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cement

검색결과 529건 처리시간 0.029초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의 인장성능에 따른 끼움벽의 내진성능 (Influence of Strain-Hardening Cement Composite's Tensile Properties on the Seismic Performance of Infill Walls)

  • 차준호;윤현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3-14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비내진상세 골조의 손상완화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 끼움벽의 내진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SHCC의 인장변형능력 및 균열거동 특성이 끼움벽의 전단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위해 총 3개의 끼움벽 실험체를 제작하여 반복하중 하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시멘트 복합체의 종류는 콘크리트와 SHCC로 하였다. SHCC는 인장 특성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기위해 PVA1.3%+PE0.2% 및 PVA0.75%+PE0.75%로 두 종류의 배합조건을 갖도록 계획하였다. 끼움벽의 균열손상 발생 부위를 중앙부로 유도하기위해 모든 끼움벽 실험체의 좌 우측면에 100 mm 깊이의 노치를 설치하였다. 실험 결과, SHCC 끼움벽의 경우 철근 콘크리트 끼움벽에 비해 우수한 균열제어성능을 나타냈으며, 최대하중 도달 시점에서의 층간변위 또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초기 경사균열 발생 이후에도 SHCC 내의 보강 섬유간 섬유가교작용에 기인하여 완만한 강성 저하 양상을 나타냈다. 게다가 끼움벽의 균열폭을 기준으로 손상 식별 단계를 분석한 결과, PIW-SHD 실험체가 PIW-SLD 실험체에 비해 약 3배에 해당하는 우수한 내진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대각 보강근의 변형률 진전 양상을 비교한 결과, 우수한 균열분산 특성에 기인하여 철근에 집중되는 인장응력을 SHCC 매트릭스가 일정 부분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숏크리트 모사 콘크리트 공시체에 혼합된 강섬유의 분산도가 휨강도 및 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eel-fiber Distribution on Flexural Strength and Toughness of Shotcrete-mimicked Concrete Specimen)

  • 박성식;김상중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53-62
    • /
    • 2013
  • NATM공법을 이용한 터널 시공에서 초기에 원지반을 구속시키고 암반과의 일체화를 통해 터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상 5-20cm 두께의 숏크리트를 시공하며 여기에는 강섬유가 $40kg/m^3$ 정도 포함되도록 설계하고 있다. 숏크리트 내에 혼합된 강섬유는 숏크리트를 뿜어 내는 장비 특성, 혼합비 그리고 현장 암반 상태에 따라 숏크리트 내 강섬유가 골고루 분산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면이 $15cm{\times}15cm$이고 길이 55cm인 사각기둥 모양의 시멘트 혼합비가 5% 또는 20%인 공시체를 3cm씩 다섯 층으로 나누어 강섬유를 혼합하지 않거나, 중간층만 혼합하거나, 1, 3, 5층만 혼합하거나, 전층을 혼합한 네 종류의 숏크리트를 모사한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7일 동안 공시체를 대기중 양생한 다음 휨강도시험을 실시하여 층별로 강섬유가 분산되거나 집중될 경우 휨강도와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시멘트 혼합비가 20%인 경우 강섬유 혼합층이 증가할수록 휨강도는 증가하였으며, 동일한 양의 강섬유가 골고루 분산되지 않고 한 곳으로 집중될 경우 휨강도가 20% 정도 감소하였다. 한편 시멘트 혼합비가 5%로 낮은 경우에는 강섬유 혼합층이 증가할수록 오히려 휨강도는 감소하였다. 시멘트 혼합비에 관계없이 강섬유 혼합층이 증가할수록 인성지수는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강섬유가 중간층으로 집중된 경우보다 골고루 분산된 경우 인성지수는 2-3배 정도 증가하였다.

Evaluation of shear bond strength between dual cure resin cement and zirconia ceramic after thermocycling treatment

  • Lee, Jung-Jin;Kang, Cheol-Kyun;Oh, Ju-Won;Seo, Jae-Min;Park, Ju-Mi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7권1호
    • /
    • pp.1-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shear bond strength (SBS) between three dual-cured resin cements and silica coated zirconia, before and after thermocycling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Sixty specimens were cut in $15{\times}2.75mm$ discs using zirconia. After air blasting of $50{\mu}m$ alumina, samples were prepared by tribochemical silica coating with $Rocatec^{TM}$ plus.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dual-cure resin cement used: (1) Calibra silane+$Calibra^{(R)}$, (2) Monobond S+$Multilink^{(R)}$ N and (3) ESPN sil+$RelyX^{TM}$ Unicem Clicker. After the resin cement was bonded to the zirconia using a Teflon mold, photo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Only 10 specimens in each group were thermocycled 6,000 times. Depending on thermocycling treatment,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n=10) and SBS was measured by applying force at the speed of 1 mm/min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SBS according to the types of cements and thermocycling using the SPSS, two-way ANOVA was conducted and post-hoc analysis was performed by Turkey's test. RESULTS. In non-thermal aged groups, SBS of Multilink group (M1) was higher than that of Calibra (C1) and Unicem (U1) group (P<.05). Moreover, even after thermocycling treatment, SBS of Multilink group (M2)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C2 and U2). All three cements showed lower SBS after the thermocycling than before the treatments. But Multilink and Unicem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CONCLUSION. In this experiment, Multilink showed the highest SBS before and after thermocycling. Also, bond strengths of all three cements decreased after thermocycling.

광물혼화재가 혼합된 다성분 페이스트 시스템의 레올로지 특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Rheology on the Multi-Ingredients Paste Systems Mixed with Mineral Admixtures)

  • 박대효;노명현;박춘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41-248
    • /
    • 2004
  • 콘크리트의 강도증진과 내구성 및 유동성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광물혼화재가 혼합된 시멘트페이스트 시스템의 레올로지 특성이 연구되었다. 그리고 시멘트페이스트는 일성분, 이성분, 삼성분 혼합 페이스트 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페이스트 시스템의 레올로지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Haake사의 Rotolnsco RT 20 레오미터가 사용되었다. 레올로지 특성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실험 결과를 얻었다. 일성분 페이스트 시스템의 경우, 고성능 감수제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레올로지 특성들이 상당히 개선된다. 이성분 페이스트 시스템에서는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쉬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비치환된 시스템의 경우보다 항복응력과 소성점도는 감소된다. 실리카 퓸이 치환된 이성분 페이스트 시스템에서는 실리카 퓸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항복응력과 소성점도의 값이 급격히 증가된다. 삼성분 페이스트 시스템에서는 OPC-BFS-SF와 OPC-FA-SF 페이스트 시스템 두 경우 모두 실리카 퓸을 단독으로 치환한 페이스트 시스템과 비교하여 레올로지 특성이 향상된다. 이성분과 삼성분 페이스트 시스템 모두 플라이애쉬 보다 고로슬래그를 배합에 넣어 사용할 때 레올로지 특성이 좀 더 개선된다.

목탄을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이용기술(I) - 목탄으로 제조된 건축자재의 특성 평가 - (Utilization of Charcoal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Building Materials (I) - Characterization of Building Materials Prepared with Charcoal -)

  • 안병준;조태수;이성숙;백기현;김선익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6호
    • /
    • pp.537-545
    • /
    • 2009
  • 본 연구는 일반 페인트 및 건조시멘트에 목탄을 첨가하여 제조된 건축자재의 제반 물리 화학적 특성 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목탄의 친환경 건축자재 혼합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목탄을 포함한 액상몰탈의 물리 화학적 물성 시험결과, 목탄 20% 이상을 포함한 액상몰탈의 경우, 점도에 대한 저항치인 주도와 불휘발분이 품질기준에 적합하였다. 목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건조시간은 지연되었으나, 모든 처리구에서 품질기준인 60분 이내에서 건조가 완료되었다. 기타 제반 물성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품질기준을 충족하였다. 이 결과로 볼 때, 액상 몰탈에 대한 적정 목탄 함량은 25%로 판단된다. 건조 시멘트 몰탈에 대한 압축강도는 목탄 5% 첨가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20% 이상 첨가구에서는 KS 기준치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목탄 첨가량 증가로 보수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암모니아가스 탈취율의 경우 일반 시멘트 몰탈이 59.5%, 목탄 10% 첨가 시멘트 몰탈은 71.6%의 암모니아를 흡착하였다.

순환잔골재를 활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벽돌의 물성 및 배합설계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and Mix Design of Eco-friendly Concrete Bricks Using Recycled Fine Aggregates)

  • 최형국;양성철;손재호;이승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32-40
    • /
    • 2024
  • 건설업계에서 순환 골재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 부족, 유해 물질 문제, 소비자의 부정적 인식 등은 순환 골재의 활용 확대를 제한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기존 연구들은 주로 내구성을 고려하여 콘크리트에 굵은 순환 골재를 사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반면 순환 잔골재의 경우 주요 구조물에 적용된 사례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인식 부족 등으로 활용 범위가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순환 잔골재와 시멘트량의 다양한 배합 비율에 따른 조적용 콘크리트 벽돌의 물리적 특성 실험을 통하여 내력벽과 비내력벽 구조물에서 그들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순환 잔골재와 부순 잔골재의 혼합비율 및 시멘트량을 중심으로 콘크리트 벽돌의 압축강도와 흡수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내력벽용 콘크리트 벽돌의 품질 요구 기준 중 하나인 13MPa의 강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시멘트량 200kg/m3에 순환 잔골재를 100% 사용하거나, 부순 잔골재를 25% 사용하고 순환 잔골재를 75%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내력벽의 품질 요구 기준 중 하나인 8 MPa의 강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시멘트량 100kg/m3에 순환 잔골재를 100% 사용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벽돌의 공극에 의한 흡수율은 13% 이하로 요구 성능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콘크리트 벽돌 제조 시 순환 잔골재를 사용해도 KS F 4004(콘크리트 벽돌)에서 요구하는 품질 기준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분말 폐타이어와 분말 수지를 함유한 환경친화적 고인성 시멘트계 무수축 그라우트재의 개발 (Development of Green Cement Type Grouting Materials with High Toughness and Non-Shrinkage Including Powder of Waste Tire and Resin)

  • 박석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623-630
    • /
    • 2007
  • 주로 교량 슈 (shoe)나 기계 기초 등과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간의 공극을 충전시켜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을 일체화하는데 사용되는 그라우트재는 구조물의 특성상 주로 큰 하중을 받는 부위에 시공되기 때문에 높은 압축강도를 갖는 제품 위주로 개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고강성 위주로 제품이 개발되어 한계응력 이상에서는 구조체가 갑자기 파괴되는 취성체라는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고, 연속 및 반복하중 등의 응력에 의한 누적 피로에 의해 균열 등의 성능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초기 고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발열 특성이 높은 속경성 재료를 과다하게 사용함으로써 대형 부재인 경우 수화열 등에 의한 균열발생 우려의 문제 등도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탄성재료인 분말 폐타이어 및 분말 수지를 이용하여 기존의 고유동, 무수축, 고강도 특성 이외에 고인성과 고내구성을 부여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시공될 수 있으며, 모체와의 일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그라우트재의 분체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또한, 부수적으로 분말 폐타이어 및 플라이애쉬와 같은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친화적인 건설 재료를 제공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이를 위해 총 7가지 배합 조건별 실험이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최적 배합 조건을 선정하였다.

완전 도재관의 선택 (Selection of all ceramic crown)

  • 이승규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2-133
    • /
    • 2015
  • 성공적싱 완전도재관 치료를 위한 요구조건은 통상적 치료와 크게 다르지 않다. 적절한 치아삭제, 임시치아, 및 정확한 최종인상이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별점은 본딩에 있다. 수복물 내면과 지대치 외면에 레진시멘트를 도포하는 것 이외에도 본딩 술식은 비생활치의 포스트 코어 치료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생활치 지대치는 비생활치보다 심미와 기능 면에서 성공을 거두기가 더 쉽다. 포스트 코어 본딩 술식은 비생활치 지대치의 장기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 완전 도재관의 성공 전략 중에서 포스트 코어 축성 및 완전 도재관 본딩에 관하여 임상적 경험을 나누고자 한다.

투수시트를 활용한 투수거푸집의 특성 (Properties of Permeable Formwork using Permeable Liner)

  • 이종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A호
    • /
    • pp.419-426
    • /
    • 2012
  • 굳지않은 콘크리트에는 항상 일정량의 잉여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잉여수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갇힌공기로 남게 되어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잉여수를 제거할 수 있다면 구조물의 내구성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기존에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투수시트의 특성에 대한 상세한 검토는 부족한 상태이며, 거푸집의 천공에 따른 시공성 저하는 여전히 의문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투수거푸집 시스템에서 직포 및 부직포 투수시트를 적용할 경우의 기초적인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검토하고 시공성 향상을 위해 거푸집에 천공을 하지 않는 투수거푸집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투수거푸집에서 직포와 부직포 투수시트를 사용한 경우 직포의 조밀성 및 부직포의 두께 등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었지만 W/C 감소, 표면 평탄성 증가, 표면부 강도 향상이 있었으며, 시멘트손실은 미미하여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수시트 내부에 탈수된 잉여수의 배수통로를 가지고 있는 배수 부직포 투수시트를 적용한 경우 거푸집에 천공을 하지 않고서도 필요한 탈수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 시공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대치 코어 재료와 In-Ceram coping의 두께가 In-Ceram의 색에 미치는 영향 (COLOR DIFFERNCE OF IN-CERAM BY THE VARIOUS POSTCORE MATERIALS AND COPING THICKNESS)

  • 심직현;방몽숙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34-64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lor differences in the In-Ceram according to coping thickness and various abutment core materials ; amalgam, precious alloy, composite resin, non-precious alloy. After the porcelain was built up on the In-Ceram coping at the thicknes of 0.3mm and 0.5mm then it was cemented with glass ionomer cement to the post & core material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 values $a^*$ and $b^*$ values in the cementation of different cores, to the In-Ceram(P<0.01). $L^*$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mposite resin to the In-Ceram and the $a^*\;b^*$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amalgam and the non-precious alloy. 2. All of cementations of In-Ceram to the core materisal had color difference(${\Delta}E^*ab$) compared to the In-Ceram. In the 0.3mm thickness of the In-Ceram copping non-precious alloy indicated the greatest value, while the composite resin core showed the lowest value with a thickness of 0.5mm In-Ceram copping. 3. By controlloing the In-Ceram coping thickness $L^*$ value was significatly different(P<0.01), but not in $a^*$ and $b^*$ values. 4. In an amalgam, precious & non-prcious alloys there was a 1,74 to 3.06 range color difference in the controlled thickness of In-Ceram coping at the thickness of 0.3mm and 0.5mm.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requirement of the sufficient thickness of In-Ceram coping and the suitable core material in order to get an estheti restoration by In-Ceram and also to intercept the original core color.

  • PDF