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28초

국소적으로 진행된 비소세포폐암의 치료성적 (Treatment Outcome of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이희관;이선영;김정수;권형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237-242
    • /
    • 2006
  • 목 적: 국소적으로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예후영향인자를 찾기 위하여 근치적 방사선 치료에 대한 성적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sim}2002$년에 걸쳐 본원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stage IIIB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 216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완전관해와 부분관해를 반응군(response group), 불변 및 진행성질환을 무반응군(non-response group)으로 묶어 분류하였다. 결 과: 근치목적의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총 140명의 환자 중 방사선단독치료를 받은 환자는 68명, 항암화학제와 병용요법을 시행한 환자는 72명이었다. 계획된 방사선치료가 완료된 것은 단독에서는 30예, 병용요법에서는 39예였다. 중앙생존기간은 방사선 단독치료군에서는 4.6개월, 병용요법군에서는 9.9개월이었다. 1년, 2년 및 3년 생존율이 방사선 단독치료군에서는 13.3%, 3.3%, 0%였으며, 항암화학제 병용요법군에서는 각각 35.9%, 20.5%, 15.4%였다(p<0.001). 반응군에서 방사선 단독으로 치료한 환자는 중앙생존기간 7.2개월, 항암화학제 병용치료환자는 16.5개월이었고, 무반응군에서 단독치료 환자는 4.4개월, 병용치료환자는 6.7개월이었다(p=0.001). 치료반응과 항암화학요법의 병용이 전체생존율에 영향을 주었다(p<0.001). Grade 3 이상의 심한 합병증은 방사선 단독요법에서 2예(6.7%), 항암화학 병용요법에서 7예(17.9%)였다. 결 론: Stage IIIB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방사선치료와 더불어 항암화학치료를 병용했을 때, 방사선단독요법에 비해 치료반응률과 생존율이 더 높았다.

Prognostic Value of CD44 Variant exon 6 Express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a Meta-analysis

  • Zhao, Shuang;He, Jin-Lan;Qiu, Zhi-Xin;Chen, Nian-Yong;Luo, Zhuang;Chen, Bo-Jiang;Li, Wei-M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6호
    • /
    • pp.6761-6766
    • /
    • 2014
  • Background: CD44v6 (CD44 variant exon 6) is the chief CD44 variant isoform regulating tumor invasion, progression, and metastasis. The prognostic value of CD44v6 expression in non small cell lung cancer (NSCLC) has been evaluated in many studies, but the results have remained controversial. Thus, we performed a meta-analysis of currently available studies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value of CD44v6 expression in NSCLC pati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of CD44v6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Materials and Methods: Two independent reviewers searched the relevant literature in Pubmed, Medline and Embase from 1946 to January 2014. Overall survival (OS) and various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were collected from included studies. This meta-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STATA 12.0 and Revman 5.2 software. Pooled hazard ratios (H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95%CIs) were calculated to estimate the effects. Results: A total of 921 NSCLC patients from ten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results showed that CD44v6 high expression was a prognostic factor for poor survival (HR=1.91, 95%CI=1.12-3.26, p<0.05). With respect to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CD44v6 high expression was related to histopathologic type (squamous cell carcinoma versus adenocarcinoma: OR=2.72, 95%CI=1.38-5.38, p=0.004), and lymph node metastasis (OR=3.02, 95%CI=1.93-4.72, p<0.00001).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ed CD44v6 high expression as a poor prognostic factor for NSCLC, and CD44v6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lymph node metastasis and histopathologic type. Therefore, CD44v6 expression can be used as a novel prognostic marker in NSCLC cases.

완전 절제된 IB기 비소세포폐암에서 수술 후 재발의 위험 인자 (Risk Factor for Recurrence in Completely Resected Stage IB Non-small Cell Lung Cancer)

  • 석양기;이응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0호
    • /
    • pp.680-684
    • /
    • 2007
  • 배경: IB기 비소세포폐암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완전 절제이나, 수술 후 재발이 생기면 생존율이 떨어진다. 최근 IB기 비소세포폐암의 완전 절제 후 시행하는 보조 요법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적절한 보조 요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재발의 위험 인자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 및 방법: 114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환자의 성별, 나이, 수술 방법, 조직학적 유형, 분화의 정도, 종양의 크기, 장측 흉막 침범 유무 등과 재발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생존율과 무재발률은 Kaplan-Meier 방법으로 구하였으며, log rank test로 단변량 분석을,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과: 3년 생존율 및 무재발률은 각각 87.0%, 79.4%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분화도가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으며, 다변량 분석에서도 저분화의 경우가 예후가 좋지 않았다. 결론: 완전 절제된 IB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저분화도가 재발과 연관된 인자이므로 수술 후 보조 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Association of p53 Expression with Metabolic Features of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 Kang, Shin-Myung;Koh, Won-Jung;Suh, Gee-Young;Chung, Man-Pyo;Han, Joung-Ho;Kim, Ho-Joong;Kwon, O-Jung;Um, Sang-W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6호
    • /
    • pp.417-424
    • /
    • 2011
  • Background: Recent evidences have revealed metabolic functions of p53 in cancer cells; adaptation or survival to metabolic stress and metabolic shift toward oxidative phosphorylation. However, further studies in clinical setting are needed. We investigated whether p53 protein expression, as a surrogate marker for loss of p53 function,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features of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focusing on tumor necrosis and maximal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 on $^{18}F$-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Methods: Clinical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p53 expression was assess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sults: p53 protein expression was detected in 112 (46%) of 241 NSCLC cases included in this study. p53 expression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necrosis (odds ratio [OR], 2.316; 95% confidence interval [CI], 1.215~4.416; p=0.011). Non-adenocarcinoma histology (OR, 8.049; 95% CI, 4.072~15.911; p<0.001) and poorly differentiation (OR, 6.474; 95% CI, 2.998~13.979; p<0.001) were also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necrosis. However, p53 expression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for SUVmax. Conclusion: p53 protein expression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necrosis, but not SUVmax.

제 IIIA기 비소세포 폐암의 수술 성적 (Surgical Treatment of Stage IIIA Non Small Cell Lung Cancer(NSCLC))

  • 정경영;홍기표;김창수;김길동;김주항;신동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44-150
    • /
    • 1999
  • 배경: 비소세포폐암의 치료에서 외과적 치료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있으나 IIIA 병기 폐암의 경우에는 논란이 많다. 저자들은 IIIA 병기 비소세포폐암에서 외과적 치료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수술 후 생존률과 예후인자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1996년까지 연세의료원에서 폐암 환자 중 수술 후 병리 소견상 IIIA기 원발성 폐암으로 진단된 1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성별은 남자가 130명, 여자가 28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58.3세이었다. 수술은 1예를 제외한 전 예에서 폐엽절제술 이상의 폐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종격동림프절의 광범위 완전 박리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145명(94.8%)의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 요법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153명) 추적은 100%에서 가능하였으며 평균 추적 기간은 21.4개월이었다. 결과:수술 후 합병증은 총 25명(15.8%)의 환자에서 29예가 발생하였다. 5명(3.2%)의 수술사망이 있었으며 급성호흡부전증후군이 가장 많았다. 재발은 총 84명(54.9%)의 환자에서 발생하였다. 전체 158명의 환자 중에서 5명의 수술사망환자를 제외한 153명 환자의 5년-생존률은 29.6%이었으며 중간생존기간은 18.0개월이었다. N2 림프절 전이군의 5년 생존률은 26.6%, 비N2 림프절 전이군의 생존률은 36.8%로 비N2 림프절 전이군의 생존률이 높았고(p=0.35), 병리조직유형별 생존률은 편평상피세포암과 선암의 5년-생존률이 각각 38.1%, 25.7%로 편평상피세포암이 높았으나(p=0.39)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보조 치료에 따른 생존률은 약물치료와 방사선치료를 병행한 복합치료 환자(84명)와 방사선치료만 시행한 환자(37명), 그리고 약물치료만 시행한 환자(24명)의 5년-생존률이 각각 31.3%, 32.4%, 14.6%로서 복합치료군의 치료 성적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각 집단간의 비교에서는 방사선치료군과 복합치료군과의 생존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31), 약물치료군에 비하여는 복합치료군이 유의하게 생존률이 높았다(p=0.005). 수술 후 병리 결과상 완전 절제 該별\ulcorner불완전 절제술군의 5년-생존률은 각각 31.9%, 16.6%로 완전 절제술시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9). 결론:제 IIIA 병기 비소세포폐암으로 외과적 절제 수술을 시행한 환자 157명의 수술 후 5년-생존률은 29.6%로서 양호하였으며는 범위한 종격동림프절 박리를 원칙으로 한 적극적인 외과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생존률을 향상시킨 결과라고 생각되었다.

  • PDF

폐암 세포주에서 염색체 3p14.2에 위치한 FHIT 유전자의 발현 이상에 대한 연구 (Expression of the FHIT gene Located in Chromosome 3p14.2 i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 김철현;유철규;이춘택;한성구;심영수;김영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5호
    • /
    • pp.984-991
    • /
    • 1998
  • 연구배경: 폐암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서 3p의 allelic loss가 매우 흔하게 관찰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이 구역에 암억제유전자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어 과거부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몇몇 후보 유전자들이 밝혀져 있을 뿐, 확실한 암억제유전자를 규명해내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FHIT(Fragile Histidine Triad) 유전자는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후보 암억제유전자로서 3p14.2에 위치하고 있으며 식도, 위, 두경부암 등의 여러 종양에서 이 위치의 homozygous deletion이 보고된 바 있다. 서열 분석상 이 유전자는 human genome 중 손상에 가장 취약한 곳중 하나인 FRA3B fragile site와 신세포암에서 잘 발견되는 t(3;8) chromosomal translocation의 breakpoint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정과 함께 폐암에서 3p의 allelic loss가 특히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하여, 연자들은 폐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FHIT 유전자의 발현 이상을 살펴봄으로써 암억제유전자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총 21개 세포주(비소세포폐암 : 16, 소세포폐암 : 5)를 배양하여 RNA를 분리하였고 reverse transcription을 시행하여 single-strand cDNA를 합성하였다. 이후 FHIT 유전자의 exon 5에서 exon 9에 해당하는 coding region을 PCR로 증폭하였다. 이 PCR product를 ethidium bromide로 염색된 1.5 %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시킨 후 band를 관찰하였다. 결 과: 총 21개 폐암 세포주중 12개(57%) 세포주에서 비정상적인 band가 관찰되거나(3개), band가 관찰되지 않았다(9개). 16개의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중 7개 (44%)에서 비정상적인 band가 관찰되거나(2개), band가 관찰되지 않았다(5개). 5개의 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는 5개(100%) 모두에서 비정상적인 band가 관찰되거나(1개), band가 관찰되지 않았다 (4개). 결 론: 이러한 결과를 살펴볼 때, FHIT 유전자의 발현 이상은 폐암, 특히 소세포폐암에서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FHIT 유전자가 폐암 발생에 있어서 중요한 암억제유전자일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소견이라 생각된다.

  • PDF

절제된 IIIA N2 병기 비소세포형 폐암에 있어서 Nodal Station의 의의 (Nodal Station as a Prognostic Factor in Resected Stage IIIA N2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대준;김길동;김치영;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7호
    • /
    • pp.489-496
    • /
    • 2003
  • 절제된 IIIA N2병기 비소세포형 폐암에 있어서 종격동임파절의 전이 양상에 따른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고,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비소세포형 폐암으로 폐엽절제술 이상의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항암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와 수술 사망 환자를 제외한 17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자였다. 결과: 상엽 종양에서 하부 종격동임파절로 전이된 경우 5년 생존율은 32.3%로서,하부 종격동임파절 전이가 없는 환자의 5년 생존율 25.6%와 차이가 없었다(p=0.86). 하엽 종양에서 상부 종격동임파절로 전이된 경우 5년 생존율은 25.1%로, 상부 종격동임파절 전이가 없는 환자의 5년 생존율 14.1%와 비교하여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p=.33). 전체 환자 중 subcarinal node로의 전이에 따른 생존율의 비교시 전이 유무에 따른 5년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다(20.9% vs 25.6%, p=0.364). 전이된 종격동임파절의 station수에 따른 비교 시 single station군의 5년 생존율은 26.3%로, multiple station군의 18.3%보다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48). Multiple station군에 있어서 수술 후 항암 화학 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병행한 경우 5년 생존율 34.2%로서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다(p=0.01). 수술 후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연령 $\geq$60세(O.R: 1.682, p=.006), multiple station N2 (O.R: 1.503, p=.021), 전페절제술(O.R: 1.562, p=.018), 수술 후 항암 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O.R: 0.625, p=.012)등이 있었다. 결론: 절제된 IIIA N2 병기 비소세포형 폐암에 있어서 전이된 종격동임파절 부위의 수(single vs multiple station)가 술 후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후 인자였으며, multiple station N2의 경우 수술 후 항암 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를 병행함으로써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Lack of Mutations in Protein Tyrosine Kinase Domain Coding Exons 19 and 21 of the EGFR Gene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 Mehta, Dhaval Tushar;Annamalai, Thangavelu;Ramanathan, Arvin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1호
    • /
    • pp.4623-4627
    • /
    • 2014
  • Background: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plays a vital role in the activation and inactivation of receptor tyrosine kinases. Mutations in exons 19 and 21 of EGFR are commonly found to be associated with non small cell lung carcinoma and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enhancing sensitivity to EGFR targeting chemotherapeutic agents. Since amplification and prolonged activation of EGFR molecules have been identified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OSCC), we investigated whether OSCCs carried mutations in exons 19 and 21 of EGFR to their incidence. Materials and Methods: Tumor chromosomal DNA isolated from forty surgically excise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tissues was subjected to PCR amplification with intronic primers flanking exons 19 and 21 of the EGFR gene. The PCR amplicons were subsequently subjected to direct sequencing to elucidate the mutation status. Results: Data analysis of the EGFR exon 19 and 21 coding sequences did not show any mutations in the forty OSCC samples that were analyzed. Conclusion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have investigated the genetic status of exons 19 and 21 of EGFR in Indian OSCCs and identified that mutation in EGFR exon 19 and 21 may not contribute towards their genesis. The absence of mutations also indicates that oral cancerous lesions may not be as sensitive as other cancers to chemotherapeutic agents targeting EGFR.

Tyrosine 1045 Codon Mutations in Exon 27 of EGFR are Infrequent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 Tushar, Mehta Dhaval;Ramanathan, Arvin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7호
    • /
    • pp.4279-4282
    • /
    • 2013
  • Background: The activation and inactivation of receptor tyrosine kinases are tightly regulated to ensure faithful replication of cells. After having transduced extracellular growth activating signals, activated EGFR is subjected to downregulation either by clathrin mediated endocytosis or c-Cbl mediated proteasome degradation depending on the ligand concentration. c-Cbl is an ubiquitin ligase which requires a phosphorylated tyrosine residue at position 1045 in the cytoplasmic domain of EGFR to interact and add ubiquitin molecules. While activating mutations in exons 19 and 21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several cancers, the status of mutations at tyrosine 1045 coding exon 27 of EGFR remain to be investigated. Consistently, defective phosphorylation at 1045 has been associated with sustained phosphorylation of EGFR in non-small lung carcinomas. Hence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genetic status of the tyrosine 1045 coding site within exon 27 of EGFR gene to explore for possible occurrence of mutations in this region, especially since no studies have addressed this issue so far. Materials and Methods: Tumor chromosomal DNA isolated from thirty five surgically excise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tissues was subjected to PCR amplification with intronic primers flanking the tyrosine 1045 coding exon 27 of EGFR gene. The PCR amplicons were subsequently subjected to direct sequencing to elucidate the mutation status. Results: Sequence analysis identified no mutations in the tyrosine 1045 codon of EGFR in any of the thirty five samples that were analyzed. Conclusions: The lack of identification of mutation in the tyrosine 1045 codon of EGFR suggests that mutations in this region may be relatively rare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study is the first to have explored the genetic status of exon 27 of EGFR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tissue samples.

비소세포 폐암환자에서 Docetaxel 투여 중 발생한 아급성 피부 홍반루푸스 1예 (A Case of Docetaxel Induced Subacute Cutaneous Lupus Erythematosus)

  • 신정아;허철웅;권지은;김형중;안철민;장윤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5호
    • /
    • pp.380-384
    • /
    • 2009
  • 비소세포폐암의 일차치료로 사용되고 있는 항암치료제인 docetaxel은 세포주기 정체를 통한 세포자멸을 야기하는 약제로 이로 인한 누클리오좀 유리가 약제유발 홍반루푸스의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실제 docetaxel로 야기된 아급성 피부 홍반루푸스의 증례는 지금까지 전세계적으로 4명의 증례 보고만이 있을 뿐이며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docetaxel과 cisplatin 병합 항암 화학요법 도중 발생한 아급성 피부 홍반루푸스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