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line of sight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53초

Practical Treatment of Path -Delay Error by Terrain Model in Mobile Wireless Location

  • Kim, Wuk;Lee, Jang-Gyu;Jee, Gyu-I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58-58
    • /
    • 2001
  • This paper shows a practical approach that is robust to the errors causing path-delay in mobile wireless location, and analyzes its performance by comparing with other methods. NLOS(non-line-of-sight) error and multipath are two big sources of positioning error in wireless location. Contrary to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they result from the terrestrial propagation of a signal. Especially, since LOS(line-of-sight) path between a transceiver and a receiver is blocked by intermediate buildings and topography, NLOS causes a signal to be reflected and diffracted. This path-delay error is very localized, and so, it is not easy to be estimated and mitigated. To treat such localized error, therefore ...

  • PDF

2.4 GHz 대역 무선 랜을 위한 지하철 터널 환경에서 Fan Beam 의 전파특성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Fan Beam in Subway Tunnel Environment for 2.4 GHz Band Wireless LAN)

  • 박노준;고거다;송문규;강영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I
    • /
    • pp.298-30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2.4 [GHz] 대역에서 1(equation omitted)2 마이크로스트림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지하철 터널내의 전파특성을 고찰하였다. 445 [m]의 터널구간에서 협대역 측정결과 LOS (Line-of-Sight)구간에 비하여 NLOS(Non-Line-of-Sight)구간에서는 수신 전력 레벨이 급격히 감소 하였으며, 10단 길이의 PN Sequence를 이용한 광대역 채널 측정에서는 Fan Beam의 평균과도지연과 RMS 지연확산이 각각 3.5736 [ns]과 11.7327 [ns]로서 원편파와 지향성 빔에 비하여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체 측정구간에 대한 평균과도지연과 RMS 지연확산의 중간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각각의 빔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 PDF

3.4, 5.3, 6.4 ㎓ 대역 신호의 가시 및 비가시 구간에서의 경로손실 특성 (LOS and NLOS Path-loss Characteristics at 3.4, 5.3, and 6.4 ㎓ in an Urban Environment)

  • 조한신;박병성;육종관;박한규;이정수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2 No.1
    • /
    • pp.127-131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the a measured path-loss characteristics in urban line-of-sight(LOS) and non line-of-sight(NLOS) environments for 3.4, 5.3, and 6.4 ㎓ band signals. A two-ray model is applied to analyse the path-loss characteristics in LOS areas. In LOS areas, an empirical break point, whose distance is shorter than a theorical break point, is founded. Further, a sudden power level drop occurs at a transition point from LOS region to NLOS area and different path-loss exponents are occured various cases. The power level drop due to comer loss and path-loss exponents both increas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corner increases.

  • PDF

컬러 인식에 기반을 둔 스웜 로봇의 자기 조직화 연구 (Self-Organization of Swarm Robots Based on Color Recognition)

  • 정하민;황영기;김동헌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13-42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로봇 축구용 카메라를 사용하는 기존 경로계획의 제한적인 사항을 극복하기 위해서 컬러 인식법에 의한 경로계획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연구에서는 움직이는 목표물이 스웜로봇과 멀리 있어도 로봇의 직선 시야를 기반으로 동료 로봇을 따라가며, 움직이는 목표물을 추적 할 수 있다. 제안된 포텐셜 필드는 동료 로봇과의 충돌과 장애물과의 충돌을 피하면서 스웜 로봇들이 움직이는 목표물을 향하여 이동하게 한다. 결국, 스웜 로봇들 사이의 시각적 도움에 의해 최종 목표물에 모든 스웜 로봇들이 도달하게 된다. 제안된 방법은 움직이는 파티클, 즉 점 로봇이 아닌 논홀로노믹 제한이 있는 유니 사이클 로봇들을 대상으로 자기 조직화 방법을 제시하기 때문에 실제 하드웨어 적용시 유용하다.

수신 안테나 이격거리에 대한 2 X 2 MIMO 전파 채널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2 X 2 MIMO Propagation Channel Characteristics for Receiving Antenna Spacings)

  • 박세현;윤병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747-752
    • /
    • 2009
  • 본 논문은 LOS(Line of Sight) 및 NLOS(Non Line of Sight)등 실제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환경에 서의 수신 안테나의 간격에 따른 전파 채널 특성에 관하여 기술 하였다. $2\times2$ MIMO 채널 측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2.3GHz Wibro 대역에서 측정을 하였다. 수신안테나의 간격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반파장 표준 다이폴 안테나의 간격을 0.25, 0.5, 0.75 1.0 파장 간격 이격시켜 MIMO 안테나 수신 성능을 측정 하였으며, 측정 위치는 LOS 2곳 NLOS 4곳에 대하여 행하였다. 측정 곁과 직접파를 수신 하는 LOS 환경에서는 공간 상관계수가 NLOS 환경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MIMO 시스템에서는 0.9 이상의 높은 공간 상관계수는 성능의 열화를 가져 올 수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안테나 및 시스템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WBAN Off-Body 채널에서 안테나 편파의 영향 분석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Antenna Polarization in WBAN Off-Body Channel)

  • 전재성;안병직;김선우;최재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44-15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인체 통신 중 off-body 채널에서 안테나 편파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두 수신 안테나의 편파 조합에 따라 총 4가지로 나누었으며, Line-of-Sight(LOS)와 Non-LOS(NLOS)에 따른 영향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인체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생기는 안테나 편파의 변화가 신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인체를 정지한 상태와 움직이는 상태로 나누어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통해 수신 안테나의 편파 및 두 수신 안테나의 편파 조합에 따른 성능을 확인하였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Non-Line-of-Sight 오류 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Line-of-Sight Error Mitig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김우진;강철규;오창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873-875
    • /
    • 2008
  • 센서 네트워크의 위치추정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NLOS신호의 제거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치추정의 정밀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NLOS부터 수신한 신호로 추정한 좌표를 반복적으로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고 이를 시뮬레이션 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을 경우 10개의 LOS 신호로 추정한 좌표를 가지고 최대 약 3.5미터의 오차범위 내로 위치 추정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NLOS 좌표의 감소에 따라서도 약 1.5미터의 위치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한 딥 러닝 기반 실내 위치 확인 시스템 (Deep Learning-based 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CSI)

  • 장중봉;최승원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7
    • /
    • 2020
  • Over the past few years, Wi-Fi signal based indoor positioning system (IPS) has been researched extensively because of its low expenses of infrastructure deployment. There are two major aspects of location-related information contained in Wi-Fi signals. One is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and one is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Compared to the RSSI, the CSI has been widely utilized because it is able to reveal fine-grained information related to locations. However, the conventional IPS that employs a single access point (AP) does not exhibit decent performance especially in the environment of non-line-of-sight (NLOS) situations due to the reliability degeneration of signals caused by multipath fading effect.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that utilizes multiple APs instead of a single AP to enhance the robustness of the IPS. In our proposed method, a hybrid neural network is applied to the CSIs collected from multiple APs. By relying more on the fingerprint constructed by the CSI collected from an AP that is less affected by the NLOS, we fin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IPS is significantly improved.

Non-Contact Line-of-sight Detection using Color Contact Lens for Man-Machine Interface

  • Nishiuchi, Nobuyuki;Kurihara, Kenzo;Takada, Hajime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8년도 제13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391-394
    • /
    • 1998
  • The man-machine interfac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omputer system, and it is thought that line-of-sight (LOS) detection technology will allow significant advances in this field. Techniques for detecting LOS for use in human interfaces have been studied[1][2]. In earlier studies, however, LOS was detected with a head piece, goggles, or through fixing the position of the head. The limitations imposed by these fixed conditions render them unsuitable far use in interfaces, as they have adverse mental or physical effects on humans. Therefore. they have not been sufficiently developed for practical application. Research on non-contact LOS detection is expected to result in a usable LOS man-machine interface[3][4], and the current study is intended to be a step in that direction. The authors used color contact lenses for LOS detection, and applied this new method to a computer interface. The use of color contact lenses simplifies image processing. The algorithm used in this study is sufficiently accurate for practical applications. This technique can be used in input devices, in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and in human engineering research.

  • PDF

이기종 통신 기반 스마트 조명을 위한 최적 통신 방식 선택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Optimal Selection of Communications for Smart Light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 홍승관;이선의;황유민;김진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1-2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이기종 통신 기반의 스마트 조명의 선택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스마트 조명은 조명의 역할뿐만 아니라 통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기종 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조명의 BER 성능을 높이기 위해, Line-of-Sight(LOS)/Non-LOS 채널에서 스마트 조명과 센서와의 거리, 조명사용시간, 사용자 요구를 위한 낮은 전력소모량에 따라 Optical Camera Communication(OCC), Wi-Fi, BLE 중 적합한 통신방식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LOS/NLOS 채널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과 기존의 방식과의 시뮬레이션 결과 비교를 통해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