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ionic Surfactants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8초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미생물의 디이젤 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resence of Nonionic surfactants on Diesel Biodegradation)

  • 이효상;정기형;김정락;이기세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24-425
    • /
    • 2000
  • The effects of the presence of commercial non-ionic surfactants on the cell growth and diesel degradation by Pseudomonas sp. OSD were studied. Most surfactants inhibited the diesel biodegradation at high concentration(1000mg/1). However, some surfactants showed no inhibition at lower concentrations. Tween 20, Brij 58, Brij 78 were not inhibitory to the diesel biodegradation even at high concentration. These chosen surfactants has relatively high HLB values. There exists complicated relationship for diesel bioremediation between cell hydrophobicity, surfactant HLB, contaminants, an soil.

  • PDF

Removal of Aoueous Pentachlorophenol by Horseradish Peroxidase in the Presence of Surfactants

  • Kim, E.Y.;Choi, Y.J.;Chae, H.J.;Chu, K.H.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5호
    • /
    • pp.462-465
    • /
    • 2006
  • An important issue in the oxidation of pentachlorophenol (PCP) by the enzyme horseradish peroxidase (HRP) is enzyme inactivation during the reaction. This study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two nonionic surfactants (Tween 20 and Tween 80) to mitigate HRP inactivation. The surfactants were tested at concentrations below and above their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s (CMCs). Enhancement of PCP oxidation was observed at sub-CMCs, indicating effective protection of HRP by the two surfactants. Maximum levels of PCP removal were observed when the concentrations of Tween 20 and Tween 80 were 40 and 50% of the CMCs, respectively At supra-CMCs, both surfactants caused a noticeable reduction in the extent of PCP removal.

계면활성제의 친수·소수성 그룹의 전기음성도와 CMC 특성 (Electronegativity and CMC Characteristics of Hydrophilic and Hydrophobic Group for Surfactants)

  • 하윤식;백우현;장윤호
    • 공업화학
    • /
    • 제8권6호
    • /
    • pp.914-919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Bratsch의 전기음성도 동등화 원리를 바탕으로 Pauling의 전기음성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음이온과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전기음성도 동등화 및 그룹 전기음성도와 그룹 부분전하를 계산하여 계면활성제의 친수성기와 소수성기의 그룹 부분전하, 전기음성도와 CMC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계면활성제의 CMC는 친수성기와 소수성기의 그룹 부분전하와 그룹 전기음성도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경우 소수성기의 탄소수가 증가함에 따라 소수성기에도 음의 부분전하가 비편재화되어 전기음성도가 매우 큰 친수성 그룹의 음의 부분전하가 감소하여 친수성기간의 반발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CMC가 낮아짐을 알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경우에 소수성기의 탄소수가 증가하면 소수성기에서의 부분전하가 증가하게되며, 전기음성도의 증가가 친수성기의 전기음성도를 감소시켜 CMC가 낮아짐을 알수 있다. 그러나 친수성기의 반복단위가 증가하면 친수성기의 음의 부분전하가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수화능이 증가하기 때문에 계면활성제는 미셀로 존재하기 보다는 물속에 수화되기 때문에 CMC는 증가하게 된다.

  • PDF

폴리옥시에틸렌계 반응성 계면활성제의 합성 및 물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oxyethylene Reactive Surfactant)

  • 조정은;이상철;박종권;김경실;신혜린;김유리;신승훈;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0권2호
    • /
    • pp.241-246
    • /
    • 2019
  • 본 실험에서 반응성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polyoxyethylene(23) lauryl ether(Brij 35)와 polyoxyethylene(20) stearyl ether(Brij S20)를 acrylic acid 또는 3-butenoic acid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계면활성제는 FT-IR과 $^1H$-NMR로 확인하였으며, 물성은 임계미셀농도, 유화력, 기포력을 측정하였다. 합성한 반응성 계면활성제의 표면장력과 임계미셀 농도는 35 dyne/cm~41 dyne/cm에서 $1.0{\times}10^{-4}mol/L{\sim}9.7{\times}10^{-5}mol/L$의 값을 가진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유화력은 대두유, 벤젠, 모노머에서 측정하였으며, 기포의 초기 높이 및 5 min 후의 높이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미생물의 토양 투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 표면 및 용액 특성

  • 김용미;류두현;김호영;서성원;정남희;안병구;박준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19-322
    • /
    • 2002
  • The bacterial transport in soil media was studied. Nonionic surfactants, enhanced the bacterial transports in soil media. The transport rate in soil column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ethylene oxide in polyoxyethylene oxide surfactants. Ionic strength of solution affected the microbial transport characteristics in soil. The hydrophobicity of cell surface was proved that one of important characteristics on the bacterial transport in soil media.

  • PDF

Remedia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MTBE using micellar solubilization

  • 백기태;조현정;양지원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51-154
    • /
    • 2001
  • To assess the remediation possibility of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MTBE, micellar solubilization by various surfactants was evaluated. Micellar solubilization is basic phenomena to apply micellar enhanced ultrafiltration for groundwater remediation contaminated with MTBE. Sodium dodecyl sulfate (SDS) shows the best removal efficiency among various nonionic, cationic and anionic surfactants. Molar ratio of SDS to MTB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removal of MTBE using micellar solubilization. With the ratio of more than 13, the removal efficiency was saturated to 55%.

  • PDF

글리시돌을 원료로 한 비이온 계면활성제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thesis of Glycidol Based Nonionic Surfactant)

  • 임종주;김병조;최규용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2호
    • /
    • pp.282-291
    • /
    • 2012
  • 글리시돌과 라우릭산으로부터 PGLE와 PGLE3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으며, 합성한 계면활성제들의 구조를 $^1H$$^{13}C$ NMR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PGLE와 PGLE3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CMC는 각각 $3.59{\times}10^{-2}$ mol/L, $8.80{\times}10^{-1}$ mol/L이며, CMC에서의 표면장력 값은 각각 26.09 mN/m과 28.68 mN/m이었다. 동적 표면장력 측정 결과에 의하면 PGLE와 PGLE3 비이온 계면활성제 모두, 공기와 수용액의 계면이 계면활성제 단분자에 의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포화되었으며, 1 wt% PGLE와 PGLE3 계면활성제 시스템들의 접촉각은 각각 $25.5^{\circ}$$9.5^{\circ}$ 나타내었다. 비극성 오일 n-decane과 1 wt% 계면활성제 수용액 사이의 계면장력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며, PGLE와 PGLE3 시스템 모두 20분 이내에 평형에 도달하였고, 평형에서의 계면장력 값은 각각 0.42 mN/m와 0.53 mN/m를 나타내었다. PGLE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PGLE3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거품 안정성이 큼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거품 안정성 측정 결과는 표면장력 측정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계면활성제, 물, 비극성 탄화수소 오일로 이루어진 3성분 시스템에 보조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25{\sim}60^{\circ}C$의 온도에서 상평형 실험을 수행한 결과, lower phase 마이크로에멀젼 혹은 oil in water 마이크로에멀젼이 excess oil 상과 평형을 이루는 2상 영역만이 관찰되었다.

디글리세릴계 양이온계면활성제와 일반 음이온계면활성제 혼합물에서의 계면활성 상승효과와 상거동 (Synergistic Surface Activities and Phase Behavior in Mixtures of a Diglyceryl Cationic Surfactant and a Conventional Anionic Surfactant)

  • 최정진;조완구;랑문정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4호
    • /
    • pp.799-805
    • /
    • 2008
  • 일반적으로 음이온계면활성제와 양이온계면활성제는 수용액상에서 침전하는 불용성복합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용성이 좋지 않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일부 음이온계면활성제와 양이온계면활성제의 1:1 molar complex (catanionic surfactant)는물에용해하면서비이온계면활성제와같이행동하기때문에유사비이온계면활성제복합물(pseudo-nonionic surfactant complex)이라고 부른다. 유사비이온계면활성제복합물은 일반적인 이온성계면활성제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계면에 배열되기 때문에 평형 및 동적 표면장력에서 우수한 계면활성효과를 나타낸다.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head group에 polyhydroxyl group을 가진 디글리세릴계 양이온계면활성제인 diglyceryl do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DGDAC)과 음이온계면활성제 sodium dodecyl sulfate(SDS)를 1:1 molar ratio로 수용액상에서 혼합하였을 경우 molecular interaction parameter ${\beta}^M$가 -17.2로 매우 강한 positive synergism을 보였으며. 평형 상거동과 현미경에 의한 실험결과는 이 DGDAC와 SDS의 혼합수용액은 single phase의 vesicle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실리콘오일 에멀젼 소포제 조성에 있어서 유화제의 HLB가 소포성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LB Value of the Surfactants Added in the Silicon Oil Emulsion Antifoamer on the Antifoaming Ability)

  • 김영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3-232
    • /
    • 2010
  • The effects of HLB value of nonionic mixed surfactants on the stability and antifoaming ability for silicon oil type emulsions were studied. To obtain a stable silicone emulsions, a higher HLB values and higher content of surfactants were preferred. To obtain a good antifoaming ability, however, a lower HLB value (more hydrophobic) and a lower content of the surfactants were preferred. It was observed, at lower HLB values(8 or 9), that the silicone oil drops were spreaded on the foam surface and effectively reduced the surface tension. And the spreading phenomena presumably acted as an antifoaming mechanism. Therefore, a higher hydrophobicity of the silicone oil emulsion resulted in a higher ability of antifoaming 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