 추세였으나 큰 변화가 없었다. 껌성은 대조구보다 사과산과 구연산 처리구가 다소 높았다. 관능검사에 의한 종합적인 선호도 순서는 사과산>구연산, 젖산>대조구, 식초순으로 1% 수준의 유의적 차이의 결과를 얻었다.

  • PDF

Effect of Polyphenol Oxidase Activity on Discoloration of Noodle Dough Sheet Prepared from Korean Wheats

  • Kang, Chon-Sik;Cheong, Young-Keun;Kim, Sun-Lim;Kim, Dae-Ki;Kim, Jung-Gon;Park, Chul-S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87-195
    • /
    • 2008
  • Polyphenol oxidase (PPO) is implicated in discoloration of white salted noodles and other wheat based foods. PPO activity was evaluated to determine the effect on discoloration of noodle dough sheets prepared from 25 Korean wheat flours during storage and to screen experimental lines with low PPO activity in 52 Korean wheats. PPO activity was assayed with whole-seed and performed with L-dihydroxyphenylalanine (L-DOPA) as substrates. Absorbance by L-DOPA assay of 25 Korean wheats was from 0.285 to 1.368 at 475 nm. PPO activ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grain characteristics, including 1000-kernel weight and grain colors. In flour characteristics, PPO activit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sh and protein content (r = 0.658, P < 0.001 and r = 0.424, P < 0.05, respective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L^*$ value of flour (r = 0.412, P < 0.05). In the changes of color of noodle dough sheet, $L^*$ and $b^*$ values consistently decreased and $a^*$ value increased during storage. PPO activity negatively correlated with $L^*$ value of noodle dough sheet during storage (r = 0.566, P < 0.01 at 2 hr, r = 0.547, P < 0.01 at 24 hr, and r = 0.509, P < 0.01 at 48 hr). But,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in between PPO activity, $a^*$ and $b^*$ values during storage. The 52 Korean wheat line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3 different groups, low (< 0.500), medium (0.501-0.999) and high level (> 1.000), on the basis of the level of PPO activity. Twenty two Korean wheat lines showed low level of PPO activity and Suwon 252, 277 and 280 showed lower PPO activity (< 0.200) than others.

파프리카즙 첨가가 생면의 기호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I) (Effect of Paprika(Capsicum annuum L.) Juice on the Acceptability and Quality of Wet Noodle(I))

  • 황재희;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3-379
    • /
    • 2001
  • In an attempt to introduce paprika in wet noodles for improved organoleptic and other quality characteristics, the juices of orange paprika was added as a raw ingredient for wet noodle at 0(control), 15, 30, 45, and 60%(v/w). Overall, the cooked wet noodles containing 15 to 60% paprika juices showed higher sensory scores than control(noodle without Paprika juice), and the acceptabilities for color and overall preference of the products were significantly(p<0.01) higher at the addition levels of 45% and 30 and 45%, respectively. The intensity analysis for the organoleptic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with orange paprika juice showed that as the addition levels increased, there were significant(p<0.001) increase in the values of acceptances for color and flavor of the products, but not in the tenderness and chewiness. Other quality characteristics like water absorption ratio, weight, volume, and turbidity of the broth after cooking of wet noodles increased in values as affected by the addition of paprika juices. In the Hunter's colori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s, the decreased lightness(“L”) along with the increased redness(“a”), yellowness(“b”), and ΔE were caused as the amounts of orange paprika juice increased in wet noodles. For toughness, no significant differences(p<0.001) were noticed among the samples as measured by Waner-Bratzler blade attached to Texture Analyz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dding orange paprika juice to wet noodles, most preferably at 45%, increases the acceptance and organoleptic qualities of noodle by affecting the color and flavor of the final products.

  • PDF

한국 재래식 국수류의 유체변형성에 관한연구 제 3보 : 기계적 모델파라메터와 관능적 품질평가와의 상관관계 (Studies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Korean Noodles III. Correlation between Mechanical Model Parameters and Sensory Quality of Noodles)

  • 이철호;김철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02-306
    • /
    • 1983
  • 밀국수와 냉면국수의 삶음 시간과 삶은후 저장시간에 따른 조직감의 변화를 관능검사에 의하여 평가하고 국수의 굳기(hardness), 씹힘성(chewiness) 및 기호도와 creep test에서 얻은 기계적 모델 상수와의 상관관계를 시험 하였다. 국수의 굳기는 삶음 시간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았으며 삶은후 저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소 연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씹힘성은 삶음 시간과 저장시간에 거의 같은 정도로 감소됨을 나타내었다. 국수의 기호도는 밀국수의 경우 삶음시간에 크게 영향받지 않았으나 냉면국수는 삶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기호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Creep test에서 측정되는 순간탄성이 크면 클수록 국수는 굳기가 감소되는 관계를 나타내었다. 밀국수의 조직감 및 기호도는 Creep test의 탄성요소 및 점성요소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냉면국수는 지연시간과 유의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 PDF

솔잎향미유 처리에 의한 건면의 품질개선 효과 (Quality improving effect of dries noodle according to treatment of pine needle seasoning oil)

  • 손무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1-194
    • /
    • 2001
  • Autoclaving법으로 제조한 솔잎향미유(pine needle seasoning oil, PNSO) 0~3%(w/w)와 유화제를 2:1(w/w)로 혼합하여 식염수에 용해시킨 후 이를 밀가루와 반죽하여 건면을 제조하였다. PNSO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흡수율, 부피팽창율, 고형분 용출율은 감소하였으며, 조리시간은 연장 되는 것으로 나타나 적정 처리량은 2~3%(w/w) 수준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관능검사 결과 PNSO의 처리에 따라 조리면에서 솔잎 고유의 녹색이 나타났으며, 조리면의 표면이 매끈하였고, 쫄깃쫄깃한 rheology 및 texture가 크게 개선되었다. PNSO 2%(w/w) 이상 처리군에서는 조리 후 20~30분이 경과하여도 조리면의 쫄깃쫄깃한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어 식당, 단체급식소 등의 대량 취식용으로도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